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托壤䟽彊, 創趾卞辰之域.

주 001
각주 001)
원문 「宅」. 죽내본·길림본은 원문대로, 탕천본 「托」으로 교감. 의미상 「托」으로 교감.
닫기
壤䟽彊주 002
각주 002)
원문 「彊」. 탕천본·길림본 「疆」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 형태 유지.
닫기
, 創趾卞辰之域.
주 003
각주 003)
원문 「栝」. 죽내본·탕천본 「括」으로 판독. 길림본 「括」로 교감. 「括」로 교감.
닫기
地志曰: “新羅治金城, 本三韓之故주 004
각주 004)
원문 「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故」로 교감. 내용상 「故」로 교감.
닫기
地.” 范曄後漢書曰: “韓有三種.” 魏志曰: “韓在帶方之南, 東西以海爲限, 南與倭接, 方可四千里. 馬韓在西, 辰韓在馬韓之東. 其耆老傳주 005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은 『三國志』 한전을 참조하여 「世自」를 보입하였다.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言: ‘古之亡人, 避秦役주 006
각주 006)
원문 「伇」.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役」으로 교감.
닫기
[來適]韓國,주 007
각주 007)
원문 「韓國」.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두었으나, 길림본은 『三國志』를 참조하여 「避秦役來適韓國」으로 교감하였다. 문맥상 동사가 필요하므로 『三國志』를 참조하여 「來適」을 보입하여 교감.
닫기
주 008
각주 00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은 『三國志』를 참조하여 앞에 「馬」를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割東주 009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은 『三國志』 원문에 따라 「東」 앞에 「其」를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주 010
각주 010)
원문 「界」. 탕천본은 「海」로 판독.
닫기
地與之.’ ” 今案, 新羅·百濟共有三韓之地, 百濟在[西]주 011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西」 보입. 문맥상 「西」를 보입하는 것으로 교감.
닫기
, 即馬韓之地, 新羅在東, 即辰주 012
각주 012)
원문 「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辰」으로 교감. 의미상 「辰」으로 교감.
닫기
韓·卞辰之地也.

  • 각주 001)
    원문 「宅」. 죽내본·길림본은 원문대로, 탕천본 「托」으로 교감. 의미상 「托」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彊」. 탕천본·길림본 「疆」으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 형태 유지.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栝」. 죽내본·탕천본 「括」으로 판독. 길림본 「括」로 교감. 「括」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敫」.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故」로 교감. 내용상 「故」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은 『三國志』 한전을 참조하여 「世自」를 보입하였다.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伇」.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役」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韓國」. 죽내본·탕천본은 원문대로 두었으나, 길림본은 『三國志』를 참조하여 「避秦役來適韓國」으로 교감하였다. 문맥상 동사가 필요하므로 『三國志』를 참조하여 「來適」을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은 『三國志』를 참조하여 앞에 「馬」를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은 『三國志』 원문에 따라 「東」 앞에 「其」를 보입.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界」. 탕천본은 「海」로 판독.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은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은 「西」 보입. 문맥상 「西」를 보입하는 것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食」.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辰」으로 교감. 의미상 「辰」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托壤䟽彊, 創趾卞辰之域. 자료번호 : hw.m_0002_007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