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덕에 젖어 가요에 흥겨워하니, 황제의 법도가 창수까지 스몄다.

덕에 젖어 가요에 흥겨워하니, 황제의 법도가 창수까지 스몄다.
『후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명제 영평 12년(69), 애로·박남 두 현을 설치하였는데, 익주군 서부도위주 001
각주 001)
益州郡 西部都尉는 屬國都尉의 하나이다. 後漢代 屬國은 郡에서 멀리 떨어진 縣을 분리하여 설치한 것으로 원래 蠻夷들이 복속해 왔을 때 설치한 지방관이었다(『後漢書』 「百官」5, 『漢書』 권5 「百官公鄕表」).
닫기
가 거느린 6현주 002
각주 002)
『續漢志』에 따르면 6縣은 不韋, 雟唐, 比蘇, 楪楡, 邪龍, 雲南이다.
닫기
을 분할해 [두 현과] 합하여 영창군으로 삼았다. [이에] 비로소 박남산주 003
각주 003)
현재의 四川省 永平縣에 소재한 산으로 大理에서 西藏을 통하여 인도로 이어지는 이른바 ‘博南古道’가 이 산을 끼고 지나가고 있다. 張騫 西域 원정시 확인하였다는 蜀布와 邛竹杖이 바로 이 博南古道를 통하여 거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닫기
과 통하고 난창수주 004
각주 004)
현재의 蘭倉江으로 雲南 서부 橫斷山脈을 가로질러 博南山과 羅岷山의 사이로 흐르는 강이다.
닫기
를 건넜으나 다니는 사람들은 고통스러워하였다. 노래하기를 ‘한의 덕이 널리 퍼져, 귀부하지 않던 곳까지 깨우치니, 박남[산]을 건너고 난[창]진을 넘었는데, 난창[수]를 건너면 타인이 되는구나’라고 하였다. 애로인들은 모두 코를 뚫고 귓불을 늘어뜨리는데, 스스로를 왕이라 칭하는 그 거수는 귀가 모두 어깨 아래로 3촌이나 늘어지지만, 일반 사람은 어깨까지만 이르게 할 뿐이다. 토지는 비옥하여, 오곡과 잠상에 적합하다.”
 
• 참고
『後漢書』 卷86 哀牢夷 永平十二年 哀牢王柳貌遣子率種人內屬 其稱邑王者七十七人 戶五萬一千八百九十口五十五萬三千七百一十一 西南去洛陽七千里 顯宗以其地置哀牢博南二縣 割益州郡西部都尉所領六縣 合爲永昌郡 始通博南山 度蘭倉水 行者苦之 歌曰 漢德廣 開不賓 度博南 越蘭津 度蘭倉 爲它人」 哀牢人皆穿鼻儋耳 其渠帥自謂王者 耳皆下肩三寸 庶人則至肩而已 土地沃美 宜五穀蠶桑

  • 각주 001)
    益州郡 西部都尉는 屬國都尉의 하나이다. 後漢代 屬國은 郡에서 멀리 떨어진 縣을 분리하여 설치한 것으로 원래 蠻夷들이 복속해 왔을 때 설치한 지방관이었다(『後漢書』 「百官」5, 『漢書』 권5 「百官公鄕表」). 바로가기
  • 각주 002)
    『續漢志』에 따르면 6縣은 不韋, 雟唐, 比蘇, 楪楡, 邪龍, 雲南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현재의 四川省 永平縣에 소재한 산으로 大理에서 西藏을 통하여 인도로 이어지는 이른바 ‘博南古道’가 이 산을 끼고 지나가고 있다. 張騫 西域 원정시 확인하였다는 蜀布와 邛竹杖이 바로 이 博南古道를 통하여 거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현재의 蘭倉江으로 雲南 서부 橫斷山脈을 가로질러 博南山과 羅岷山의 사이로 흐르는 강이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덕에 젖어 가요에 흥겨워하니, 황제의 법도가 창수까지 스몄다. 자료번호 : hw.k_0002_012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