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반목과 백랑은, 영평 연간에 모화되었다.

반목과 백랑은, 영평 연간에 모화되었다.
『후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착도이는 무제가 개척한 바, 착도현이 되었다. 그 사람들은 모두 머리를 풀어헤치고 좌임을 하며, 언어는 비유하는 것을 더 좋다고 여긴다. 거처는 대체로 문산이주 001
각주 001)
汶山은 漢武帝 때 西南夷를 정벌하고 武都, 牂柯, 越嶲, 沈黎와 함께 설치한 郡이다. 현재 四川省 茂汶羌族自治縣이다.
닫기
와 같다. [그] 땅에는 오래 살 수 있는 신비한 약이 자라는데, 선인 산도주 002
각주 002)
『列仙傳』에 이르길 “山圖는 隴西 사람이다. 말타기를 좋아하여 말에서 제기를 차고 놀다 다리가 부러졌는데, 산중의 도사가 지황, 당귀, 강활, 현삼들을 복용하게 하여 복용한지 1년이 지나자 먹는 것을 즐기지 않게 되었고 병은 나았으며 몸이 가벼워졌다”고 한다.
닫기
가 사는 곳이다. 원정 6년(기원전 111)에 심려군으로 삼았다가 천한 4년(기원전 97)에 이르러 촉군과 병합하여 서부로 삼고 두 명의 부위주 003
각주 003)
전한과 후한, 위, 서진 시기 一部의 治安을 담당한 관리이다. 『漢書』 「尹翁歸傳」에 다음과 같은 部尉의 용례가 확인된다. “謂河東郡二十八縣,分爲兩部。西漢長安,東漢洛陽,各有四尉,即兩城各分四部,設四部尉.”
닫기
를 두었는데, 한 사람은 모우주 004
각주 004)
旄牛縣을 지칭한 것이다. 모우현은 元鼎 6년(前111年) 설치된 것으로, 치소는 지금 四川省 漢源縣 西北九襄鎮이이다.
닫기
를 다스리며주 005
각주 005)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다스린다’는 의미의 「治」가 아닌, ‘거주한다’는 의미의 「居」로 되어 있다.
닫기
요외(변방)의 오랑캐를 관장하였으며, [다른] 한 사람은 청의주 006
각주 006)
靑衣江을 지칭한 것이다. 청의강은 오늘날 四川 서부에 위치한 大渡河의 최대 지류이다.
닫기
를 다스리며 한인을 주관하였다. 영평 연간(58~75)에 익주자사인 양국 [사람] 주보가 공명 세우기를 좋아하였으니, [익]주에서 여러 해[를 지내며] 한의 덕을 널리 보이고, 먼 곳의 오랑캐를 위엄으로 회유하였다. 문산으로부터 서쪽은 이전에도 이르지 못한 곳이며, 정삭도 더해지지 못한 곳이다주 007
각주 007)
정삭은 曆法이며 이것이 전해지지 못한 것은 풍속의 교화가 미치지 못하여 실제 직접적인 통제를 할 수 없는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닫기
. [이때] 백랑·반목·묘추 등 백여 국이, 호 130여 만, 인구 600만 이상이었는데, 종족을 들어 공물로 바쳤다주 008
각주 008)
『後漢書』 권2, 「明帝紀」에 의하면 永平 17년(74)의 일이다. 이들은 唐代 四川省 西南部에 분포하였다.
닫기
.”
 
• 참고
『後漢書』 卷86 莋都夷 莋都夷者 武帝所開 以爲莋都縣 其人皆被髮左衽 言語多好譬類 居處略與汶山夷同土出長年神藥 仙人山圖所居焉 元鼎六年 以爲沈黎郡 至天漢四年 幷蜀爲西部 置兩都尉 一居旄牛 主徼外夷一居靑衣 主漢人 … 永平中 益州刺史梁國朱輔 好立功名 慷慨有大略 在州數歲 宣示漢德 威懷遠夷 自汶山以西 前世所不至 正朔所未加 白狼槃木唐菆等百餘國 戶百三十餘萬 口六百萬以上 擧種奉貢

  • 각주 001)
    汶山은 漢武帝 때 西南夷를 정벌하고 武都, 牂柯, 越嶲, 沈黎와 함께 설치한 郡이다. 현재 四川省 茂汶羌族自治縣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列仙傳』에 이르길 “山圖는 隴西 사람이다. 말타기를 좋아하여 말에서 제기를 차고 놀다 다리가 부러졌는데, 산중의 도사가 지황, 당귀, 강활, 현삼들을 복용하게 하여 복용한지 1년이 지나자 먹는 것을 즐기지 않게 되었고 병은 나았으며 몸이 가벼워졌다”고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전한과 후한, 위, 서진 시기 一部의 治安을 담당한 관리이다. 『漢書』 「尹翁歸傳」에 다음과 같은 部尉의 용례가 확인된다. “謂河東郡二十八縣,分爲兩部。西漢長安,東漢洛陽,各有四尉,即兩城各分四部,設四部尉.” 바로가기
  • 각주 004)
    旄牛縣을 지칭한 것이다. 모우현은 元鼎 6년(前111年) 설치된 것으로, 치소는 지금 四川省 漢源縣 西北九襄鎮이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5)
    『後漢書』의 해당 부분은 ‘다스린다’는 의미의 「治」가 아닌, ‘거주한다’는 의미의 「居」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靑衣江을 지칭한 것이다. 청의강은 오늘날 四川 서부에 위치한 大渡河의 최대 지류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정삭은 曆法이며 이것이 전해지지 못한 것은 풍속의 교화가 미치지 못하여 실제 직접적인 통제를 할 수 없는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8)
    『後漢書』 권2, 「明帝紀」에 의하면 永平 17년(74)의 일이다. 이들은 唐代 四川省 西南部에 분포하였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반목과 백랑은, 영평 연간에 모화되었다. 자료번호 : hw.k_0002_012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