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장귀가 매근을 도륙하니, 이에 공택에 정착했다.

장귀가 매근을 도륙하니, 이에 공택에 정착했다.
『후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공도이는 무제가 개척한 바, 공도현이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 땅이 함몰되어 늪지가 되어 이에 공지라고 이름하였다. 남인들은 공하로 여겼다주 001
각주 001)
이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오늘날 雟州 越雟縣 동남쪽에 있다. 『南中八郡志』에 따르면, 邛河는 강안을 따라 20여 리 정도 들어가며 깊이는 백여 장이다. 큰 물고기가 많은데 길이는 1, 2장으로 머리 부분이 특히 크고 멀리서 보면 쇠도끼를 이고 있는 모습이다.”
닫기
. 후에 다시 반란하자, 원정 6년(기원전 111)에 한의 병사가 월수수주 002
각주 002)
이현의 주에 따르면, 雟水는 당시 雟州 邛部縣 서남쪽에 있는 雟山 아래에서 발원한다. 『漢書』 「地理志」에서는 雟山를 넘어가서 군을 설치했으므로 그렇게 명명한 것이라고 하였다.
닫기
에서부터 이들을 정벌하여, 월군으로 삼았다. 그 토지가 평원하고 논과 밭이 있다. 청령현주 003
각주 003)
현재 雲南省 大姚縣 부근이다.
닫기
우동산주 004
각주 004)
현재 雲南 大姚縣 東北 紫丘山이다.
닫기
에 벽계와 금마가주 005
각주 005)
王褒의 「碧雞頌」에서 “持節使 王褒가 남쪽 산벼랑을 보고 금빛 눈동자를 가진 신마와 푸른 닭을 공손히 옮겨 남쪽의 황무지에 안치하였네. 계곡으로 깊이 들어가 산골짜기로 돌아드니 인간의 마을 아니네. 귀의하고 귀의하리니 한실의 덕이 무궁하기 때문이라네. 당우의 덕을 겸비하였고 그 은택은 삼황과 짝을 이루는 구나.”라고 읊었다. 『華陽國志』에는 “푸른 닭의 모습은 사람들이 자주 본다”고 하였고, 『漢書音義』에서는 “금과 같은 모습은 말과 유사하며, 청옥과 같은 모습은 닭과 비슷하다”고 하였다(王褒碧雞頌曰: “持節使王褒謹拜南崖, 敬移金精神馬縹碧之雞, 處南之荒. 深谿回谷, 非土之鄕. 歸來歸來, 漢德無疆. (廉平)[廉乎]唐虞, 澤配三皇.” 華陽國志曰: “碧雞光景, 人多見之.” 前書音義曰: “金形似馬, 碧形似雞也.”). 이에 동북아역사재단 『후한서』 「남만서남이열전」 역주에서는 碧雞神과 金馬社로 해석하였다.
닫기
있어, [신비한] 광경이 때때로 드러난다. [그] 풍속에는 방탕하게 노는 것이 많고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니, 장가와 거의 서로 유사하다. 호수들은 방종하여 이들을 제어하기 어렵다. 왕망 때, 군수 매근이 공인 장귀를 선발하여 군후로 삼았다. 경시 2년(24)에 [장]귀가 [그] 종족 사람을 이끌고 매근을 공격해 죽이고, 스스로 공곡왕이 되어 태수의 일을 맡았다. 광무[제]가 장귀를 봉하여 공곡왕으로 삼고, 후에 또한 월수태수의 인수를 주었다주 006
각주 006)
『후한서』에 따르면 “건무 14년(38) 장귀가 사신을 보내어 3년의 計帳을 보고하니, 천자는 월수 태수의 인수를 수여하였다”고 한다.
닫기
.”
 
• 참고
『後漢書』 卷86 邛都 邛都夷者 武帝所開 以爲邛都縣 無幾而地陷爲汙澤 因名爲邛池 南人以爲邛河 後復反叛 元鼎六年 漢兵自越雟水伐之 以爲越雟郡 其土地平原 有稻田 靑蛉縣禺同山有碧雞金馬 光景時時出見 俗多游蕩 而喜謳歌 略與牂柯相類 豪帥放縱 難得制御 王莽時 郡守枚根調邛人長貴 以爲軍候 更始二年 長貴率種人攻殺枚根 自立爲邛穀王 領太守事 又降於公孫述 述敗 光武封長貴爲邛穀王 建武十四年 長貴遣使上三年計 天子卽授越雟太守印綬

  • 각주 001)
    이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오늘날 雟州 越雟縣 동남쪽에 있다. 『南中八郡志』에 따르면, 邛河는 강안을 따라 20여 리 정도 들어가며 깊이는 백여 장이다. 큰 물고기가 많은데 길이는 1, 2장으로 머리 부분이 특히 크고 멀리서 보면 쇠도끼를 이고 있는 모습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이현의 주에 따르면, 雟水는 당시 雟州 邛部縣 서남쪽에 있는 雟山 아래에서 발원한다. 『漢書』 「地理志」에서는 雟山를 넘어가서 군을 설치했으므로 그렇게 명명한 것이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3)
    현재 雲南省 大姚縣 부근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현재 雲南 大姚縣 東北 紫丘山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5)
    王褒의 「碧雞頌」에서 “持節使 王褒가 남쪽 산벼랑을 보고 금빛 눈동자를 가진 신마와 푸른 닭을 공손히 옮겨 남쪽의 황무지에 안치하였네. 계곡으로 깊이 들어가 산골짜기로 돌아드니 인간의 마을 아니네. 귀의하고 귀의하리니 한실의 덕이 무궁하기 때문이라네. 당우의 덕을 겸비하였고 그 은택은 삼황과 짝을 이루는 구나.”라고 읊었다. 『華陽國志』에는 “푸른 닭의 모습은 사람들이 자주 본다”고 하였고, 『漢書音義』에서는 “금과 같은 모습은 말과 유사하며, 청옥과 같은 모습은 닭과 비슷하다”고 하였다(王褒碧雞頌曰: “持節使王褒謹拜南崖, 敬移金精神馬縹碧之雞, 處南之荒. 深谿回谷, 非土之鄕. 歸來歸來, 漢德無疆. (廉平)[廉乎]唐虞, 澤配三皇.” 華陽國志曰: “碧雞光景, 人多見之.” 前書音義曰: “金形似馬, 碧形似雞也.”). 이에 동북아역사재단 『후한서』 「남만서남이열전」 역주에서는 碧雞神과 金馬社로 해석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6)
    『후한서』에 따르면 “건무 14년(38) 장귀가 사신을 보내어 3년의 計帳을 보고하니, 천자는 월수 태수의 인수를 수여하였다”고 한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장귀가 매근을 도륙하니, 이에 공택에 정착했다. 자료번호 : hw.k_0002_012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