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장식은 구슬을 꿰는 것을 중히 여겼고, 금계의 아름다움을 진귀하게 여기지 않았으며,

장식은 구슬을 꿰는 것을 중히 여겼고, 금계의 아름다움을 진귀하게 여기지 않았으며,
『후한서』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마한 사람들은 금·보화·비단·융단을 귀하게 여기지 않으며, 우마를 탈 줄 모른다. 오직 영주주 001
각주 001)
瓔珠는 장식품을 만드는 데 쓰이는 옥구슬이다.
닫기
를 귀하게 여겨, 옷에 꿰매어 장식으로 삼고, 목에 걸거나 귀에 단다. 대개 모두 머리를 틀어 묶고 상투를 드러내며, 베로 만든 도포를 입고 짚신을 신는다.”
 
• 참고
『後漢書』 卷85 韓 不貴金·寶·錦·罽 不知騎乘牛馬 唯重瓔珠 以綴衣爲飾 及縣頸垂耳 大率皆魁頭露紒 布袍草履

  • 각주 001)
    瓔珠는 장식품을 만드는 데 쓰이는 옥구슬이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장식은 구슬을 꿰는 것을 중히 여겼고, 금계의 아름다움을 진귀하게 여기지 않았으며, 자료번호 : hw.k_0002_005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