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綏撫有方 龜茲以之入賀

綏撫주 001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撫」. 아래의 용례를 통해 「撫」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닫기
有方 龜주 002
각주 002)
길림본 「▼{(亞-一)/(龜-(象-(豕-一)))}」. 죽내본 「龜」. 아래의 용례를 통해 「龜」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宋 米芾 蜀素帖
닫기
茲以之入賀
漢書曰 龜茲國 王治延주 003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延」. 아래의 용례를 통해 「延」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十誦律
닫기
城 去[城]長安七千四百주 004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百」. 아래의 용례를 통해 「百」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八十里 元康元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元」. 아래의 용례를 통해 「元」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닫기
주 006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年」. 아래의 용례를 통해 「年」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닫기
龜茲玊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王」. 아래의 용례를 통해 「玊」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晩唐 摩訶止觀
닫기
来朝賀 王及夫人印綬 夫人號稱公主 賜以車騎旗주 008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旗」. 아래의 용례를 통해 「旗」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주 009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鼓」. 아래의 용례를 통해 「鼓」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 大毗廬經
닫기
歌吹數十人 ▼{糸+竒}주 010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綺」. 「▼{糸+竒}」은 「綺」의 이체자이며, 자형에 따라 「▼{糸+竒}」로 판독.
신출자

원문
▼{糸+竒}신출자

奈良 樂師寺 大般若經
닫기
주 011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繡」. 아래의 용례를 통해 「繡」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毛詩傳
닫기
주 012
각주 012)
죽내본 「雜」, 길림본 「雑」. 아래의 용례를 통해 「雑」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繒𤦺주 013
각주 013)
죽내본 「𤦺」·길림본 「琦」. 「𤦺」은 「琦」의 이체자이며, 자형에 따라 「𤦺」로 판독.
신출자

원문
𤦺
닫기
주 014
각주 014)
죽내본 「珍」, 길림본 「珎」. 「珎」은 「珍」의 이체자이며, 자형에 따라 「珎」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 智永 眞草千字文
닫기
凡數千万 留주 015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留」. 자형에 따라 「留」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且一年 厚贈送주 016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送」. 아래의 용례를 통해 「送」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飛鳥 王勃詩序
닫기
之 後數来朝賀 樂주 017
각주 017)
죽내본·길림본 「樂」. 아래의 용례를 통해 「樂」」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닫기
漢衣服制주 018
각주 018)
죽내본·길림본 「制」. 자형에 따라 「制」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 大毗廬經
닫기
度 歸其治宮室 作徼주 019
각주 019)
죽내본·길림본 「徼」. 자형에 따라 「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歐陽詢 九成宮禮泉銘
닫기
주 020
각주 020)
죽내본·길림본 「道」. 아래의 용례를 통해 「道」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國衞 出入傳呼撞주 021
각주 021)
죽내본·길림본 「撞」. 아래의 용례를 통해 「撞」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魏栖梧 善才寺碑
닫기
鐘皷 如漢家儀 外國胡人皆曰 驢주 022
각주 022)
죽내본·길림본 「驢」. 자형에 따라 「驢」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馬龜茲王 所주 023
각주 023)
죽내본·길림본 「所」. 아래의 용례를 통해 「所」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十誦律
닫기
주 024
각주 024)
죽내본·길림본 「謂」. 아래의 용례를 통해 「謂」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毛詩傳
닫기
주 025
각주 025)
죽내본·길림본 「羸」. 아래의 용례를 통해 「羸」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元洛神墓誌
닫기
也 王死주 026
각주 026)
죽내본·길림본 「死」. 아래의 용례를 통해 「死」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 大毗廬經
닫기
其子𣴎주 027
각주 027)
죽내본·길림본 「承」. 아래의 용례를 통해 「𣴎」로 판독.
신출자

원문
𣴎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德自漢外孫 成哀주 028
각주 028)
죽내본·길림본 「哀」. 아래의 용례를 통해 「哀」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毛詩傳
닫기
時住주 029
각주 029)
죽내본 「往」, 길림본 「住」. 자형에 따라 「住」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来尤數 漢過之亦甚 親蜜也

  •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撫」. 아래의 용례를 통해 「撫」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02)
    길림본 「▼{(亞-一)/(龜-(象-(豕-一)))}」. 죽내본 「龜」. 아래의 용례를 통해 「龜」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宋 米芾 蜀素帖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延」. 아래의 용례를 통해 「延」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十誦律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百」. 아래의 용례를 통해 「百」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元」. 아래의 용례를 통해 「元」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年」. 아래의 용례를 통해 「年」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王」. 아래의 용례를 통해 「玊」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晩唐 摩訶止觀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旗」. 아래의 용례를 통해 「旗」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鼓」. 아래의 용례를 통해 「鼓」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 大毗廬經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綺」. 「▼{糸+竒}」은 「綺」의 이체자이며, 자형에 따라 「▼{糸+竒}」로 판독.
    신출자

    원문
    ▼{糸+竒}신출자

    奈良 樂師寺 大般若經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繡」. 아래의 용례를 통해 「繡」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毛詩傳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 「雜」, 길림본 「雑」. 아래의 용례를 통해 「雑」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3)
    죽내본 「𤦺」·길림본 「琦」. 「𤦺」은 「琦」의 이체자이며, 자형에 따라 「𤦺」로 판독.
    신출자

    원문
    𤦺
     바로가기
  • 각주 014)
    죽내본 「珍」, 길림본 「珎」. 「珎」은 「珍」의 이체자이며, 자형에 따라 「珎」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 智永 眞草千字文
     바로가기
  •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留」. 자형에 따라 「留」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送」. 아래의 용례를 통해 「送」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飛鳥 王勃詩序
     바로가기
  • 각주 017)
    죽내본·길림본 「樂」. 아래의 용례를 통해 「樂」」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18)
    죽내본·길림본 「制」. 자형에 따라 「制」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 大毗廬經
     바로가기
  • 각주 019)
    죽내본·길림본 「徼」. 자형에 따라 「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歐陽詢 九成宮禮泉銘
     바로가기
  • 각주 020)
    죽내본·길림본 「道」. 아래의 용례를 통해 「道」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21)
    죽내본·길림본 「撞」. 아래의 용례를 통해 「撞」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魏栖梧 善才寺碑
     바로가기
  • 각주 022)
    죽내본·길림본 「驢」. 자형에 따라 「驢」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23)
    죽내본·길림본 「所」. 아래의 용례를 통해 「所」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十誦律
     바로가기
  • 각주 024)
    죽내본·길림본 「謂」. 아래의 용례를 통해 「謂」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毛詩傳
     바로가기
  • 각주 025)
    죽내본·길림본 「羸」. 아래의 용례를 통해 「羸」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元洛神墓誌
     바로가기
  • 각주 026)
    죽내본·길림본 「死」. 아래의 용례를 통해 「死」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 大毗廬經
     바로가기
  • 각주 027)
    죽내본·길림본 「承」. 아래의 용례를 통해 「𣴎」로 판독.
    신출자

    원문
    𣴎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28)
    죽내본·길림본 「哀」. 아래의 용례를 통해 「哀」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毛詩傳
     바로가기
  • 각주 029)
    죽내본 「往」, 길림본 「住」. 자형에 따라 「住」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綏撫有方 龜茲以之入賀 자료번호 : hw.d_0002_0130_003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