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攣鞮承統 寔摽廣大之名

주 001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攣」. 아래의 용례를 통해 「攣」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宋 松風閣詩
신출자

『翰苑』 정문20의 주문
닫기
鞮承주 002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承」. 아래의 용례를 통해 「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統 寔摽주 003
각주 003)
죽내본 「標」, 길림본 「摽」. 『翰苑』의 다른 기록에서 「木」변을 아래와 같이 쓰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형에 따라 「標」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廣大之名
漢書曰 自淳維以至頭㬅주 004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曼」. 자형에 따라 「曼」과 통하는 글자인 「㬅」으로 판독. 다만 길림본은 하단부가 「又」가 아닌 「万」의 모양임을 지적하였다.
신출자

원문
닫기
十有餘歲 時大時小 別散分離尙矣 其代傳不可而次 然至置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置」. 아래의 용례를 통해 「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樊興碑
닫기
주 006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頓」. 아래의 용례를 통해 「頓」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信行禪師碑
닫기
而匈奴𡪯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最」. 원문 하단이 「敢」이므로 자형에 따라 「𡪯」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 眞草千字文敢
신출자

唐 李邕 雲麾將軍碑
닫기
强大 盡從北夷而南与諸夏為敵주 008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敵」. 원문은 「▼{商+攵}」의 형태이나 아래의 용례를 통해 「敵」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顏師古 等慈寺碑
닫기
國 其代姓官號주 009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號」. 아래의 용례를 통해 「號」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닫기
可得而記 單于姓攣鞮氏 其國稱之曰橖주 010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橖」. 자형에 따라 「橖」으로 판독. 당초본도 「橖」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주 011
각주 011)
죽내본 「狐」, 길림본 「抓」. 아래의 용례를 통해 「狐」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華嚴經抓
신출자

唐 顏眞卿
닫기
塗單于 匈奴為橖棃주 012
각주 012)
죽내본 「棃」, 길림본 「犁」. 아래의 용례를 통해 「棃」로 판독. 길림본은 「棃」라고 설명하였으나 정작 본문에서는 「犁」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五經文字
신출자

奈良 佛說彌勒成佛經
닫기
謂子狐塗 單于者廣大之貌也 言其象天單于然也 置左右賢王左右谷蠡주 013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蠡」. 아래의 용례를 통해 「蠡」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五經文字
닫기
左蠡將左右大都尉左右大當戶左右骨都侯也

  •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攣」. 아래의 용례를 통해 「攣」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宋 松風閣詩
    신출자

    『翰苑』 정문20의 주문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承」. 아래의 용례를 통해 「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 「標」, 길림본 「摽」. 『翰苑』의 다른 기록에서 「木」변을 아래와 같이 쓰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형에 따라 「標」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길림본 「曼」. 자형에 따라 「曼」과 통하는 글자인 「㬅」으로 판독. 다만 길림본은 하단부가 「又」가 아닌 「万」의 모양임을 지적하였다.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置」. 아래의 용례를 통해 「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樊興碑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頓」. 아래의 용례를 통해 「頓」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信行禪師碑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最」. 원문 하단이 「敢」이므로 자형에 따라 「𡪯」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 眞草千字文敢
    신출자

    唐 李邕 雲麾將軍碑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敵」. 원문은 「▼{商+攵}」의 형태이나 아래의 용례를 통해 「敵」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顏師古 等慈寺碑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號」. 아래의 용례를 통해 「號」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 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橖」. 자형에 따라 「橖」으로 판독. 당초본도 「橖」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 「狐」, 길림본 「抓」. 아래의 용례를 통해 「狐」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北魏 華嚴經抓
    신출자

    唐 顏眞卿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 「棃」, 길림본 「犁」. 아래의 용례를 통해 「棃」로 판독. 길림본은 「棃」라고 설명하였으나 정작 본문에서는 「犁」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五經文字
    신출자

    奈良 佛說彌勒成佛經
     바로가기
  •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蠡」. 아래의 용례를 통해 「蠡」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五經文字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攣鞮承統 寔摽廣大之名 자료번호 : hw.d_0002_0010_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