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겨울에 변구(汴口)를 닫지 말라는 조서(詔書)

  • 날짜
    1073년 11월 (음)(熙寧 6年(1073) 11月 壬寅)
  • 출전
    卷248, 熙寧 6年(1073) 11月 壬寅
조서를 내려 올 겨울에 변구(汴口)주 001
각주 001)
汴口 : 수에서 通濟渠를 개통했을 때, 滎陽에서 開封에 이르는 부분은 원래 汴水를 이용했기 때문에 당, 북송 시기에는 通濟渠의 동쪽 부분을 汴水 혹은 汴渠라고 부르기도 했다. 汴口는 汴水 혹은 汴渠의 입구를 가리키는 말이다. 북송이 멸망한 이후가 되면, 남송과 금은 淮河를 경계로 삼았기 때문에 汴渠는 운송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점점 소멸되었다.
닫기
를 닫지 않고 벌절부릉(栰截浮凌)을 만들라고 명했다. 앞서 권판장작감(權判將作監)주 002
각주 002)
權判將作監 : 북송의 관직. 將作監은 북송 초기에는 三司에 소속되어 주로 제사에 쓰이는 물건 정도를 담당하는 임무만을 맡았다. 그러나 熙寧 4년(1071)부터 將作監은 수도의 修造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무를 맡게 되었고, 이때 判將作監 2명을 두었다.
닫기
범자기(范子奇)주 003
각주 003)
范子奇 : 1035~1095. 북송의 관인. 북송 河南府 洛陽 사람으로 字는 中濟이다. 范雍의 손자이고, 范宗傑의 아들이다.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였고, 熙寧 3년(1070)에 權湖南轉運副使에 임명되었다. 이후 河東, 陝西, 河北, 京東 네 로의 전운사를 번갈아 맡았다. 元祐 원년(1086)에 將作監으로 불려들어와서 權戶部侍郞까지 역임했다가 知慶州로 나가게 되었고, 이후 다시 조정에 들어와 吏部侍郎을 역임했다.
닫기
가 말하기를, “변구를 매년 열고 닫는 것은 사람들을 고되게 하고 재물을 헛되이 쓰는 것으로 사람들의 피로를 가중시킬 뿐 아니라 입구를 닫은 후 조운을 막습니다. 바라건대 매번 겨울이 될 때까지 입구를 닫지 말고 그 외 강으로 운반해 직접 변구로 들어와 도읍에 이르게 하고 전반을 폐지하면, 그 해 수지가 반드시 크게 증가하고, 배를 모는 병사가 자연히 감소하며 모든 계층의 주세(酒稅) 수익 또한 마땅히 증가하여 공사가 편리한 것이 이보다 더할 수 없을 것입니다. 만약 겨울을 지날 때 닫지 않으면 물길이 막히고, 매년 깊은 겨울에 입구를 닫는 일이 많아져 이미 서리가 내리고 물이 줄어 흐름이 끊기고, 또한 징사(澄沙)가 있는데 도리어 봄물이 거세게 흘러 쌓이는 것이 없을 것입니다. 만약 후에 흐름을 수첩(修疊)하고 스스로 연한을 약정하고 임시로 닫으면 해마다 공을 들이는 것과 비교하여 번잡함이 감소하는 것이 남다를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조서를 내려 변구의 관리가 숙고하게 하니 마침내 범자기의 뜻과 같아졌다. 그 때 고려가 사신을 보내 입공하자 변구에서부터 물길을 거슬러 궐에 이르게 했다.

  • 각주 001)
    汴口 : 수에서 通濟渠를 개통했을 때, 滎陽에서 開封에 이르는 부분은 원래 汴水를 이용했기 때문에 당, 북송 시기에는 通濟渠의 동쪽 부분을 汴水 혹은 汴渠라고 부르기도 했다. 汴口는 汴水 혹은 汴渠의 입구를 가리키는 말이다. 북송이 멸망한 이후가 되면, 남송과 금은 淮河를 경계로 삼았기 때문에 汴渠는 운송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점점 소멸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權判將作監 : 북송의 관직. 將作監은 북송 초기에는 三司에 소속되어 주로 제사에 쓰이는 물건 정도를 담당하는 임무만을 맡았다. 그러나 熙寧 4년(1071)부터 將作監은 수도의 修造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무를 맡게 되었고, 이때 判將作監 2명을 두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范子奇 : 1035~1095. 북송의 관인. 북송 河南府 洛陽 사람으로 字는 中濟이다. 范雍의 손자이고, 范宗傑의 아들이다.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였고, 熙寧 3년(1070)에 權湖南轉運副使에 임명되었다. 이후 河東, 陝西, 河北, 京東 네 로의 전운사를 번갈아 맡았다. 元祐 원년(1086)에 將作監으로 불려들어와서 權戶部侍郞까지 역임했다가 知慶州로 나가게 되었고, 이후 다시 조정에 들어와 吏部侍郎을 역임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겨울에 변구(汴口)를 닫지 말라는 조서(詔書) 자료번호 : jt.k_0005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