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고려국 사신이 지체되지 않게 하라는 황제의 비답(批答)

  • 날짜
    1076년 10월 (음)(熙寧 9年(1076) 10月 丙申)
  • 출전
    卷278, 熙寧 9年(1076) 10月 丙申
宣徽南院使·判應天府張方平言, “高麗使赴闕儀制, 所至京·府·州·軍, 知州·通判例出城接送. 伏見契丹使過北京, 止是通判攝少尹接送. 高麗外蕃, 其使乃陪臣也, 而宣徽使班秩同二府, 出城接送, 其禮更反重於契丹, 非所以崇國體示威靈也.” 詔止令通判接送, 如使人來見即回謁, 揚州依此.
 
‖ 참고 ‖
· 『宋史』 卷487, 列傳246 外國3 高麗. 宋神宗 熙寧 9年.
復遣崔思訓來, 命中貴人倣都亭西驛例治館, 待之寖厚, 其使來者亦益多. 嘗獻伶官十餘輩, 曰, 夷樂無足觀, 止欲潤色國史爾. 帝以其國尙文, 每賜書詔, 必選詞臣著撰而擇其善者.
· 『宋會要輯稿』 蕃夷 7-33
(熙寧九年) 十一月二十一日,高麗國遣使工部侍郎崔思訓奉表來,貢御衣·腰帶·金器·色羅綾·幞頭紗·鞍轡馬·弓·刀·紅罽褥·紙·墨·銅器·生中布·人參·松實·香油·黃漆·藥物.

색인어
이름
張方平
지명
高麗, 北京, 揚州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려국 사신이 지체되지 않게 하라는 황제의 비답(批答) 자료번호 : jt.d_0005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