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조공련(爪工連; 하타쿠미노무라지)

조공련(爪工連; 하타쿠미노무라지)
 신혼명(神魂命)의 아들 다구도옥명(多久都玉命; 다쿠츠타마노미코토)의 3세손 천인목명(天仁木命; 아메노쿠니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조공련(爪工連)
조공련이라는 씨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신찬성씨록』 화천국 신별 「조공련(爪工連)」 조에서 웅략천황 대에 자색(紫色)의 개(蓋; 기누가사)와 조(爪; 하)를 만들어 옥좌를 장식하였으므로 조공련이라는 성을 사여받았다고 적고 있다.
개(蓋; 기누가사)는 천황, 황태자, 친왕, 귀족 들의 뒤쪽에서 받쳐 주는 의식용의 큰 양산으로, 비단으로 원형 또는 방형으로 만들고 긴 손잡이를 달았다. 조(爪; 하)는 예(翳)와 같은 것으로, 새털, 얇은 비단, 사초(莎草) 등으로 만들어 긴 손잡이를 붙인 둥글부채로, 일본 조정의 의식에서 여관들이 들고 서서 귀인의 얼굴을 가려 주었다. 위의 화천국 신별 조공련조에서는 개와 조로 옥좌를 장식하였다고 하므로 개는 옥좌 위에 늘어뜨린 천개(天蓋)이며, 조는 천황 옆에서 여관들이 들고 서 있던 둥글부채라고 할 수 있다.
조공련은 개(蓋)와 조(爪)를 제작하던 조공부(爪工部)의 반조씨족이었을 것이다. 조공련씨에 대해 육국사에서는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2월 기묘조에서 조공련이 숙녜를 사성받았다는 기사가 유일하다. 조공숙녜씨도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2년 8월 경자삭조에서 조공숙녜반족(爪工宿禰飯足)이 종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하고 있는 기사가 유일하다.
고문서에서는 천평승보(天平勝寶) 2년 8월 「경사상일장(經師上日帳)」에 조공련가마려(爪工連家麻呂)(대일본고문서』 3-427 등)가 보이며, 천평 17년경 「지식우파새공진문(知識優婆塞貢進文)」(『대일본고문서』25-84)에 이세국 영록군(鈴鹿郡) 장배향(長背鄕)의 호주 조공련어원(爪工連御垣)이 보이고, 정관 3년 2월 25일자 「기이국진천향간전매권(紀伊國眞川鄕墾田賣券)」(『평안유문』 1-112)에 조공련숙엽(爪工連叔葉)이 보인다.
2. 신혼명(神魂命)
신혼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중) 「현견양숙녜(縣犬養宿禰)」 조(380) 참조.
3. 다구도옥명(多久都玉命)
『신찬성씨록』 화천국 신별 「조공련」 조에서는 다구무옥명(多久豆玉命; 다쿠츠마노미코토)이라고 표기하였다. 『연희식』 신명장 대화국 갈하군(葛下郡)조에 보이는 석원좌다구충옥신사(石園坐多久虫玉神社)의 제신(祭神)이 다구충옥(多久虫玉; 다쿠츠타마)로 추정되는데, 이 신은 다구도옥명(多久都玉命; 다쿠츠타마노미코토)과 같다.
4. 천인목명(天仁木命)
천인목명은 『신찬성씨록』 대화국 신별 「대전축산직(大田祝山直)」 조에 보이는 천이지명(天爾之命; 아메노니키노미코토)과 같다. 「대전축산직」 조에 의하면 천이지명은 천장명(天杖命; 아메노스웨노미코토)의 아들이라고 한다. 천장명은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공련(爪工連; 하타쿠미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2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