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도전신(島田臣; 시마타노오미)

도전신(島田臣; 시마타노오미)
 다조신(多朝臣; 오호노아소미)과 조상이 같다.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 가무야위미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5대손인 무혜하전명(武惠賀前命; 다케웨가사키노미코토)의 자식인 중신자상(仲臣子上; 나카노오미노코카미)이다. 치족언천황(稚足彦天皇; 와카타라시히코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성무(成務)이다.] 시대에 미장국(尾張國; 워하리노쿠니)의 도전상하(島田上下; 시마타노카미시모) 2현에 악신(惡神)이 있었다. 자상(子上)을 파견하여 평정하였다. 복명하는 날에 도전신이라는 씨성을 하사받았다.
 
【주석】
1. 도전신(島田臣)
도전(島田; 시마타)이라는 씨명은 미장국(尾張國)의 도전상하(島田上下) 2현, 즉 율령제하의 미장국 해부군(海部郡) 도전향(島田鄕)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 애지현(愛知縣) 해부군(海部郡) 미화정(美和町) 지역이다. 『고사기』 신무천황단에 의부신(意富臣), 즉 다신(多臣)이나 상도(常道, 常陸)의 중국조(仲國造), 장협국조(長狹國造)와 동족으로 나온다. 도전신의 일족으로는 『영집해』 권15 신귀 2년(725) 3월 14일조 「태정관처분」에 도전신광도(島田臣廣道)과 『속일본기』 연력 2년(782) 정월 정유조의 도전신궁성(島田臣宮成)이라는 인물이 보인다. 또한 『일본문덕천황실록』 제형 2년(855) 9월 갑자조의 산위(散位) 종5위상 도전조신청전(島田朝臣淸田)의 졸전에 청전이 홍인 14년(823)에 신(臣) 성에서 조신(朝臣) 성으로 개성되었다고 나온다. 청전 이후 조신 성을 칭하는 인물로는 『속일본후기』 승화 13년(846) 정월 기유조의 도전조신정계(島田朝臣貞繼)와 『일본삼대실록』 정관 원년(859) 3월 13일 기사조의 도전조신충신(島田朝臣忠臣), 원경 2년(878) 2월 25일 신묘조의 도전조신량신(島田朝臣良臣)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도전조신충신은 발해국 사신과 문장을 주고받았고, 도전조신량신은 『일본서기』 강독에도 참여하는 등 그 일족이 학문에 능했음을 알 수 있다.
2. 다조신(多朝臣)
다(多)는 ‘태(太)’, ‘대(大)’, ‘의부(意富)’라고도 하며, 신무천황의 자식인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의 후손이라고 한다. 좌경 황별(상) 「다조신」 조(077) 참조.
3.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
『고사기』 신무천황단에 의하면 상도중국조(常道仲國造), 장협국조(長狹國造), 이세선목직(伊勢船木直), 미장단우신(尾張丹羽臣), 도전신(島田臣) 등의 조상이라고 나온다. 이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다조신」 조(077) 참조.
4. 무혜하전명(武惠賀前命)
『다신궁주진장(多神宮注進狀)』에도 무혜하전명이 신팔정이명의 5대손으로 언혜하별명(彦惠賀別命)의 자식이라고 나온다.
5. 중신자상(仲臣子上)
『아소가략계보(阿蘇家略系譜)』에 나가내자상명(那珂乃子上命)으로 나온다. 다만 여기서는 나가내자상명을 무혜하전명의 증손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중신자상의 중(仲), 즉 나가(那珂)는 『고사기』 신무천황단에 보이는 중국조(仲國造)의 중국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다.
6. 미장국(尾張國) 도전상하(島田上下)
율령제하의 미장국 해부군(海部郡) 도전향(島田鄕)을 가리킨다. 현재 애지현(愛知縣) 해부군(海部郡) 미화정(美和町)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도전신(島田臣; 시마타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90_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