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안전조신(岸田朝臣; 기시타노아소미)

안전조신(岸田朝臣; 기시타노아소미)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5세손 도목숙녜(稻目宿禰; 이나메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아들 소조신(小祚臣; 오소노오미), 손자 이고(耳高; 미미타카)가 안전촌(岸田村; 기시타노무라)에 살았다. 그래서 안전신(岸田臣; 기시타노오미)이라고 하였다. 『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안전조신(岸田朝臣)
안전조신의 안전(岸田; 기시타)이라는 씨명은 안전촌(岸田村; 기시타노무라)이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천리시(天理市) 조화정(朝和町)일대이다.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안전신(岸田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고 적혀 있다. 안전(岸田; 기시타)은 애전(涯田; 기시타)이라고도 쓴다.
안전신(애전신)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대화(大化) 2년(646) 3월 신사조에 이름이 빠진 애전신(涯田臣; 기시타노오미), 천지천황(天智天皇) 즉위전기(661), 제명(齊明) 7년 시세조의 파마국사(播磨國司) 안전신마려(岸田臣麻呂)가 있다.
안전조신 일족으로는 천평 10년(738) 「준하국정세장(駿河國正稅帳)」(『대일본고문서』2-67)의 안전조신계수(岸田朝臣繼手), 천평 10년 「관인역명(官人歷名)」(『대일본고문서』24-84)의 안전조신광정(岸田朝臣廣庭) 등이 있다.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천안(天安) 원년(857) 8월 신미조의 산위(散位) 종8위하 안전조신전계(岸田朝臣全繼)는 섭진국(攝津國) 사람이라 기재되어 있다.
2. 무내숙녜(武內宿禰)
『고사기』효원천황단(孝元天皇段)에는 건내숙녜(建內宿禰; 다케우치노스쿠네)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효원천황의 증손자로 경행(景行) 대에 출생하여 성무(成務) 대에 대신의 지위에 올랐으며 중애(仲哀)을 거쳐 신공(神功), 응신(應神), 인덕(仁德) 대까지 활약한 인물로 기재되어 있다.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128)의 무내숙녜 참조.
3. 도목숙녜(稻目宿禰)
『일본서기』에서는 소아마자(蘇我馬子)의 아버지로 선화(宣化), 흠명조(欽明朝)에 대신(大臣)을 지낸 것으로 기재된 인물이다. 소아씨는 무내숙녜의 아들 석천숙녜(石川宿禰)를 시조로 하며,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소아(蘇我), 즉 현재 강원시(橿原市) 증아정(曾我町) 일대를 본거지로 하는 대호족이다. 좌경 황별(상) 「앵정조신(櫻井朝臣)」 조(067) 도목숙녜대신(稻目宿禰大臣) 참조.
3. 소조신(小祚臣)
소조신은 여기에만 보인다.
4. 이고(耳高)
이고는 여기에만 보인다.
5. 안전촌(岸田村)
안전촌과 관련된 씨명 유래 전승은 여기에만 보인다. 안전촌은 율령제하에서 대화국 산변군(山邊郡) 안전(岸田)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이곳은 나량현(奈良縣)천리시(天理市) 조화정(朝和町) 일대에 해당된다.
6.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天武天皇) 13년(684) 11월 무신삭조에 안전신(岸田臣)이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는 사성 기사와 합치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안전조신(岸田朝臣; 기시타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