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2. 연구사

크라스키노 성에 대해서는 팔라디이 카파로프가 1870년 8월 23일자 제정러시아 지질학협회에 보내는 서한에서 처음으로 언급하였다. 그는 중국 문헌자료들을 참고하였을 때에 “포시예트에는 얀추(얀치헤) 강과 기찐(까진) 강 사이에 옛날 군항이 있었을 것이다”라고 지적하였다. 후에 제정러시아 지질학협회의 과제에 따라 러시아의 극동지역을 여행한 팔라디이 카파로프는 1871년 4월에 이 성을 답사하고는 이 성을 제염저장소의 흔적이라고 잘못 판단하였다.주 001
각주 001)
Архимандрит ПалладийКафаров. Пребывание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и посещение южноуссурийских портов в 1871 году. Архив Русского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 Разряд 60, опись 1, №11. Л.8. (까파로프 팔라디이, 승원관장, 「1871년도 블라디보스토크 체류와 남우수리스크항들의 방문」, 『제정러시아 지질학협회문서보관소』, 라즈랴드 60, 오삐시 1, No. 11. 리스트 8.)
닫기
1958년에는 G.I. 안드레예브와 J.V. 안드레예바가 엑스페지치야 만 부근의 연해주 남부 극동고고학조사단 해안 팀의 일원으로 고고학 지표조사를 하면서 이 성을 조사하였다.주 002
각주 002)
Андреев Г.И., Андреева Ж.В.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Прибрежного отряда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й экспедиции в Лазовском, Ольгинском и Хасанском районах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1958 г. // Архив ИА РАН. - Р-1, №1777. - 46л.; Альбом к отчету 27л., 97илл. (안드레예브 G.I., 안드레예바 J.V., 『1958년도 연해주 라조지구, 올가지구, 하산지구에서의 극동조사단 해안 팀의 고고학조사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고고학연구소 문서보관소, P1, No. 1777. 46쪽; 보고서 앨범 27쪽, 97개 도면.)
닫기
1960년도와 1963년도에는 E.V. 샤브꾸노프가 이 유적을 조사하였다. 그는 성벽을 측량하였고, 수집 자료, 특히 기와를 토대로 이 유적을 8~9세기로 편년하였다. E.V. 샤브꾸노프는 크라스키노 성이 발해 염주의 중심지였고, 이곳에서 발해와 일본의 기본적인 교류가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였다.주 003
각주 003)
Шавкунов Э.В. Бохайское городище близ пос. Краскино в Приморье // Записки Приморского филиала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 СССР. Т.25. 1966. С.141-144. (샤브꾸노프 E.V., 「연해주 크라스키노 마을 부근의 발해 성터」, 『소련 지질학협회 연해주지부의 메모』 권 25, 1966, 141~144쪽.)
닫기
크라스키노 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1980년에야 시작되었다. 1980~1981년, 1983년, 1990년, 1994~2007년에는 V.I. 볼딘의 지도하에,주 004
각주 004)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80 году // Архив ИА РАН. P-1, №7775. (볼딘 V.I., 『1980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고고학연구소 문서보관소, P-1, No. 7775.) /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81 году // Архив Института истории, архе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народо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ДВО РАН (в дальнейшем: ИИАЭНДВ ДВО РАН). Ф.1, оп.2, №171. (볼딘 V.I., 『1981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171.) /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83 году // Архив ИА РАН. P-1, №9822. (볼딘 V.I., 『1983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고고학연구소 문서보관소, P-1, No. 9822.) /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0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361. (볼딘 V.I., 『1990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361.)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4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385. (볼딘 V.I., 『1994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385.)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5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391. (볼딘 V.I., 『1995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391.)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6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399. (볼딘 V.I., 『1996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399.)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городище Синельниково 1 и в Анучин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1997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 407. (볼딘 V.I., 『1997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씨넬니꼬보 1 성터, 아누치노 구역의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407.)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и городище Синельниково 1 в Приморье в 1998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 418. (볼딘 V.I., 『1998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및 씨넬니꼬보 1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418.)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городищах Краскинское и Синельниково 1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9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427. (볼딘 V.I., 『1999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및 씨넬니꼬보 1 성터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427.)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и Новогордеев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2000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437. (볼딘 V.I., 『2000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및 노보가르제예브까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437.)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1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615.(볼딘 V.I., 『2001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15.) /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2002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531. (볼딘 V.I., 『2002년 연해주크라스키노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531.)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3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546.(볼딘 V.I., 『2003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546.) / БолдинВ.И. Результаты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4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564. (볼딘 V.I., 『2004년도 연해주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564.)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5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505. (볼딘 V.I. 『2005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505.)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6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02. (볼딘 V.I., 『2006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15.)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7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 615. (볼딘 V.I., 『2007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극동분소 역사고고민속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15.)
닫기
2008년부터는 E.I. 겔만의 지도하에주 005
각주 005)
Гельман Е.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Хасан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2008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32. (겔만 E.I., 『2008년 연해주 하산지구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 오삐시 2, No. 632.) / Гельман Е.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Хасан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2009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53. (겔만 E.I., 『2009년 연해주하산지구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53)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0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70. (겔만 E.I., 『2010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70.)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1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90. (겔만 E.I., 『2011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90.)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2 году. T. I-III.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713. (겔만 E.I., 『2012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권 I-III,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715.)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3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О РАН. Ф. 1, оп 2, №743. (겔만 E.I. 『2013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743.)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4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 ДВО РАН. Ф. 1, оп 2, №744. T. I-IV. (겔만 E.I., 『2013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743, 권 I-IV.)
닫기
각각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처음에는 발굴조사가 유적의 북서 부분에 집중되었다. 이곳에서는 발해의 사역이 발굴되었고, 금당지, 탑기단, 10기의 기와가마터, 우물, 사역과 성의 다른 부분을 구분하고 있는 석벽의 석축기초, 아래(下) 건축면의 숭배건축물 기초, 그 주변의 석축기단, 다른 건축물 등이 조사되었다(도면 6). 1997~1998년도에는 성의 서쪽 부분에 위치하는 성벽 구조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다. 1998년부터는 동쪽 부분에 대한 조사도 시작되었는데, 동문지와 그 주변의 동벽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었고 지금까지 계속 조사되고 있다. 대부분의 발굴 유구들은 후기에 속하지만, 2005~2011년도에는 유적의 이른 시기 건축면들도 조사되었다. 성내 문화층의 두께는 곳에 따라 2m 이상이다. 성의 주거구역인 제34구역(2005~2007년도)에서는 구역들 사이로 난 도로 흔적과 5개의 건축면에 속하는 6기의 주거지(1~6호)가 조사되었다. 크라스키노 성에서의 주민 거주 시기가 7세기 말~8세기 초임을 증명하는 방사성탄소연대들이 확보되었다.
2004년부터는 매년 크라스키노 성에서 지구물리학적 조사도 수행하고 있다. 크라스키노 성 내부와 그 주변에 대해 마이크로 자기 촬영이 이루어졌고, 성의 북동 부분에서는 전기측량도 실시되었다. 2008년부터는 모든 발굴구역들에 대해 층위적 지자기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 방법론이 개발되었고, 성 내부의 구획과 여러 부분에서 건축물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잠정적 결론들이 내려졌다.주 006
각주 006)
Бессонова Е.А., Ивлиев А.Л. Результаты применения магниторазведки для решения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задач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 Вестник ДВО РАН. 2007. - № 5. - C. 92-101. (베스소노바 E.A., 이블리예프 A.L., 「크라스키노 성에서의 고고학 과제 해결을 위한 자기탐사의 결과들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베스뜨니끄』, 2007, No. 5, 92~101쪽.) / Бессонова Е.А., Гельман Е.И., Николаевна Н.А. Применение каппаметрии поверхности почвы для картирования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погребенных в паводковых наносах // Вестник ДВО РАН, 2013, № 4. - С. 70-77. (베스소노바 E.A., 겔만 E.I., 니꼴라예브나 N.A., 「범람 퇴적물에 묻힌 고고학 유구들의 분포파악을 위한 토양 상면에 대한 지자기탐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베스뜨니끄』, 2013, No. 4, 70~77쪽.)
닫기
2008년도에는 제37구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마무리되었다. 이곳에서는 불교 사역과 관련된 유구가 발견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숭배적 성격의 유구 혹은 사역과 관련이 있는 유구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제37구역 가장자리에서 서로 다른 건축면에 속하는 2기의 주거지를 부분적으로 조사하였다. 두 개의 발굴구역이 더 설정되었는데, 그 중의 한 발굴구역은 북쪽부분이 제37구역과 이어지고 그리고 이곳에서는 위(上) 건축면의 7호 주거지에 대한 조사가 계속해서 이루어졌다. 7호 주거지 아래에서는 파괴된 구들이 있는 8호 주거지가 발견되었다. 다른 발굴구역인 제40구역은 주거구역에 설정되었고 제34구역과 남쪽이 연결된다. 이곳에서는 위 건축면에서 초석 건물 벽의 석축기단과 일부가 제34구역에 포함되는 건물의 초석들, 그리고 폐기물 무지가 노출되었다. 2009년도에는 이 발굴구역에서 다시 네 개의 건축면이 조사되었는데, 이곳에서는 구덩이식의 노지와 지상식의 구들 난방시스템이 있는 7기의 주거지, 여러 가지 용도의 경제구덩이들 등이 발견되었다. 2009년도에는 처음으로 성의 남쪽 부분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여기에서는 흙을 덮은 도로의 흔적이 노출되었다.
2010년도에는 위 건축면의 구조물들-불교 사역에 인접한 곳의 구들이 있는 주거지 1기(제45구역)가 조사되었고, 궁전 유형 유구의 다른 부분과 그 안에 있는 석축기단 건물터(제44구역)에 대해 계속해서 조사가 실시되었고, 그 외에도 성 건축물의 대각선 방향 시스템에 부합하는 석축기단 건물터가 더 조사되었다. 크라스키노 성의 조사 자료에 대해 러시아와 외국에서 80편 이상의 논저가 출간되었다. 2010년 9월에는 크라스키노 성 고고학 발굴조사 시작 30주년 기념 학술회의가 있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크라스키노 성의 조사내용에 대한 기초적 총괄작업이 이루어졌다.주 007
각주 007)
Бохай: история и археология (в ознаменование 30-летия с начала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раскопок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Тез. межд. научн. конф. 4-9 сентября 2010 г. - Владивосток, 2010. - 101 с. ( 『발해: 역사와 고고학』, 크라스키노 성 고고학조사 시작 3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발표요지문, 블라디보스토크, 2010, 101쪽.)
닫기
2011년도에는 성터의 북쪽 부분에서 3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그 중 2개 지점은 유적의 북서쪽 부분에 위치한다. 이 2개 지점은 2010년도에 시작한 조사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졌다. 제 45구역의 경계들에서 성터 북쪽 부분의 문화층의 형성과 변화가 일률적이지 않았음을 보여 주었다. 서쪽 섹터와 동쪽 섹터에서는 층위가 물의 오랜 침수에 대해 증명하는 다양한 광물 구성의 강모래 및 뻘흙의 중첩이 존재함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유적의 이 지점에서는 2010년도에 조사한 위 건축면만이 보존된 것이다. 제45구역의 남쪽 섹터에서는 두께 211~243cm의 퇴적층들을 조사하였는데 발해 성 주민들이 이 지점을 부단히 사용한 것에 대해 증명하는 것이다. 그 퇴적층들에는 제 2~5건축면에 속하는 여러 개의 유구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파괴된 석축 구조물들, 석탄과 토기가 섞여 있는 폐기물 퇴적들, 노지가 있는 17호 주거지 일부, 완전히 파괴된 주거지의 노지 잔해, 경제 구덩이, 아래(下) 건축면의 주거지의 잔해일 가능성이 있는 변형된 구덩이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제47구역은 크라스키노 성터에 대한 지리물리 조사결과 발견된 지점에 설정되었다. 이곳에서는 위 건축면에 속하는 수 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발굴구역에 일부만 노출된 석축기단 건축물, 석축기단 건축물에서 남동쪽으로 15m 거리에서 2줄 고래의 구들이 있는 18호 주거지, 18호 주거지에서 남동쪽으로 2m 거리에서 자갈을 깔은 도로유구 등이 각각 조사되었다.
제48구역은 2010년도에 설정한 제44구역의 확장부인데 이곳에서는 제 44구역의 남쪽으로 석축기단 건물이 위치할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제48구역의 범위 내에서 위 건축면에 속하는 면적이 약 88m2인 건물터를 노출시켰고, 그리고 기단에서 북서쪽으로 기단과 나란히 다양한 크기의 건축용 돌들의 무지를 발견하였다. 돌들 중에는 길이가 1.5m에 달하는 것들도 있는데 아마도 파괴된 건물의 석축 구조물의 잔재들일 것이다. 가장 큰 돌들은 목재 기등을 바치고 있던 초석이었을 수도 있다.
2011년도에는 크라스키노 성터에서는 처음으로 탐침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전체 발해 유적조사에서 처음 적용된 것이다. 탐침은 지리물리학적 방법으로 확보된 자료들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주 008
각주 008)
Гельман Е.И., Ивлиев А.Л. Новый метод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й разведки (на примере 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а) // Вестник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1(167). -С. 117-124. (겔만 E.I., 이블리예프 A.L., 「새로운 고고학 지표조사 방법(크라스키노 성의 예를 통해)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베스뜨니끄』, No. 1(167), 2013, 117~124쪽.)
닫기
탐침조사는 3개 지역에서 실시되었고, 그 중 2개 지역에서 다양한 건축면에 속하는 11기 건물의 석축기단들이 확인되었다. 세 번째 지역에서는 성벽에서 서쪽으로 300m 떨어진 거리에서 석벽이 있는 추정 발해 무덤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지리물리학적 조사의 결과를 검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적 내의 층위양상이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도 밝히게 되었다. 이는 유적의 다양한 거주 성격과 홍수의 결과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또한 2011년도에는 크라스키노 성터 주민들의 경제적 이용 지역에 대한 모든 측면에서의 연구 목적으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태평양해양학연구소 및 극동지질학연구소들의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9~10세기에 성의 주민들이 건축과 일상생활에 사용하였던 석재 자원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였다.주 009
각주 009)
Съедин В.Т., Бессонова Е.А., Гельман Е.И., Зверев С.А., Коптеп М.А., Ноздрачев Е.А. Минеральное сырье 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а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 Вестник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1(167). 2013. -С. 131-140. (스예딘 V.T., 베스소노바 E.A., 겔만 E.I., 즈베레프 S.A., 꼬쁘떼쁘 M.A., 노즈드라체프 E.A.,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광물」,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베스뜨니끄』, No. 1(167), 2013, 131~140쪽.)
닫기
석재 자원의 가능한 운송 경로들이 파악되었고, 인접 지역의 경제적 이용 지역의 추정 경계도 표시되었다.
2012년도에는 성의 주거구역에 해당되는 북서쪽 부분(제44구역과 제48구역)과 북쪽 중앙 부분(제47구역), 그리고 서문지에서 서쪽으로 300m 거리 지점(제1구역과 제2구역) 등 모두 4개 지점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문지에서 서쪽으로 300m 거리 지점에서는 발해의 무덤이 조사되었다. 제44구역과 제48구역의 경계 부분에서는 2010년도에 노출되었던 기단 건물터(상(上)건축면)와 열주 유형의 기단 건물터가 정리 조사되었고, 일부가 잔존한 그리고 부분적으로 그 경계안으로 들어간 20~22호 주거지의 흔적들 및 보다 작은 10기 이상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제47구역 내에서는 구들이 딸린 19호 주거지가 조사되었는데 이 주거지는 상건축면에 속한다. 크라스키노 성 주변에서는 무덤 2기의 잔재가 조사되었다.
2013년도에는 열악한 날씨 조건 속에서 제44구역내의 거주 공간에 대해 일부 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이곳에서는 9호 주거지와 경제 마당의 잔재들이 조사 완료하였고, 21호 주거지에 대한 조사는 계속 이어졌으며, 제2건축면의 23호 주거지는 일부 노출 및 조사되었다. 유적의 북쪽 부분에서는 제47구역에서 섹터 6과 섹터 7을 확장하여 장축이 서-동 방향인 위 건축면의 도로 유구를 노출시켰다.
2014년도 야외조사 기간에는 2010년도와 2013년도에 이미 조사를 진행한 바 있는 크라스키노 성 북서쪽 부분에 위치하는 제44구역의 거주 공간에 대해 계속해서 조사를 하였다. 이곳에서는 13호, 14호, 15호, 24호 주거지를 포함하여 20기 이상의 유구를 조사하였다. 이곳의 동쪽 섹터에서는 조사가 완전히 완료되었는데 제3~제6건축면에 속하는 퇴적층들이 확인되었다. 2014년도의 중요 성과 중 하나는 과거 다른 발굴구역들에서 확인된 5개 건축면 대신에 이 유적에 모두 6개의 건축면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힌 점이다. 성의 북쪽 부분에서는 제49구역에서 2개의 도로 유구가 한꺼번에 교차점과 함께 확인되었다. 도로의 방향은 하나는 북-남 방향, 다른 하나는 서-동 방향이었다. 그 결과 한꺼번에 성내 북쪽 부분에서 4개 구역의 일부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으며, 향후 도시 구획과 관련하여 발굴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 각주 001)
    Архимандрит ПалладийКафаров. Пребывание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и посещение южноуссурийских портов в 1871 году. Архив Русского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 Разряд 60, опись 1, №11. Л.8. (까파로프 팔라디이, 승원관장, 「1871년도 블라디보스토크 체류와 남우수리스크항들의 방문」, 『제정러시아 지질학협회문서보관소』, 라즈랴드 60, 오삐시 1, No. 11. 리스트 8.) 바로가기
  • 각주 002)
    Андреев Г.И., Андреева Ж.В.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Прибрежного отряда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й экспедиции в Лазовском, Ольгинском и Хасанском районах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1958 г. // Архив ИА РАН. - Р-1, №1777. - 46л.; Альбом к отчету 27л., 97илл. (안드레예브 G.I., 안드레예바 J.V., 『1958년도 연해주 라조지구, 올가지구, 하산지구에서의 극동조사단 해안 팀의 고고학조사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고고학연구소 문서보관소, P1, No. 1777. 46쪽; 보고서 앨범 27쪽, 97개 도면.) 바로가기
  • 각주 003)
    Шавкунов Э.В. Бохайское городище близ пос. Краскино в Приморье // Записки Приморского филиала Г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Общества СССР. Т.25. 1966. С.141-144. (샤브꾸노프 E.V., 「연해주 크라스키노 마을 부근의 발해 성터」, 『소련 지질학협회 연해주지부의 메모』 권 25, 1966, 141~144쪽.) 바로가기
  • 각주 004)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80 году // Архив ИА РАН. P-1, №7775. (볼딘 V.I., 『1980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고고학연구소 문서보관소, P-1, No. 7775.) /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81 году // Архив Института истории, археологии и этнографии народо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ДВО РАН (в дальнейшем: ИИАЭНДВ ДВО РАН). Ф.1, оп.2, №171. (볼딘 V.I., 『1981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171.) /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83 году // Архив ИА РАН. P-1, №9822. (볼딘 V.I., 『1983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고고학연구소 문서보관소, P-1, No. 9822.) /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0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361. (볼딘 V.I., 『1990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361.)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4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385. (볼딘 V.I., 『1994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385.)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5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391. (볼딘 V.I., 『1995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391.)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6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399. (볼딘 V.I., 『1996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399.)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городище Синельниково 1 и в Анучин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1997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 407. (볼딘 V.I., 『1997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씨넬니꼬보 1 성터, 아누치노 구역의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407.)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и городище Синельниково 1 в Приморье в 1998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 418. (볼딘 V.I., 『1998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및 씨넬니꼬보 1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418.)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городищах Краскинское и Синельниково 1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1999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427. (볼딘 V.I., 『1999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및 씨넬니꼬보 1 성터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427.) /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и Новогордеев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2000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437. (볼딘 V.I., 『2000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터 및 노보가르제예브까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437.)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1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615.(볼딘 V.I., 『2001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15.) / Болдин В.И. Отчет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ском крае в 2002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531. (볼딘 V.I., 『2002년 연해주크라스키노 성터 야외조사 결과에 대하여』,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531.)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3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546.(볼딘 V.I., 『2003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546.) / БолдинВ.И. Результаты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4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1, оп.2, №564. (볼딘 V.I., 『2004년도 연해주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564.)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5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505. (볼딘 V.I. 『2005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505.)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6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02. (볼딘 V.I., 『2006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극동제민족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15.) / Болдин В.И. Результаты полевых исследований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2007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 615. (볼딘 V.I., 『2007년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야외조사 결과들』, 러시아과학원극동분소 역사고고민속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15.) 바로가기
  • 각주 005)
    Гельман Е.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Хасан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2008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32. (겔만 E.I., 『2008년 연해주 하산지구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 오삐시 2, No. 632.) / Гельман Е.И. Отчет об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Хасанском районе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2009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53. (겔만 E.I., 『2009년 연해주하산지구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조사 보고서』,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53)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0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70. (겔만 E.I., 『2010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70.)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1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690. (겔만 E.I., 『2011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러시아과학원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690.)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2 году. T. I-III. // Архив ИИАЭН ДВ ДВО РАН. Ф. 1, оп 2, №713. (겔만 E.I., 『2012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권 I-III,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715.)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3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Н ДВО РАН. Ф. 1, оп 2, №743. (겔만 E.I. 『2013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743.) /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2014 году. // Архив ИИАЭ ДВО РАН. Ф. 1, оп 2, №744. T. I-IV. (겔만 E.I., 『2013년도 크라스키노 성터 고고학 조사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문서보관소, 폰드 1, 오삐시 2, No. 743, 권 I-IV.) 바로가기
  • 각주 006)
    Бессонова Е.А., Ивлиев А.Л. Результаты применения магниторазведки для решения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задач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 Вестник ДВО РАН. 2007. - № 5. - C. 92-101. (베스소노바 E.A., 이블리예프 A.L., 「크라스키노 성에서의 고고학 과제 해결을 위한 자기탐사의 결과들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베스뜨니끄』, 2007, No. 5, 92~101쪽.) / Бессонова Е.А., Гельман Е.И., Николаевна Н.А. Применение каппаметрии поверхности почвы для картирования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погребенных в паводковых наносах // Вестник ДВО РАН, 2013, № 4. - С. 70-77. (베스소노바 E.A., 겔만 E.I., 니꼴라예브나 N.A., 「범람 퇴적물에 묻힌 고고학 유구들의 분포파악을 위한 토양 상면에 대한 지자기탐사」,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베스뜨니끄』, 2013, No. 4, 70~77쪽.) 바로가기
  • 각주 007)
    Бохай: история и археология (в ознаменование 30-летия с начала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раскопок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Тез. межд. научн. конф. 4-9 сентября 2010 г. - Владивосток, 2010. - 101 с. ( 『발해: 역사와 고고학』, 크라스키노 성 고고학조사 시작 3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발표요지문, 블라디보스토크, 2010, 101쪽.) 바로가기
  • 각주 008)
    Гельман Е.И., Ивлиев А.Л. Новый метод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й разведки (на примере 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а) // Вестник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1(167). -С. 117-124. (겔만 E.I., 이블리예프 A.L., 「새로운 고고학 지표조사 방법(크라스키노 성의 예를 통해) 」,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베스뜨니끄』, No. 1(167), 2013, 117~124쪽.) 바로가기
  • 각주 009)
    Съедин В.Т., Бессонова Е.А., Гельман Е.И., Зверев С.А., Коптеп М.А., Ноздрачев Е.А. Минеральное сырье Краскинского городища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 Вестник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1(167). 2013. -С. 131-140. (스예딘 V.T., 베스소노바 E.A., 겔만 E.I., 즈베레프 S.A., 꼬쁘떼쁘 M.A., 노즈드라체프 E.A., 「(연해주) 크라스키노 성의 광물」,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베스뜨니끄』, No. 1(167), 2013, 131~140쪽.)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2. 연구사 자료번호 : kr.d_0013_00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