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3) 제50구역의 유구

1호 수혈(저장구덩이). 2015년에 조사되었다. 제50구역 섹터1과 섹터2에 걸쳐 동쪽부분에 위치한다(도면 494; 495). 제2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노르스름한 갈색 사질토층에서 부식 사질토 얼룩의 형태로 노출되었다. 평면모양은 사다리꼴에 가깝다. 크기는 대략 180×210㎝이고, 깊이는 60~70㎝이다(도면 496). 내부퇴적토의 윗부분에서는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놀이 알4 점, 부정형의 철편 등이 발견되었다. 내부퇴적토의 중간부분에서는 도면상 복원이 되는 편병 1점(도면 497; 913; 914)과 사암 및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놀이 알 4점이 출토되었고, 그 외에도 돌 아래로 개의 것으로 추정되는 포유류 동물의 뼈가 발견되었다(도면 498). 내부퇴적토의 아랫부분에서는 청동 미니어처 갈고리(도면 2015-767)(도면 743, 6), 철제 심봉, 구멍이 뚫려있는 장방형 골판(도면 2015-768; 769)(도면 750, 2), 3개로 깨어진 토제 고리,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놀이 알 8점, 작은 홍옥편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1호 수혈에서는 다수의 토기편도 출토되었다(도면 2015-770~796)(도면 765, 1; 820, 2, 3, 6; 827, 1, 2, 6; 834, 9; 848, 1; 851, 4; 869, 8; 945, 6). 제1생활면에 속한다.
도면 494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1의 저장구덩이 등 평면도(2015)
도면 495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1의 저장구덩이 등 모습(남동쪽에서)(2015)
도면 496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1의 1호 저장구덩이 모습(2015)
도면 497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1의 1호 저장구덩이 내 편병 출토 모습(2015)
도면 498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1의 1호 저장구덩이 내 동물 뼈 출토 모습(2015)
2호 수혈(저장구덩이). 2015년에 조사되었다. 제50구역 섹터1의 1호 수혈 북서쪽 바로 가까이에 약5 0㎝의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도면 494; 495). 암회색 사질토 얼룩의 형태로 노출되었다. 평면모양은 장방형이다. 크기는 180×160㎝이고, 깊이는 약 60㎝이다. 내부퇴적토의 윗부분에서는 동물 뼈 수점,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놀이 알 5점, 철제 유물편, 청동 띠꾸미개 1점 등이 출토되었다(도면 499). 내부퇴적토의 아랫부분에서는 토기 동체부편 혹은 와편 혹은 사암으로 만든 놀이 알 14점, 철제 유물편, 주철제 솥편, 돌 구슬, 장방형에 가까운 청동 띠꾸미개(도면 2015-714)(도면 739, 3), 청동 버클(도면 2015-712~715)(도면 735, 1) 등이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내부퇴적토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서 다량의 토기편과 다수의 와편이 발견되었다. 제1생활면에 속한다.
도면 499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1의 2호 저장구덩이 모습(2015)
3호 수혈(저장구덩이). 2015년에 조사되었다(도면 494; 495). 제50구역 섹터1의 북쪽 모서리 가까이에 위치한다. 제4인공층 상면에서 모래가 섞인 황갈색 사질토 얼룩의 형태로 확인되었다(도면 500). 이 유구의 범위 내에서 제3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토제 숫돌(도면 2015-726; 727)(도면 661, 3)과 금속제 갈고리편이 출토되었다. 평면모양은 장방형에 가깝다. 3호 수혈의 노출된 부분은 크기가 210×220㎝, 깊이는 약 50㎝이다. 내부퇴적토의 윗부분에서는 철제 꺾쇠 1점,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놀이 알 1점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내부퇴적토 윗부분과 중간 부분 사이에는 작은 돌들이 흩어져 있었고 그 사이에서 동물 뼈 2점이 확인되었다. 내부퇴적토의 중간 부분에서는 놀이 알 4점, 철제 못 3점, 리벳이 있는 철제 판편 2점, 철제 부싯쇠 1점(도면 2015-735~737)(도면 703, 2), 삼채기 뚜껑편(도면 2015-738; 739)(도면 998, 11) 등이 출토되었다. 내부퇴적토의 아랫부분에서는 철제 꺾쇠, 철제 심봉, 토제 방추차(도면 2015-743; 744)(도면 664, 7), 놀이 알 3점, 동물 뼈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내부퇴적토의 여러 부분에서 다수의 토기편과 와편들이 발견되었다(도면 2015-746~756)(도면 756, 12; 827, 3; 843, 6). 제1생활면에 속한다.
도면 500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1의 3호 저장구덩이 모습(2015)
초석 건물지. 제50구역의 섹터3 남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다(도면 501). 2015년에 조사되었다(도면 502). 초석으로 추정되는 5개의 돌이 2개의 열을 이루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도면 2015-921). 북-남 방향은 간격이 100~120㎝, 동-서 방향은 간격이 120~122㎝이다. 초석들의 크기는 38×32㎝, 28×28㎝, 32×22㎝ 등이다. 초석들 아래로 적심은 시설되지 않았다. 유구의 다른 부분은 발굴구역의 범위를 벗어난 곳에 있다고 생각되며, 전체 규모와 성격은 분명하지 못하다. 다만 제50구역의 남서쪽에 설정된 제53구역의 동쪽 모서리 부분에서 2017년에 2개의 납작한 돌이 노출된 것이 있는데 이 초석 건물지의 일부일 가능성이 있다(도면 503). 이 경우 제50구역과 제53구역에서 노출된 초석 4개의 심간 전체 길이는 약 3.64m이다.
도면 501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3과 제53구역의 초석 건물지 평면도(2015; 2017)
도면 502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3의 초석 건물지 모습(남동쪽에서)(2015)
도면 503 | 크라스키노성 제53구역 부분의 초석 건물지 모습(2017)
돌무지. 2015년에 조사되었다(도면 504; 505). 제50구역 섹터2의 도로와 가까운 거리의 북쪽 부분에 위치한다. 제3인공층에서 노출되었고, 제5인공층에서 유구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굴조사가 중단되었다. 돌들의 크기는 대개 10×15㎝부터 20×20㎝까지이다. 장축이 도로와 동일한 방향이다. 이 돌무지의 노출된 부분 위와 아래의 레벨 차이는 약 30㎝이다. 크기는 길이 170㎝, 너비 70㎝ 정도이다.
도면 504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2의 돌무지 평단면도(2015)
도면 505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2의 돌무지(앞쪽)와 도로 모습(북서쪽에서)(2015)
초석과 돌무지. 2015년에 조사되었다(도면 506; 507). 제50구역의 섹터2와 섹터3 사이에 위치한다. 돌무지 사이에 초석이 있다. 초석 두 섹터 사이의 둑에, 돌무지는 대부분이 섹터3의 아-베-1-2방안에 위치한다. 돌무지의 전체 크기는 약 120×140㎝이다. 돌들의 크기는 윗부분은 평균1 5~20㎝이고, 아랫부분은 25~30㎝이다. 초석으로 추정되는 돌은 크기가 70×40㎝이다.
도면 506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2와 섹터 3의 도로와 초석 및 돌무지(남동쪽에서)(2015)
도면 507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섹터 2와 섹터 3 사이 둑의 초석과 돌무지(2015)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제50구역의 유구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5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