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8) 석축구조물

2005년 제32구역과 2006년 제33-a구역에 걸쳐 조사되었다. 제32구역과 제33a구역에서 각각 절반씩이 노출되었다(도면 41; 42; 43). 제3인공층에서 상면이 드러났다. 평면모양은 준 타원형이다. 유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들이 흩어진 상태로 놓여 있었다. 이 유구의 안쪽에서는 25~30㎝ 깊이로 회색의 단단한 사질토가 들어있었다. 동남 변의 가운데 부분에 모래층 아래로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가 볼록하게 둔덕을 이루고 있었다. 이 볼록한 둔덕의 크기는 68×34㎝이다. 이것은 입구의 단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석벽구조물의 크기는 보고된 것이 없지만 도면을 통해 볼 때에 대략 6×4.2m이다(도면 44). 장축이 북동-남서 방향이다. 이 석축구조물은 그 어떤 건물의 기초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분명하지 않다. 유물은 윤제 토기편들이 출토되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느 토기편들이 이 유구에서 출토된 것인지는 따로 보고되지 않았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석축구조물의 바로 아래에 장방형 초석 건물터가 위치한다는 사실이다(도면 45). 이 석축구조물과 초석 건물터의 층위 관계는 토층도(도면 2005-12 동벽 토층도)에 잘 반영되어 있다. 이 유구는 제2생활면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석축구조물의 북서쪽 가까이에는 적심으로 생각되는 돌무지 및 돌확이 노출되었다(도면 41; 46).
도면 41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32구역 석축구조물과 주변 유구 제2인공층 평면도(2005)
도면 42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32구역 석축구조물 모습(2005, 서쪽에서)
도면 43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32구역 석축구조물 모습(2005)
도면 44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32구역 석축구조물 평면도(2006)
도면 45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32구역 석축구조물 모습(2006)
도면 46 | 서북지역 북부 사찰구역 제32구역 석축구조물 부근의 돌확과 돌무지(2005)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8) 석축구조물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1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