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소수전수(掃守田首; 가니모리타노오비토)

소수전수(掃守田首; 가니모리타노오비토)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아들 기도노숙녜(紀都奴宿禰; 기노츠누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소수전수(掃守田首)
소수전수의 소수전(掃守田; 가니모리타)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화천국(和泉國) 화천군(和泉郡) 소수전(掃守田; 가니모리타)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안화전시(岸和田市) 일대로 비정된다. 소수전수씨는 화천국 황별조에도 소수전수가 게재되어 있다.
소수전수 일족은 우경경에는 보이지 않지만, 천평신호 원년(765) 8월 16일 「대화국 십시군 지상향 옥지매매권(天平神護元年八月十六日 大和國十市郡池上鄕屋地賣買券)」(『대일본고문서』4-522)의 대화국 십시장권(十市莊券)에 서명한 대화국(大和國) 소예(少豫) 정7위상 소수전비등마양(掃守田毗登馬養) 등을 들 수 있다.
2. 무녜숙녜(武內宿禰)
『고사기』효원천황단(孝元天皇段)에는 건내숙녜(建內宿禰; 다케우치노스쿠네)로 기재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효원의 증손자로 경행(景行) 대에 출생하여 성무(成務) 대에 대신의 지위에 올랐으며 중애(仲哀)를 거쳐 신공(神功), 응신(應神), 인덕천황(仁德天皇) 대까지 활약한 인물로 기재되어 있다.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田口朝臣)」 조(066)의 무내숙녜 참조.
3. 기도노숙녜(紀都奴宿禰)
기도노숙녜는 『일본서기』에 기각숙녜(紀角宿禰; 기노츠노노스쿠네), 『고사기』에 목각숙녜(木角宿禰; 기노츠노노스쿠네)라고 표기되어 있다. 또 『고사기』에 효원천황(孝元天皇)의 자손으로 무내숙녜(武內宿禰)의 아들인 기각숙녜(紀角宿禰; 기노츠노노스쿠네)를 시조로 하는 전승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서기』 응신천황(應神天皇) 3년 시세조에는 “백제의 진사왕(辰斯王)이 귀국의 천황에게 무례하였으므로 기각숙녜, 우전시대숙녜(羽田矢代宿禰; 하타노야시로노스쿠네), 석천숙녜(石川宿禰; 이시카와노스쿠네), 목토숙녜(木菟宿禰; 츠쿠노스쿠네) 등을 파견하여 그 무례함을 책하였다. 이 때문에 백제국은 진사왕을 죽여 사죄하였다. 기각숙녜 등은 다시 아화(阿花)를 왕으로 세우고 돌아왔다.”라고 적혀 있다. 또 인덕천황(仁德天皇) 41년 3월조에는 기각숙녜가 백제에 가서 국군(國郡)의 경계를 정하고 향토 소출을 기록하였다는 기사가 보인다. 좌경 황별 「기조신(紀朝臣)」 조(068)의 기각숙녜(紀角宿禰)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수전수(掃守田首; 가니모리타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