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코르사코프카 유적

  • 저필자
    방민규((재)고려문화재연구원)
  • 시대
    발해
  • 원소장처
    연해주 우수리스크 지구
  • 시대
    발해
  • 유형
    생활
해설
1. 코르사코프카 사원지
연해주 우수리스크 지구(Уссурийский район,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에서 서북쪽으로 32㎞ 떨어진 코르사코프카 마을에서 서쪽으로 2㎞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남쪽으로는 수분하의 한 지류인 크로우노프카강이 인접하고 있으며, 주변으로는 높지 않은 산지가 위치한다. 사원지에서 강을 거슬러 10㎞ 정도 올라가며 아브리코스와 코푸이토 사원지가 나오며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보리소프카 사원지가 나오는데 이 주변을 따라 일련의 교통로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사원지의 바닥면에서는 정방형의 6m짜리 기단이 확인되고, 기단부 표면에서는 적심석(積心石)과 주초석(柱礎石)이 확인되는데, 초석간의 거리는 약 149㎝이고 전체 건물지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3칸이다. 출토 유물로는 발해 연화봉황문 수막새를 위시하여 암키와, 수키와, 곱새기와, 암막새, 치미(鴟尾), 착고기와 등이 발견된다.
특히 암키와 끝단에는 지두압흔(指頭壓痕)이 확인된다. 철기류로는 철제 갑편과 철제 못, 철제 풍탁(風鐸) 등이 발견된다. 봉황문 이외에도 고려시대에 나타나는 해무늬 수막새와 인화무늬 암막새가 출토되는데 이를 통해 이 사원은 발해 건국 초반인 8~9세기 초에 창건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코르사코프카 사원지는 1992년 예비 탐사를 토대로 1993년과 1994년 수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최초로 이루어진 해외 발굴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2. 코르사코프카-1 주거유적
연해주 우수리스크 지구 보리솝카강 왼쪽 강변에 있는 코르사콥카 마을에서 남쪽으로 1.6㎞ 떨어진 높은 테라스 위에 위치한다. 전체 크기는 200,000㎡이다. 문화층의 두께는 2m에 달한다. 확인된 유물은 연질토기와 회전판 토기, 석기, 철기와 청동제품 등이 있다. 유물과 층위를 보아 초기 철기시대인 크로우놉카문화와 늦은 발해시기(9~10세기)에 해당되는 다층위 유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126㎡의 면적이 발굴되어 토기 가마, 주거지와 저장구덩이 등이 확인되었다.
3. 코르사코프카-2 주거유적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 지구 크로우놉카 마을에서 남서쪽으로 3㎞ 떨어진, 크로우놉카강의 좌안(左岸) 단구대에 위치한다. 유적의 남쪽은 강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유적은 전체 평면크기가 62,500㎡이며 문화층의 두께는 2m에 달한다. 확인된 유물은 연질과 회전판 토기편, 기와, 토제품, 철기 등이 있다. 출토된 유물로 미루어 두 시기의 층위가 확인되는데, 아래층은 초기철기시대 크로우놉카문화이며, 위층은 9~10세기 발해시기로 추정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코르사코프카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3_0040_0020_015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