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동벽의 제2굄돌(옆면의 도교 인물들)

  • 저필자
    김진순(대구국제공항 문화재감정관)
강서대묘(江西大墓) 제2굄돌 동벽 옆면에 그려진 도교 인물들이다. 강서대묘 제2굄돌 사면(四面)에는 다양한 선인(仙人)들과 천인(天人), 서수(瑞獸, 상서로운 동물)들이 등장한다. 선인이라는 개념은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에 형성되었다. 선인과 동의어인 신선(神仙)이라는 명칭은 반고(班固, 32­92)의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의하면 「참된 생명을 유지하고 세상 밖에서 노니는 사람으로 애오라지 뜻을 깨끗이 하고 마음을 가라앉혀 삶과 죽음의 영역을 한가지로 하여 가슴속에 슬픔이 없는 존재」라는 뜻이다. 따라서 신선 혹은 선인이란 죽음을 초월하고 천계에서 노니는 존재(存在)로 고대로부터 모든 사람들에 의해 추구되어 오던 이상적인 존재였다.
선인은 신선사상(神仙思想)이 매우 유행하게 되는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이르러 문학과 미술 양 분야에서 빈번하게 나타난다. 특히 이 때는 신선사상이 도교에 흡수되고 도교가 점차 중국의 종교로 자리 잡으면서 일반대중에게까지 그 세력이 확장되어 간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선인에 대한 표현이 증가하는 한편 도상에 있어서도 전대와 다른 모습 즉 한대의 짐승형에서 인간화된 선인으로 바뀌어 매우 우아하고 세장(細長)한 모습이 특징적이다. 강서대묘의 신선들은 남북조시기 선인상의 영향을 보여주며, 외형적 특징에 따라 전통 선인도상과 불교의 영향을 보여주는 천의(天衣)를 걸친 선인도상 두 가지로 나뉜다.
전통 선인도상의 일반적 특징은 ① 龍이나 학과 같은 탈 것에 의지함, ② 구름을 타고 있음, ③ 날개가 돋아남, ④ 우의(羽衣, 날개 옷)를 착용함, ⑤ 긴 귀, ⑥ 뾰족 신발의 착용 등으로 요약된다. 이밖에도 선초(仙草), 향로(香爐), 지팡이, 부채 등을 손에 쥐고 관(冠)을 쓰고 있는 것도 선인의 특징이다.
화면에는 선인과 천인, 신산(神山), 봉황이 등장한다. 맨 앞의 선인은 부분 박락이 심해 머리와 사지(四肢)의 모습이 모호하게 남아있으나, 우의{선인들의 의복으로, 옷자락의 끝단이 새의 날개처럼 갈라진 날개 옷}를 입고 창공을 날 듯 주행하는 모습이 확인된다. 마치 축지법을 사용하는 도인을 보는 듯 재미있는 장면이다. 선인의 주위에 묘사된 바람에 날리는 구름무늬와 팔메트무늬는 선인의 주행 속도를 배가(倍加)시켜준다. 뒤따르고 있는 천인은 앞의 선인과는 대조적으로 붉은 색 천의를 입고 무릎을 굽혀 우아한 자세로 하늘을 날고 있다. 그 뒤를 봉황이 바짝 쫓고 있는데, 봉황은 현실세계에서는 볼 수 없고 도교의 신선들이 사는 천상세계에서만 볼 수 있는 환상의 새이다. 천인과 봉황의 색채와 선묘가 너무나 아름답고 조화롭다. 중앙에는 첩첩 산중의 산악이 묘사되었는데 이는 동쪽에 있다는 전설속의 도교 명산인 삼신산(三神山)으로 추정된다. 삼신산은 봉래산(蓬萊山)·방장산(方丈山)·영주산(瀛洲山) 세 산을 일컫는 명칭으로, 그래서 인지 곤륜산만 그려진 서벽보다 산악의 규모가 훨씬 더 크게 그려졌다.
환상적인 도교의 천상세계를 우려한 선과 화려한 색감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벽의 제2굄돌(옆면의 도교 인물들) 자료번호 : kk.d_0001_004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