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난파련(難波連; 나니하노무라지)

난파련(難波連; 나니하노무라지)
 고려국(高麗國) 호태왕(好太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난파련(難波連)
난파(難波)의 지명 기원 설화에 대해서는 『일본서기』 신무기(神武紀) 무오년 2월조에 “천황의 군대를 태운 배가 드디어 동쪽을 향해 속속 출발하였다. 난파 곶에서 매우 빠른 조류를 만났으므로, 이를 낭속국(浪速國)이라 하였다. 낭화(浪花)라고도 한다. 지금 난파라고 하는 것은 말이 와전된 것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2년(758) 4월 기사조에는 정6위상 난파약사나량(難波藥師奈良) 등의 원조는 고구려인 덕래(德來)이다. 그의 5세손 혜일(惠日)이 당에서 의술을 배워 와서 약사를 성으로 했는데, 다시 난파련으로 개성을 청원하여 허락했다고 한다. 즉 이 해에 난파약사에서 난파련으로 개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술 씨족인 혜일은 3차에 결쳐 견당사로 파견된 바 있다. 『일본서기』 추고(推古) 31년(623) 7월조에 당에서 귀국한 혜일은 “대당국은 법전과 의식이 정비된 훌륭한 나라입니다. 항상 통해야 합니다”라고 보고하였듯이 당의 선진 의술을 체험한 인물이었다. 두 번째로는 서명(舒明) 2년(630)에 “대인(大仁) 약사혜일(藥師惠日)을 대당에 보냈다”라는 기록이 나오고, 세번째 기록은 효덕(孝德) 백치(白雉) 5년(654) 2월이다. 혜일의 후손들이 의술을 가업으로 할 수 있었던 데에는 선조 대에 의술의 기반이 있었기 때문이다.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2년(758) 4월조에 난파련(難波連)으로 개성한 난파약사나량(難波藥師奈良)은 이미 내약사의 차관인 내약사우(內藥司佑)에 보임되었고, 3년 후인 천평보자 5년(761)에는 장관인 내약정(內藥正)의 지위에서 전약료(典藥寮)의 차관인 전약조(典藥助)의 직위도 겸직하였다. 난파련광명(難波連廣名)은 연력(延曆) 23년(804)에 시의에 보임되었고, 대동(大同) 3년(808)에는 내약료의 장관 내약정에 임명되었다. 『영의해』 의질령에 따르면 “3대에 걸쳐 의업을 익혀 계승하면 명가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혜일의 가문은 200여 년 가까운 세월 동안 의술 관인으로서 봉사한 의술의 명가라고 할 수 있다.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観) 5년(863) 8월조에는 난파련의 일족인 우경인(右京人) 종5위하 준인정(隼人正) 난파련만마려(難波連縵麻呂), 이예권연(伊豫權掾) 정6위하 난파련실득(難波連實得), 봉전소윤(縫殿少允) 종6위상 난파련청종(難波連淸宗) 등에게 조신(朝臣)의 성을 내리는데, 그 선조가 고구려 사람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들 씨족에게 조신 성을 내린 것은 파격적인 조치로, 8색의 성에서 보면 조신은 진인(眞人) 다음의 제2위로서 6단계나 앞당긴 초고속 신분 상승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난파련의 출자가 고구려 호태왕임을 기록하고 있다. 호태왕에 대해서는 『신찬성씨록』 이외의 일본 기록에서도 확인되지 않는다. 난파련의 선조인 혜일의 5대조 덕래가 백제로 망명할 시기는 장수왕 재위기로, 그가 왕족 출신이었다면 호태왕 등 당시의 고구려 왕권에 대해 상세한 정보를 갖고 있었을 것이다. 『신찬성씨록』 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성씨록 편찬 시에 각 씨족들이 올린 「본계장」 에는 기록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8세기 중엽 단계에서는 혜일의 후손들에게 호태왕 계보 의식이 형성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2. 호태왕(好太王)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나오는 제19대 광개토왕으로, 재위 기간은 391~412년까지이다. 광개토왕비문에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모두루묘지에는 ‘국강상광개토지호태성왕(國岡上廣開土地好太聖王)’, 호우총 출토의 청동용기 명문에는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이라고 명기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난파련(難波連; 나니하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