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영암 신연리 고분군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1991·1995~1996
  • 시대
    원삼국~삼국
  • 위치
  • 원소장처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연리 1151-9번지 일대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1991년 국립광주박물관, 1995~1996년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시행.
유적개관
신연리 고분군은 영산강유역의 고분군으로, 특징적으로 발견된 매장시설인 옹관과 목곽의 상관관계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보여 주는 것으로써 주목됨. 봉분 밑바닥에는 고분이 축조되기 전 원삼국시대의 주거지 4기가 2기씩 겹쳐진 형태 로 확인되었는데, 동일한 장소에서 전혀 성격이 다른 취락과 무덤 유구가 함께 조사되어 주목됨. 유물은 주로 고분군에서 확인되었음. 1991년에 제9호분 봉분, 1995년에 3기, 1996년에 4기의 봉분이 복원되는 등 고분군을 복원하였음.
출토유물
* 토기편, 발형토기, 탄화미, 유리옥 등
참고문헌
「榮山江流域 甕棺古墳의 分類와 變遷硏究」
「靈巖 新燕里 9號墳」
해설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연리 1151-9번지 일대에 위치하는 원삼국~삼국시대의 주거지와 고분군이다. 이 유적은 뒷모실 마을 뒤쪽에 남북으로 활처럼 휘어져 뻗어 내린 구릉의 정상부에 있는데 마치 마을을 감싸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보인다.
1980년대 초에 알려진 이후 1991년 국립광주박물관, 1995~1996년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길이 10~19m, 높이 1~3m의 장방형(長方形) 또는 타원형 형태의 고분 15기, 원삼국시대의 주거지 4기가 확인되었다.
주거지는 무덤이 만들어지기 전에 지어졌던 것으로 4기가 2기씩 겹쳐진 형태로 봉분 바닥에서 확인되었다. 1호 주거지는 2호 주거지의 서쪽 일부를 파괴하면서 만들어졌으며 밋밋한 경사지에 축조되었다. 평면형태는 장방형으로 길이 3.9m, 너비 3.5m, 깊이 0.3~0.5m 정도이다. 화덕자리[노지(爐址)]는 길이 1m, 너비 0.6m로 북벽의 가운데에서 약간 서쪽으로 치우쳐 있다. 바닥은 진흙으로 일부를 다져 딱딱한 곳이 있다. 유물은 불에 탄 쌀 1톨과 유리옥 1점, 바리모양토기[발형토기(鉢形土器)] 2점 등이 있다.
조사된 8기의 무덤은 장방형 또는 장방형에 가까운 사다리꼴의 평면 형태를 하고 있으며, 모두 도랑[구(溝)]이 확인되었다. 도랑은 모서리 부분보다 가운데를 더 깊게 팠으며 도랑을 파면서 나온 흙으로 분구를 만드는데 이용하였다. 제9호분은 봉분의 형태가 방대형(方臺形)으로 봉분 주변에 도랑을 돌렸다. 봉분 내에서는 널무덤[목관묘(木棺墓)] 또는 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 3기, 독무덤[옹관묘(甕棺墓)] 4기가 확인되어 널무덤과 독무덤이 공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널무덤은 분구의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어 독무덤보다 주요한 매장시설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4호 덧널무덤의 무덤구덩이[묘광(墓壙)]는 생토(生土)를 파고 만들었는데 밑으로 내려가면서 점점 좁아진다. 무덤구덩이의 규모는 길이 2.87m, 너비 1.05m이고, 동~서 방향이 긴 형태이다. 바닥에는 진흙이 깔려 있었으며 나무널의 흔적이 있다.
독무덤은 항아리 두 개를 마주보게 설치한 이음식[합구식(合口式)], 큰 항아리에 뚜껑 또는 덮개용의 작은 토기를 결합시킨 합개식(合蓋式), 시체를 담는 항아리가 하나인 단옹식(單甕式)이 사용되었다. 무덤에서는 바리모양토기, 항아리[호(壺)], 쇠손칼[철도자(鐵刀子)], 쇠투겁창[철모(鐵矛)], 대롱옥[관옥(管玉)], 구슬 등이 출토되었다.
동일한 장소에서 주거지와 무덤 유구가 겹쳐서 조사됨으로써 성격을 달리하는 이들 유구의 선후 관계를 분명하게 보여 줄 수 있다. 또한 고분 축조 집단의 사상적 측면을 더듬어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주고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유물과 무덤 축조 방법으로 보아, 4세기 전반에서 후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영암 신연리 고분군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110_010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