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양산 다방동 패총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날짜
    1965
  • 시대
    원삼국
  • 위치
  • 원소장처
    경상남도 양산시 다방동 경상남도 양산시 다방동 224번지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1965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에 의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짐.
유적개관
양산 지역에는 원삼국시대 패총이 여러 곳에 분포되어 있음. 패총은 구릉의 정상부에 조성된 주거지에서 주변에 내다버린 폐기장으로 기능한 것으로 추정됨. 조개더미는 당시의 해수면을 고려해 보아도 높은 곳에 위치한 유적으로서 그 형성의 목적이 방어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네 곳의 패총이 조사되었으며, 그 가운데 3지구가 가장 규모가 큼.
출토유물
* 적갈색연질옹, 호형토기, 승석문단경호, 단경호, 동물뼈 등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설」
「삼국초기의 고고학적 연구 1」
「양산다방동패총 발국조사보고」
해설
경상남도 양산군 양산읍 다방리(현재 경상남도 양산시 다방동) 224번지에 위치하는 원삼국시대의 조개무지[패총(貝塚)]이다. 반도처럼 돌출한 해발 150m의 높은 구릉에 위치하는데, 이 구릉 정상부는 너비 20~30m의 동~서로 긴 평탄한 대지로 되어 있다. 조개무지의 퇴적층은 남·북의 경사면에 있는데, 특히 북쪽 경사면의 퇴적층이 두껍고 말단에서는 2m 이상이 된다.
1921년에 처음 발견되었고, 1965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1967년에 국립박물관팀이 각각 발굴 조사하였다. 3개의 문화층을 위로부터 각각 1·2·3층으로 하였는데, 주거지에서 채집되는 숯을 일본 동경의 이화학연구소에 보내 방사성탄소연대를 측정한 결과 연대는 1·2층이 기원 후 200년 경, 3층이 기원 후 100년 경으로 밝혀졌다.
출토유물로는 토기류 및 뼈와 뿔 도구[골각기(骨角器)]류가 있다. 토기류에는 김해식적갈색 문지름무늬토기[찰문토기(擦文土器)], 김해식적갈색 민무늬토기[무문토기(無文土器)], 신라식토기, 뼈화살촉[골촉(骨鏃)], 뼈송곳[골추(骨錐)], 손칼자루[도자병(刀子柄)], 착공구, 석기류와 자연유물 등이 있다.
국립박물관이 조사한 조개무지 층에서 출토된 유물에는 암갈색·흑갈색·황갈색·적갈색 무른[연질(軟質)]토기와, 회색·회흑색·회갈색·회백색·회청색 단단한[경질(硬質)]토기 등이 있다. 그 외에 뼈와 뿔 도구, 철기 등도 소량 출토되었다.
유구로는 해자[호(濠)]와 구덩이유구[수혈유구(竪穴遺構)]가 있는데, 해자의 규모는 아래 폭 0.5~0.8m, 위 폭 2.8~3.5m 정도였고, 깊이는 1.3m 내외였다. 그러나 이 해자가 설치되었을 당시의 깊이는 이보다 깊었던 것으로 보인다. 단면 형태는 ‘V’자형이고, 가장 깊은 바닥에 평탄한 부분을 만들었다. 그리고 해자 내부에 대체로 8×5m의 장방형(長方形) 범위 내에 기둥구멍[주혈(柱孔)] 열(列)이 배치되어 있어 망루(望樓)와 같은 고상가옥지(高床家屋址)로 추정된다. 출토유물로는 적갈색 무른 토기, 회흑색·회청색·회백색 단단한 토기 등이 있다. 이외에도 그물추[어망추(漁網錘)]와 뼈와 뿔 도구 등이 있다.
구덩이유구는 산 위에 있는 유적의 남반부에 위치하고 있고, 버려진 조개들은 북반부로터 그 아래 경사면에 걸쳐 퇴적되어 있다. 장방형을 이룬 구덩이의 규모는 길이 약 3.5m, 너비 1.8m 정도이며 깊이는 일정치 않았으나 0.5m 내외이다. 기둥구멍과 화덕자리[노지(爐址)] 등 기타 부대시설은 발견되지 않았다. 출토유물에는 회색·회백색 단단한 토기, 뼈와 뿔 도구 등이 있다.
입지조건이 이와 비슷한 것으로는 김해·웅천 패총 등이 있는데, 이렇게 높은 위치는 당시의 해수면을 고려해 보아도 높은 위치로서 그 형성목적이 방어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양산 다방동 패총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030_004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