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무순 하협심 유적

撫順 河夾心 遺蹟
  • 저필자
    이후석(숭실대학교)
  • 작성자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 날짜
    2004·2005
  • 시대
    초기철기시대~전한대
  • 위치
  • 원소장처
    요령성 무순시 무순현 장당진 고려영자촌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유적개관
* 혼하(渾河)와 소자하(蘇子河)가 합수되는 대화방 저수지 동북변에 있는 철배산(鐵背山)의 서측 산자락에 위치함.
* 2004년 무순시 박물관에 의해 석묘 주변에서 청동단검과 동모가 수습되어 처음으로 알려지게 됨.
* 2004~2005년 무순-청원 간 고속도로 확포장공사로 인해 유적이 노출되자 요녕성문물고고연구소(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에 의해 두 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함.
* 석묘군은 지석묘(석붕) 4기, 석관묘 2기로 이루어져 있음.
* 묘곽 주위로 일정 범위의 적석부가 마련되어 있어 묘역을 이루는 구조.
* 석관묘는 전국시대에, 지석묘는 전국말~전한초에 조영된 것으로 추정됨.
유구개관
* 지석묘 4, 석관묘 2. 지석묘는 개석이 흘러내려 있고, 지석도 일부 쓰러져 있는 상태.
* 지석묘와 석관묘는 모두 천연화강암제의 판석재를 사용하여 축조됨.
유물개관
* 각종 철기, 석기, 토기류.
출토유물
* 묘곽에서 출토된 소형 동탁이다. 종단면 제형, 횡단면 원형이다. 상단 중앙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고, 측면 3곳에도 종장방향으로 길게 투공되어 있다. 높이 약 3.0㎝/* 경호 1점/* 사립회도, 치구, 둥근동체, 평저
참고문헌
熊增瓏, 「遼寧撫順發現一處石棚墓地」, 『中國文物報』, 2006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近年遼寧北部發現的靑銅器及相關文化遺蹟」, 『遼海記憶-遼寧考古六十年重要發現』, 2014
해설
유적은 혼하(渾河)와 소자하(蘇子河)가 합수되는 대화방 저수지 동북변에 있는 철배산(鐵背山)의 산자락에 위치한다. 2004년 무순시 박물관에 의해 돌무덤 주변에서 동검(銅劍)과 동모(銅鉾)가 수습되어 알려지게 되었으며, 2004~2005년 무순-청원 간 고속도로 확장공사로 인해 유적이 노출되자 요령성문물고고연구소에 의해 두 차례에 걸쳐 조사된 바 있다.
유구는 고인돌[지석묘(支石墓)] 4기와 돌널무덤[석관묘(石棺墓)] 2기가 확인되었는데, 청동기시대의 것은 돌널무덤이고, 초기철기~전한대의 것은 고인돌이다. 고인돌은 세부적으로는 탁자식 고인돌로 분류되며, 중국학계에서 석붕(石棚)이라고도 하는 형식이다. 조사 당시 개석이 흘러내려 있고, 지석도 일부 쓰러져 있는 상태이다. 천연화강암제의 판석재를 사용하여 만들었고, 무덤 주위로 일정 범위의 적석부가 마련되어 있어 묘역을 이루는 점이 특징이다. 4기 중에 2호묘가 가장 양호하게 남아 있다.
2호묘는 대형 판석을 사용하여 묘곽을 만든 후 그 주변에는 강돌을 사용하여 일정 범위만큼 적석한 후 다시 대형 판석으로 덮은 구조이다. 묘곽은 장방형으로 주축은 거의 남북방향이다. 묘곽 바닥에는 판석 2개가 깔려 있고 그 빈틈은 소형 석재로 충전되어 있다. 돌널 주위에는 강돌을 지름 약 6.0m 범위만큼 원형으로 한 벌 쌓아 묘역을 이루었다. 묘곽의 규모는 길이 260㎝, 너비 140㎝, 높이 112㎝이다.
묘곽 내의 퇴적층은 바닥까지 크게 2층으로 구별된다. 상층에서는 북송대의 동전과 소량의 무문토기편, 철기 등이 수습되었다. 하층에서는 불에 탄 두개골편과 불에 타지 않은 무문토기편을 비롯하여 돌가락바퀴[석제방추차(石製紡錘車)] 2점, 석제장식 1점, 돌대롱옥[석제관옥(石製管玉)] 3점, 청동방울[동령(銅鈴)] 1점, 단지[단경호(短頸壺)] 1점 등이 출토되었다. 이외에도 적석부의 적석 사이에서는 전한대의 쇠괭이[철곽(鐵钁)] 1점이 출토되었고, 그 주변의 표토층에서는 원풍통보(元豊通寶) 등 북송대의 동전이 수습되었다.
연대는 적석부의 한대 철기로 보아 전한 전기 또는 기원전 2세기 전반대로 추정되며, 묘곽 상층부의 북송대의 동전들로 보아 후대에도 제의장소로 재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묘역시설로 추정되는 적석부가 있는 탁자식 고인돌은 요동 산간지대에서 전한시기까지 조영되었음을 보여주는 유적으로 중요하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무순 하협심 유적 자료번호 : isea.d_0001_0010_0030_002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