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간사한 화친의 논의를 끊고 왜적을 초멸(剿滅)하기를 청하는 조선 의정부(議政府)의 자문(咨文)

72. 請絶和事速行征進呈文
  • 발신자
    議政府
  • 발송일
    1593년 3월 24일(음)(萬曆二十一年三月二十四日)
  • 출전
    事大文軌 卷3: 86a-88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173~177쪽
72. 請絶和事速行征進呈文주 001
각주 001)
본 문서는 이호민의 『오봉집』에도 실려 있다(李好敏, 『五峯集』 卷14, 呈文, 在平壤百官呈李提督文癸巳).
닫기
 
朝鮮國議政府左議政尹斗壽等, 謹齊沐百拜, 上書于提督府老爺台座. 伏以師老氣疲, 賊久長姦, 此理之必然也. 氣疲則更難圖前, 長姦則兇謀益肆, 其亦勢然也. 今觀賊屯駐不去, 雌聲請和, 是果畏大軍耶, 抑待添兵耶. 畏大軍則其獘可乗, 待添兵則其擊宜速. 伏念大軍兵馬, 除死傷疫斃者外, 未知今存的數幾許, 而兵出已久, 想不如初來之盛也. 老爺之欲待後兵者, 亦盛算也. 但念, 此賊驚弓平壤之後, 望風長潰, 彼其尙據京城者, 見王師左次 冀有一息可偸. 倘今大軍潜機再進, 彼必謂後兵又至, 此間有許多奇謀, 其勢將虛彈自落. 況劉綎等所領砲手及薊保見調軍馬過江且邇, 而小邦環畿甸官義諸兵, 雖誠疲弱, 其所協助者, 獨不及於八公草木耶. 此眞難再之會而不可失之機也. 卑職等似聞, 營中有和議盛行而不敢早爲之辨白者. 侍郞宋, 弘猷叶理, 老爺受命杖銊, 一計士所云云 必不得行. 昨見陪臣韓應寅馳啓國王者, 則老爺所書示陪臣者, 亦有傾採一端的意思. 卑職等誠不勝驚瞻而絶氣也. 小邦之與此賊, 誓不容共戴一天. 如有言和者, 其惟擣椒自随而已. 爲老爺籌之, 亦未見其和也. 佯和後戰, 伊賊常態. 今日稽顙而明日反戈, 則在彼爲先乗其機, 而在我爲益窘加之, 以不可從之說, 則其損皇威不已大乎. 況淸正言未必遜而且與行長不恊, 此政陳平效竒之秋, 而乃反與之聴和耶. 設令大軍趕至釜山, 見彼蔽海而還, 彼見天兵一還, 又復繕砲淬劒蔽海而來, 則其禍必及於蹄涔未乾, 當何以抵敵耶. 近聞諸道塘報, 京城屯賊, 東掠於楊洲抱川加平等地, 侵軼於江原道春川府界, 西掠於衿川安山南陽仁川水原振威等地, 迫近忠淸右道地面. 孑遺之民殺死者何限. 賊必西倚和議, 東肆搶殺. 如前歲平壤五十日限前事也. 前歲則幸屬秋節, 收拾棲畝, 依倚叢薄, 或免鋒刃, 今則不然, 縛手就戮, 而農時垂失, 又不得耕種, 則其勢惟糜潰乃已近. 伏見陪臣自義州經略軍前所謄送者, 則聖旨丁寧. 又許添兵益糧, 務令盡勦倭奴. 聖旨如此, 而小邦且不得保活, 則海隅含生, 徒爲感德之鬼矣. 橫草思效隕首無日. 伏願老爺無撓和議, 速進大兵, 畢殲餘孼以究皇恩. 無任哀鳴急懇之至, 瀆冒台嚴. 死罪死罪.
 
萬曆二十一年三月二十四日.

  • 각주 001)
    본 문서는 이호민의 『오봉집』에도 실려 있다(李好敏, 『五峯集』 卷14, 呈文, 在平壤百官呈李提督文癸巳).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간사한 화친의 논의를 끊고 왜적을 초멸(剿滅)하기를 청하는 조선 의정부(議政府)의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d_0001_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