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삼사(三使) 고산쿄(御三卿)의 차림표와 접대인

[향응에서 제공된 요리의 상세 차림표]
삼사・고산케(御三家) 차림표
  혼젠(本膳)주 001
각주 001)
손님 접대를 위한 연향에서 내는 상차림에는 모테나시노젠(もてなしの膳)·혼젠(本膳)·니노젠(二の膳)·산노젠(三の膳)·요노젠(与の膳)·고노젠(五の膳) 등의 구분이 있었다. 혼젠(本膳)은 밥을 포함한 다섯 가지 요리, 니노젠(二の膳)은 밥을 뺀 여섯 가지 요리, 산노젠(三の膳)은 세 가지 요리를 내는 경우가 많았다. 혼젠·니노젠·산노젠의 순서로 내온다.
닫기
상차림. 나무 재질에 밑받침을 깐주 002
각주 002)
원문의 ‘薄盤’은 ‘우스이타(薄板)’. 꽃병 등의 밑받침으로 쓰는 얇은 판.
닫기
산보(三方)에 수북이 담음(高盛), 간토기(磨土器), 하륜삼(下輪杉)주 003
각주 003)
토기 그릇의 아랫부분이 둥근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닫기
커다란(大重)주 004
각주 004)
삼중으로 그릇을 겹쳐 담을 때 가장 밑에 오는 큰 그릇.
닫기
토기에 만새기(熊引)주 005
각주 005)
생선의 일종.
닫기
를 담음
큰 토기에 문어(蛸) 담음
각진 쟁반에 어묵(蒲鉾). 기소쿠(龜足)주 006
각주 006)
종이의 모서리를 접은 모양이 거북이의 발을 닮은 데에서 유래함. ① 닭고기의 다리나 생선 꼬치의 잡는 부분을 종이로 감아 모서리를 접는 것 ② 요리 아래에 까는 종이의 네 모퉁이를 위로 접어 올리는 것.
닫기
를 사용
큰 토기에 해파리(海月)
목기, 토기에 밥(飯)
식탁에 놓는 소금(手鹽). 젓가락 받침(箸臺)
큰 토기에 채소절임(香物)
큰 토기에 후쿠메(福目)주 007
각주 007)
생선 요리의 일종. 말린 도미, 꼬치고기 등의 고기를 잘게 잘라 으깬 것.
닫기
각진 쟁반. 작은 나무 통(小桶)에 담은 젓갈
  니노젠(二膳) 상차림
작은 토기 그릇에 상어 지느러미(鮫足)
上同 가물치말이(卷鰑)
중간 크기 토기에 국(건해삼, 토란, 우엉, 무, 구운 두부)
하륜(下輪) 조개를 담음. 기소쿠(龜足) 사용
右同 절여 말린 숭어알
上同 말린 은어(干鮎]
중간 크기 토기에 국(절인 오리, 표고버섯, 두릅)
  산노젠(三膳) 상차림
각진 쟁반에 하모리(羽盛)주 008
각주 008)
조류를 구워서 날개, 머리, 다리를 날 때의 모양으로 차려놓은 요리.
닫기
右同 국(큰 붕어, 가로로 자른 것)
중간 크기 토기에 소라(榮螺), 기소쿠(龜足) 사용
각진 쟁반에 후나모리(船盛),주 009
각주 009)
새우나 생선 사시미를 높게 쌓아서 담은 요리.
닫기
비단보자기(露はく)주 010
각주 010)
로하쿠(蝋珀). 황차(黃茶)색에 광택 없는 비단의 일종.
닫기
사용
右同 국(도미, 토막 낸 것)
  네 번째 [상차림] 나무 소재의 산보(三方)
삼나무, 바탕 종이(地紙)를 깐 다리 달린 대형 쟁반에 사시미(差味).주 011
각주 011)
생선회 사시미(刺身).
닫기
숭어(鯔) 길게 썬 회, 농어(鱸) 데쳐 겹친 것, 제비집, 왕우럭조개
 요리 밑에 깐 것(改敷)주 012
각주 012)
식기에 음식을 담을 때 밑에 까는 것. 대부분은 상록수의 잎이나 잎이 달린 작은 가지, 나중에는 종이도 사용되었다.
닫기
은 난텐(南天),주 013
각주 013)
식물 이름. 원문은 ‘なんはん’이나 ‘なんてん'의 오기로 보인다.
닫기
장춘화(長春花)주 014
각주 014)
금잔화(金盞花)의 다른 이름.
닫기
커다란 백자(白磁) 밥공기, 삼나무 다리(杉足), 하륜(下輪) 난반니(南蠻煮),주 015
각주 015)
야채·생선·새고기 따위를 기름에 튀기거나 볶은 요리.
닫기
얇은 도미 살, 소금친 송이버섯, 파, 간을 한 오리고기,주 016
각주 016)
난반니(南蠻煮)에 넣는 ‘あいくち塩鴨’.
닫기
으깬 계란. 은 숟가락을 함께 냄.
백자 소재의 작은 접시(猪口)주 017
각주 017)
초쿠(猪口). 술잔 모양의 작은 접시.
닫기
에 초된장(酢味噌)
  다섯 번째 [상차림]
둥근 상자에 향대(香臺), 낮게 다리가 있으며 대나무 손잡이가 달림. 삼나무 상자(杉箱). 도미, 피조개(赤貝), 참마주 018
각주 018)
삼나무 상자(杉箱)에 담긴 요리 재료들.
닫기
백자 접시에 모듬 요리(盛合). 구운 메추라기, 색을 낸 삼치, 보리멸 색을 입힌 구이, 껍질 벗긴 이세 새우, 된장 양념한 도미
백자의 작은 접시에 다시마 말이. 반 조각
사발(食次).주 019
각주 019)
『通航一覽』에 따르면 1764년 사행의 향응 다섯째(五つめ) 요리에서 ‘湯次’에 연이어 ‘食鉢’가 나오는 경우가 다수 확인되므로 ‘食鉢’의 뜻으로 보고 해석했다. (『通航一覽』第二, 467, 468쪽)
닫기
나무 재질의 산보(三方)
물주전자(湯次). 은. 위와 같음
중간 크기 토기에 장국(吸物) 붕어
        장국 비지로 볶은 오징어, 시나가와 김
        장국 익힌 전복주 020
각주 020)
후쿠라이리(膨ら煎). 전복을 물과 술로 충분히 끓여서 미린, 간장으로 윤기가 돌도록 완성한 요리. 옛날에는 해삼, 오징어도 사용했다.
닫기
술잔. 간토기(磨土器)
나라다이(奈良臺) 나라다이는 산보 대에 얹음. 나라산 시마다이(島臺)는 섬 모양에 다리가 있음.
유미야와타(弓八幡)주 021
각주 021)
일본의 전통예능 노가쿠(能樂)에서 부르는 노래인 요교쿠(謡曲)이자 노오(能)의 레파토리 중 하나. 여기에 열거된 노가쿠의 작품들은 각 작품에 출연하는 연기자의 모습을 인형으로 만들어 나라다이(奈良臺) 위에 장식해 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뒤에 이어지는 향응에서도 동일하게 나라다이 뒤에 노가쿠의 작품명이 기술되어 있다.
닫기
대신(大臣) 1인, 젊은 남자(若男) 1인, 노인(尉)주 022
각주 022)
노옹(老翁). 특히 노오에서 노인 역할 ↔ 노파(姥).
닫기
1인. 활주머니를 든 사람
요로(養老)      대신 1인, 젊은 남자 1인, 노인 1인. 물통과 국자(柄杓)를 든 사람
아라시야마(嵐山)   나무 돌보는 남자 1인, 나무 돌보는 여자 1인, 시테주 023
각주 023)
노가쿠(能楽)나 쿄겐(狂言)에서 주인공역.
닫기
1인. 벚나무가지를 든 사람. 같음
아시카리(芦刈)    남자 1인, 젊은 남자 1인, 여자 1인. 갈대 잎을 든 사람
구즈(國栖)주 024
각주 024)
반란으로 인해 요시노(吉野)의 菜摘川로 도망간 텐무(天武) 천황을 노인부부가 추격자로부터 숨겨주어, 천녀(天女)와 자오곤겐(蔵王権現) 신이 나타나 찬황을 축복한다는 내용.
닫기
   우이코부리(初冠)주 025
각주 025)
관례 후 처음 관(冠)을 쓰는 것.
닫기
인형, 시테 인형, 천녀(天女) 1인. 얇은 덧옷, 가발
시라히게(白髭)주 026
각주 026)
칙사(勅使)가 오우미(近江)의 시라히게묘진(白鬚明神)을 참배하자, 묘진(明神)·천녀(天女)·용신(龍神)이 나타나 히에이잔(比叡山)의 엔기(縁起)에 관해 이야기한다는 내용.
닫기
천녀 1인, 용신(龍神), 천등(天燈)주 027
각주 027)
닫기
을 든 사람. 용등(龍燈)을 든 사람, 희게 늘어뜨린 머리에 도리가부토(白たれ鳥兜)주 028
각주 028)
도리가부토(鳥兜)는 무악(舞楽)에서 사용되는 머리에 쓰는 장식품. 봉황의 머리 모양을 본 딴 것으로, 닭 벼슬처럼 상하가 길고 목 뒷부분을 덮는 형태.
닫기
을 든 사람
끝에 내는 요리(押).  안주(取肴). 절여 말린 숭어알(鱲·鱲子)
           미인초(美人草), 난텐(南天), 금불초(小車), 얼룩조릿대(熊笹), 억새 싸리, 5월 국화
술병(銚子).      금종이를 두름. 실꽃(絲花)주 029
각주 029)
비단 실을 묶어서 만든 꽃.
닫기
장식
구와에(加).      위와 같음.
   도시락(折)주 030
각주 030)
오리바코(折り箱). 얇은 나무판으로 상자 형태로 만든 얕은 용기. 요리나 과자를 담는다.
닫기
삼합
나비 모양 고다테(甲立)주 031
각주 031)
향응할 때 음식 주위에 세우는 종이.
닫기
금장식, 둘러싼 고다테 금장식
 모듬구이(けんひ燒), 작은 판 어묵(小板蒲鉾)주 032
각주 032)
이타가마보코(板蒲鉾)는 판 위에 반(半) 원형의 어묵을 얹어 내는 것.
닫기
  실꽃(いと花), 단풍(紅葉), 작은 각진 쟁반, 모서리 접은 종이 장식(금은)
   1합
 양갱(羊羹),주 033
각주 033)
팥소에 설탕·우무를 넣어 반죽하거나 찐 대표적인 일본식 과자의 하나.
닫기
금귤 고임(金柑盛)
  실꽃, 황매화(山吹), 산가지(算木) 모양으로 담기, 금 장식, 국화, 단풍
   1합
 유자 고임(柚子盛), 우이로모치(外郞餠)주 034
각주 034)
쌀가루에 설탕을 넣고 찐 과자.
닫기
  실꽃, 철선화, 작은 각진 쟁반, 실꽃을 있는 대로 다 두른 장식, 산가지 모양으로 담기, 좁은 입구에 은장식
   1합
   두 번째 호시노모노(二星物)주 035
각주 035)
호시노모노(星の物)는 술잔치에서 스하마다이(州浜台, 가장자리가 해변 모양으로 들쭉날쭉하게 만든 상(床)에 나무·바위·학·거북 등을 장식한 것)에 꽃이나 새 등의 모조품을 두지 않고 커다란 잔을 별 같이 세 개 또는 다섯 개를 나란히 놓은 미쓰보시(三星)·이쓰쓰보시(五星) 등의 명칭.
닫기
노시(熨斗) 고임, 옥수수(唐黍)
 편백의 로하쿠(비단), 나비 모양을 만든 비단보자기, 숫잔대(沢桔梗, 풀 이름)
 요리 위에 얹은 부식물(上置)은 숭어 알 소금 절임, 말린 오징어, 젓가락 대
   세 번째 호시노모노(三星物)
소금 친 연어, 작은 말린 갯장어 고임(五寸切盛 ).
 각진 쟁반(角もり), 산다화 꽃(山茶花), 가미카쿠모리(上角盛), 실꽃 홍매화(紅梅)
 요리 위에 얹은 부식물은 꼬챙이에 꿴 건해삼, 꼬치에 꿰어 말린 전복(くし貝), 옥돔, 젓가락 대
김과 절여 말린 숭어알(鱲·鱲子). 금은 장식의 각진 쟁반, 잠자리 모양을 만든 비단보자기
과자. 실꽃 소나무·매화·참죽나무(松梅椿), 잠자리 5개
  카스테라, 만주(饅頭), 설탕과자(有平糖), 큰 전병, 과자 유키미도리, 곶감(枝柿)
양갱
  모서리 접은 종이. 새, 나비
  모서리 접은 종이. 호두, 물떼새
  이쑤시개
이상은 고산케(御三家)와 삼사(三使)에게 제공된 육선(六膳) 요리
상상관
 7·5·3의 상차림, 위와 같음. 사선(四膳). 단 호시노모노(星物)는 내지 않는다.
 나라다이(奈良臺) 요리
  하고로모(羽衣)주 036
각주 036)
노가쿠 작품. 이하 긴사쓰(金札), 나니와(難波), 온다(御田)도 노가쿠 작품.
닫기
 낚시꾼(釣人) 2인, 여자 1인. 텐칸(天冠)주 037
각주 037)
노가쿠에서 사용하는 모자의 하나. 금속제 윤관(輪冠)에 가운데 달이나 봉황 등의 장식을 달고 사방에 요라쿠(瓔珞)를 늘어뜨린 형태. 여신, 천인(天人) 역할이 사용.
닫기
  긴사쓰(金札)      대신(大臣) 2인, 흑발, 와칸무리(輪冠),주 038
각주 038)
주로 남자 신 역할이 머리에 착용하는 금속제 모자.
닫기
긴사쓰(金札)
  나니와(難波)      희게 늘어뜨린 머리에 도리가부토(鳥兜)를 쓴 1인, 대신 1인, 천녀(天女) 1인, 북(太鼓)
  온다(御田)  모내는 사람 2인, 鷹帽子 인형 1인
     끝에 내는 요리(押)는 모란(ほたん), 작약(芍藥), 장춘화(長春), 황매화(山吹)
  과자 9종류
상판사·학사·양의.  혼젠(本膳). 구각(九角) 모양에 삼나무 소재 다리 달린 상에 수북이 담음. 간토기, 소도구.
 7·5·3의 상차림은 위와 같음. 단 나라다이·호시노모노는 내지 않는다.
 시마다이(島臺)
  야마노이(山の井)주 039
각주 039)
야마노이(山の井), 에마, 엔마(繪馬), 라쇼몬(羅生門), 가모(かも)는 모두 노가쿠 작품. 가모는 賀茂, 加茂, 矢立鴨라고도 표기.
닫기
 모조품. 물레, 대신 1인, 여자 1인. 통을 든 사람
  에마, 엔마(繪馬)      모조품. 덴(殿),주 040
각주 040)
에마덴(絵馬殿). 신사나 절에 봉납된 에마를 걸어두는 건물. 에마(絵馬)는 기원(祈願)·감사의 표시로 말 대신에 신사나 절에 봉납하는 말 그림 액자. 원래 신들에게 기원을 할 때에 살아 있는 말을 봉납했으나 그 후 말 대신에 흙이나 나무로 만들어진 장기(駒)가 봉납되었고, 나아가 그것 대신 말을 그린 에마를 봉납하게 되었다고 한다.
닫기
에마를 든 사람 1인, 흑발 당관(唐冠) 1인
  라쇼몬(羅生門)      모조품. 붉은 머리(赤頭) 인형,주 041
각주 041)
아카가시라(赤頭)는 노가쿠에서 덴구(天狗)·신령·악귀·요괴·사자(獅子) 등을 연기하는 배우가 쓰는 가발. 붉고 긴 머리.
닫기
흑발 가래(鍬形)주 042
각주 042)
닫기
장식의 인형
  가모(かも)        모조품. 화살, 천녀(天女). 흑발 당관(唐冠)
 구레하(吳服)주 043
각주 043)
구레하(吳服), 구로즈카(黑塚), 오시오(小鹽)는 모두 노가쿠 작품.
닫기
   모조품. 베틀, 대신 1인, 천녀, 얼레주 044
각주 044)
짠 실을 감는 테. 축이 있어서 회전하며 감거나 풀게 되어 있음.
닫기
를 드는 사람
 구로즈카(黑塚)      모조품. 얼레, 야마부시(山臥)주 045
각주 045)
산야(山野)에 살면서 수행하는 승려.
닫기
1인, 간무리가타(冠形)주 046
각주 046)
가면(假面) 상단에 관(冠)·에보시(烏帽子)의 밑단 모양을 먹으로 그려 넣거나 조각해 넣은 부분.
닫기
에 쇠몽둥이(鐵杖)를 든 사람
 오시오(小鹽)       모조품. 奈袴 인형, 노인 1인, 벚나무 가지를 든 사람
  끝에 내는 요리(押)는 제비붓꽃(杜若), 하늘나리(姫百合), 화로화(化老花), 해당화(海棠), 도라지(桔梗), 자양화(紫陽花), 엉겅퀴(薊)
 과자 9종류
관관(冠官)·군관(軍官). 단 혼젠(本膳)은 상상관과 같다.
 7·5·3 요리는 위와 같음.
 시마다이(島臺)
  니와토리타쓰타(鷄龍田)주 047
각주 047)
니와토리타쓰타(鷄龍田), 구라마텐구(鞍馬天狗), 화기념(花記念), 쓰치구모(土蜘)는 노가쿠 작품.
닫기
 모조품. 노가쿠 무대(殿)에 야마부시, 흑발 와칸무리(輪冠)
  구라마(鞍馬)      모조품. 화의(花衣)의 소형 인형, 붉은 머리(赤頭)에 장도(長刀)를 든 사람, 곳간
  화기념(花記念)     모조품. 수레, 대신 1인, 여자 1인, 꽃을 든 사람
  쓰치구모(土蜘)     모조품. 붉은 머리 1인, 하치마키(鉢卷)주 048
각주 048)
이마를 수건이나 끈으로 동여매는 것. 무장할 때 머리를 천으로 감고 그 위에 투구를 씀.
닫기
인형 1인
  가나와(鐵輪)주 049
각주 049)
(https://www.the-noh.com/jp/plays/data/program_026.html 참조)
닫기
  모조품 에보시(烏帽子),주 050
각주 050)
성년 남성이 쓰는 모자의 일종.
닫기
■風折 인형, 生形 인형, 인형을 든 사람
  히무로(氷室)      모조품. 천녀(天女), 백발 인형, 얼음을 든 사람
  고카지(小鑑治)주 051
각주 051)
(https://www.the-noh.com/jp/plays/data/program_037.html 참조)
닫기
 모조품. 철로 된 마룻바닥, 무네치카(宗近)주 052
각주 052)
주인공 이름. 산조노고카지무네치카(三條小鍛冶宗近).
닫기
흑발, 와칸무리(輪冠) 위에 흰 여우
   끝에 내는 요리(押)
     패랭이꽃(石竹) 벗풀(沢瀉)
     수선화(水仙)  황매화(山吹)
     국화과의 다년초(紫苑)    바위취(雪の下)
 과자 9종류
차관·소동. 3즙 11채(三汁十一菜)
   혼젠(本膳)
  회(鱠)   도미, 왕우럭조개, 밤, 생강, 금귤
  국     완자, 무, 껍질우엉, 두릅, 표고버섯
쓰보자라(坪皿)주 053
각주 053)
혼젠(本膳) 요리에 사용하는 작고 깊은 식기.
닫기
  조림(煮物) 문어, 건해삼, 파드득나물(三つ葉)
  채소절임(香物)
  밥
   니노젠(二膳)
스기야키(杉燒)주 054
각주 054)
작은 삼목(杉木) 상자에 어개류(魚介類)를 담아 불에 올렸다가 그 상자째 손님에게 내는 요리로, 요리에 삼목 향이 밴다.
닫기
아쓰쿠로, 파, 키조개(蛤·玉珧), 참마, 와사비
국           도미를 소금 간하여 삶고 토막낸 것, 뜨거운 물
히시오(醤, 醢)주 055
각주 055)
보리·누룩에 콩·찹쌀 따위를 섞어 띄우고 소금에 절인 가지나 오이 따위를 담가 저장한 것.
닫기
 호두
넓적한 접시(平皿)
잘라 구운 요리(切燒)   삼치
   산노젠(三膳)
삼나무, 바탕 종이(地紙)를 깐 다리 달린 상에 길게 썬 숭어(鯔) 회
 사시미(差味)   흰 살(白身), 해파리, 연꽃(蓮花), 와사비, 요리 밑에 깐 것은 식물 얼룩 조릿대(熊笹)
 국(붕어)
 작은 접시(小猪口) 구운 연어
 접시, 하륜(下輪) 조개. 잎이 있는 상태의 생강(葉生姜)
   네 번째
 이로야키(色燒)주 056
각주 056)
구워서 표면의 색이 바뀐 요리.
닫기
 된장에 절인 작은 도미, 미나리
 모듬 요리(盛)      닭고기 꼬치 구이(燒鳥), 메추라기(우즈라[鶉]), 이세 새우, 색을 입힌 보리멸(생선[鱚])
 니모노(煮物)       피조개, 얇은 도미의 살, 소금 간을 한 송이버섯, 으깬 계란
 생선(肴)
     대삼(大杉). 어묵
     장국(오징어, 청각) 생선 2종류를 달아 보낸다.
     사발(食次)
     물주전자(湯次)
 과자          양갱, 색을 입힌 참마, 삶은 밤, 이쑤시개(楊枝)
 후식과자        만주(饅頭), 카스테라,주 057
각주 057)
계란을 풀고 밀가루, 설탕(또는 물엿)을 섞어서 만든 반죽을 구운 과자. 포르투갈에서 전해진 남만 과자를 바탕으로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일본식 과자.
닫기
설탕과자, 미도리, 곶감, 이쑤시개

  • 각주 001)
    손님 접대를 위한 연향에서 내는 상차림에는 모테나시노젠(もてなしの膳)·혼젠(本膳)·니노젠(二の膳)·산노젠(三の膳)·요노젠(与の膳)·고노젠(五の膳) 등의 구분이 있었다. 혼젠(本膳)은 밥을 포함한 다섯 가지 요리, 니노젠(二の膳)은 밥을 뺀 여섯 가지 요리, 산노젠(三の膳)은 세 가지 요리를 내는 경우가 많았다. 혼젠·니노젠·산노젠의 순서로 내온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의 ‘薄盤’은 ‘우스이타(薄板)’. 꽃병 등의 밑받침으로 쓰는 얇은 판. 바로가기
  • 각주 003)
    토기 그릇의 아랫부분이 둥근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삼중으로 그릇을 겹쳐 담을 때 가장 밑에 오는 큰 그릇. 바로가기
  • 각주 005)
    생선의 일종. 바로가기
  • 각주 006)
    종이의 모서리를 접은 모양이 거북이의 발을 닮은 데에서 유래함. ① 닭고기의 다리나 생선 꼬치의 잡는 부분을 종이로 감아 모서리를 접는 것 ② 요리 아래에 까는 종이의 네 모퉁이를 위로 접어 올리는 것. 바로가기
  • 각주 007)
    생선 요리의 일종. 말린 도미, 꼬치고기 등의 고기를 잘게 잘라 으깬 것. 바로가기
  • 각주 008)
    조류를 구워서 날개, 머리, 다리를 날 때의 모양으로 차려놓은 요리.
     바로가기
  • 각주 009)
    새우나 생선 사시미를 높게 쌓아서 담은 요리.
     바로가기
  • 각주 010)
    로하쿠(蝋珀). 황차(黃茶)색에 광택 없는 비단의 일종. 바로가기
  • 각주 011)
    생선회 사시미(刺身). 바로가기
  • 각주 012)
    식기에 음식을 담을 때 밑에 까는 것. 대부분은 상록수의 잎이나 잎이 달린 작은 가지, 나중에는 종이도 사용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3)
    식물 이름. 원문은 ‘なんはん’이나 ‘なんてん'의 오기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14)
    금잔화(金盞花)의 다른 이름. 바로가기
  • 각주 015)
    야채·생선·새고기 따위를 기름에 튀기거나 볶은 요리. 바로가기
  • 각주 016)
    난반니(南蠻煮)에 넣는 ‘あいくち塩鴨’. 바로가기
  • 각주 017)
    초쿠(猪口). 술잔 모양의 작은 접시. 바로가기
  • 각주 018)
    삼나무 상자(杉箱)에 담긴 요리 재료들. 바로가기
  • 각주 019)
    『通航一覽』에 따르면 1764년 사행의 향응 다섯째(五つめ) 요리에서 ‘湯次’에 연이어 ‘食鉢’가 나오는 경우가 다수 확인되므로 ‘食鉢’의 뜻으로 보고 해석했다. (『通航一覽』第二, 467, 468쪽) 바로가기
  • 각주 020)
    후쿠라이리(膨ら煎). 전복을 물과 술로 충분히 끓여서 미린, 간장으로 윤기가 돌도록 완성한 요리. 옛날에는 해삼, 오징어도 사용했다. 바로가기
  • 각주 021)
    일본의 전통예능 노가쿠(能樂)에서 부르는 노래인 요교쿠(謡曲)이자 노오(能)의 레파토리 중 하나. 여기에 열거된 노가쿠의 작품들은 각 작품에 출연하는 연기자의 모습을 인형으로 만들어 나라다이(奈良臺) 위에 장식해 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뒤에 이어지는 향응에서도 동일하게 나라다이 뒤에 노가쿠의 작품명이 기술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22)
    노옹(老翁). 특히 노오에서 노인 역할 ↔ 노파(姥). 바로가기
  • 각주 023)
    노가쿠(能楽)나 쿄겐(狂言)에서 주인공역. 바로가기
  • 각주 024)
    반란으로 인해 요시노(吉野)의 菜摘川로 도망간 텐무(天武) 천황을 노인부부가 추격자로부터 숨겨주어, 천녀(天女)와 자오곤겐(蔵王権現) 신이 나타나 찬황을 축복한다는 내용. 바로가기
  • 각주 025)
    관례 후 처음 관(冠)을 쓰는 것. 바로가기
  • 각주 026)
    칙사(勅使)가 오우미(近江)의 시라히게묘진(白鬚明神)을 참배하자, 묘진(明神)·천녀(天女)·용신(龍神)이 나타나 히에이잔(比叡山)의 엔기(縁起)에 관해 이야기한다는 내용. 바로가기
  • 각주 027)
     바로가기
  • 각주 028)
    도리가부토(鳥兜)는 무악(舞楽)에서 사용되는 머리에 쓰는 장식품. 봉황의 머리 모양을 본 딴 것으로, 닭 벼슬처럼 상하가 길고 목 뒷부분을 덮는 형태.
     바로가기
  • 각주 029)
    비단 실을 묶어서 만든 꽃. 바로가기
  • 각주 030)
    오리바코(折り箱). 얇은 나무판으로 상자 형태로 만든 얕은 용기. 요리나 과자를 담는다. 바로가기
  • 각주 031)
    향응할 때 음식 주위에 세우는 종이. 바로가기
  • 각주 032)
    이타가마보코(板蒲鉾)는 판 위에 반(半) 원형의 어묵을 얹어 내는 것.
     바로가기
  • 각주 033)
    팥소에 설탕·우무를 넣어 반죽하거나 찐 대표적인 일본식 과자의 하나.
     바로가기
  • 각주 034)
    쌀가루에 설탕을 넣고 찐 과자. 바로가기
  • 각주 035)
    호시노모노(星の物)는 술잔치에서 스하마다이(州浜台, 가장자리가 해변 모양으로 들쭉날쭉하게 만든 상(床)에 나무·바위·학·거북 등을 장식한 것)에 꽃이나 새 등의 모조품을 두지 않고 커다란 잔을 별 같이 세 개 또는 다섯 개를 나란히 놓은 미쓰보시(三星)·이쓰쓰보시(五星) 등의 명칭.
     바로가기
  • 각주 036)
    노가쿠 작품. 이하 긴사쓰(金札), 나니와(難波), 온다(御田)도 노가쿠 작품. 바로가기
  • 각주 037)
    노가쿠에서 사용하는 모자의 하나. 금속제 윤관(輪冠)에 가운데 달이나 봉황 등의 장식을 달고 사방에 요라쿠(瓔珞)를 늘어뜨린 형태. 여신, 천인(天人) 역할이 사용.
     바로가기
  • 각주 038)
    주로 남자 신 역할이 머리에 착용하는 금속제 모자. 바로가기
  • 각주 039)
    야마노이(山の井), 에마, 엔마(繪馬), 라쇼몬(羅生門), 가모(かも)는 모두 노가쿠 작품. 가모는 賀茂, 加茂, 矢立鴨라고도 표기. 바로가기
  • 각주 040)
    에마덴(絵馬殿). 신사나 절에 봉납된 에마를 걸어두는 건물. 에마(絵馬)는 기원(祈願)·감사의 표시로 말 대신에 신사나 절에 봉납하는 말 그림 액자. 원래 신들에게 기원을 할 때에 살아 있는 말을 봉납했으나 그 후 말 대신에 흙이나 나무로 만들어진 장기(駒)가 봉납되었고, 나아가 그것 대신 말을 그린 에마를 봉납하게 되었다고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41)
    아카가시라(赤頭)는 노가쿠에서 덴구(天狗)·신령·악귀·요괴·사자(獅子) 등을 연기하는 배우가 쓰는 가발. 붉고 긴 머리.
     바로가기
  • 각주 042)
     바로가기
  • 각주 043)
    구레하(吳服), 구로즈카(黑塚), 오시오(小鹽)는 모두 노가쿠 작품. 바로가기
  • 각주 044)
    짠 실을 감는 테. 축이 있어서 회전하며 감거나 풀게 되어 있음.
     바로가기
  • 각주 045)
    산야(山野)에 살면서 수행하는 승려. 바로가기
  • 각주 046)
    가면(假面) 상단에 관(冠)·에보시(烏帽子)의 밑단 모양을 먹으로 그려 넣거나 조각해 넣은 부분. 바로가기
  • 각주 047)
    니와토리타쓰타(鷄龍田), 구라마텐구(鞍馬天狗), 화기념(花記念), 쓰치구모(土蜘)는 노가쿠 작품. 바로가기
  • 각주 048)
    이마를 수건이나 끈으로 동여매는 것. 무장할 때 머리를 천으로 감고 그 위에 투구를 씀. 바로가기
  • 각주 049)
    (https://www.the-noh.com/jp/plays/data/program_026.html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50)
    성년 남성이 쓰는 모자의 일종. 바로가기
  • 각주 051)
    (https://www.the-noh.com/jp/plays/data/program_037.html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52)
    주인공 이름. 산조노고카지무네치카(三條小鍛冶宗近). 바로가기
  • 각주 053)
    혼젠(本膳) 요리에 사용하는 작고 깊은 식기. 바로가기
  • 각주 054)
    작은 삼목(杉木) 상자에 어개류(魚介類)를 담아 불에 올렸다가 그 상자째 손님에게 내는 요리로, 요리에 삼목 향이 밴다. 바로가기
  • 각주 055)
    보리·누룩에 콩·찹쌀 따위를 섞어 띄우고 소금에 절인 가지나 오이 따위를 담가 저장한 것. 바로가기
  • 각주 056)
    구워서 표면의 색이 바뀐 요리. 바로가기
  • 각주 057)
    계란을 풀고 밀가루, 설탕(또는 물엿)을 섞어서 만든 반죽을 구운 과자. 포르투갈에서 전해진 남만 과자를 바탕으로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일본식 과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사(三使) 고산쿄(御三卿)의 차림표와 접대인 자료번호 : kn.k_0006_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