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에도(江戸)까지 막부의 접대 총괄자 명단

막부의 접대 총괄자(御用掛)주 001
각주 001)
고요가카리(御用掛)는 원래 궁내성(宮内省), 그 외 관청의 명을 받아 용무를 담당하는 직책 또는 그 직책에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막부의 통신사 접대 총괄자.
닫기
   로주(老中)주 002
각주 002)
로주는 도쿠가와 막부의 최고 관직. 쇼군에 직속되어 있으며, 막정(幕政)을 총괄하고 조정(朝廷)과 다이묘에 관한 일을 취급한다. 정원은 4~5명이고, 매월 당번제로 교대근무하며, 통상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譜代大名) 중에서 보임(補任)한다. 다이묘 신분이던 시기의 도쿠가와 가문의 도시요리(年寄)에서 유래하며, 간에이(寬永) 무렵에 로주라는 명칭이 정착했다. 로주의 최저 가록(家祿)은 2만 5,000석이며, 여기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로주카쿠(老中格)’라고 불렀다. 제번(諸藩)에서는 가로(家老)를 로주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다. (『官職と位階』)
닫기
          마쓰다이라 우콘노쇼겐(松平右近將監)주 003
각주 003)
마쓰다이라 다케치카(松平武元). 다케바야시(館林)번 번주 · 다나구라(棚倉)번 번주. 막부의 지샤부교, 로주(1746~1779년)를 역임.
닫기
   와카도시요리(若年寄)주 004
각주 004)
와카도시요리는 막부에서 로주 다음가는 중직(重職)으로 쇼군에 직속하며 로주 지배 이외의 관리들 특히 하타모토(旗本), 고케닌(御家人)을 통할했다.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소록(小祿)인 자를 보임했다. 정원은 3~5명, 월번(月番)으로 교대근무.
닫기
          마쓰다이라 셋쓰노카미(松平攝津守)주 005
각주 005)
마쓰다이라 다다쓰네(松平忠恒). 재임기간 1748~1768년.
닫기
   지샤부교(寺社奉行)주 006
각주 006)
무가(武家)에서 종교 관계를 담당하는 직제. 막부의 경우 전국의 사찰과 신사(神社)에 딸린 토지를 관리하며, 영민(領民)을 비롯해서 승려ㆍ신관(神官) 등을 관할하고 소송을 수리했다.
닫기
          마쓰다이라 이즈미노카미(松平和泉守)주 007
각주 007)
마쓰다이라 노리쓰케(松平乗祐). 재임기간 1760~1764년.
닫기
   오메쓰케(大目付)주 008
각주 008)
오메쓰케(目付)란 에도막부의 제반 업무를 감독하고 다이묘들의 행동을 감찰하며 관리들의 태만을 적발하는 직책이다. (『役職讀本』, 『官職と位階』)
닫기
          오이 이세노카미(大井伊勢守)주 009
각주 009)
오이 미쓰히데(大井満英). 재임기간 1753~1756년. (http://kitabatake.world.coocan.jp/rekishi40.html 참조)
닫기
   메쓰케(目付)주 010
각주 010)
에도막부의 메쓰케는 와카도시요리(若年寄)의 눈과 귀가 되어 하타모토와 고케닌을 감시하고, 제번의 경우 메쓰케는 번사(藩士, 馬迴格 이상)를 감찰하는 역직이다. (『役職読本』, 『官職と位階』)
닫기
          마가리부치 가쓰지로(曲淵勝次郞)
          오타 사부로베(太田三郞兵衛)
   간조부교(勘定奉行)주 011
각주 011)
에도막부의 관직명. 로주의 지배를 받으면서 막부 직할지의 다이칸(代官)·군다이(郡代)를 감독하고, 수세(收稅)와 금전출납과 같은 막부의 재정, 영내(領內) 농민의 행정 소송을 관장했다. 에도막부의 간조부교는 지샤부교(寺社奉行)·마치부교(町奉行)와 함께 삼봉행의 하나였다. 효조쇼(評定所)의 구성원이기도 하며, 간조쇼(勘定所)의 장으로서 막부의 재정 전체를 총괄했다.(國史大辞典)
닫기
          안도 단조쇼히쓰(安藤彈正少弼)주 012
각주 012)
安藤惟要. 재임기간 1761~1782년.
닫기
   고간조긴미야쿠(御勘定吟味役)주 013
각주 013)
막부 간조쇼(勘定所)의 사무 일체를 검사하고 부교(奉行) 이하 관리들의 비위를 로주에게 보고하며, 간조쇼가 의정(議定)하는 막부 예산에도 찬부(贊否)를 상신한다. 로주의 지배를 받는다.
닫기
          고모다 니에몬(菰田仁右衛門)
   同 구미가시라(組頭)주 014
각주 014)
무가(武家)의 직제에서는 에도막부와 각 번의 군사조직으로서 徒組, 鉄砲組, 弓組 등 한 조의 우두머리. 한편 촌역인(村役人)의 직책 중 하나이기도 하여, 쇼야(庄屋) 또는 나누시(名主)를 보좌하여 촌(村)의 행정사무를 처리했다.
닫기
          이누즈카 곤노스케(犬塚權之助)
   고간조(御勘定)주 015
각주 015)
막부에서 회계를 담당하는 직책.
닫기
          쓰루타 사주로(鶴田左十郞)
          아키야마 산주로(秋山三十郞)
          다케시마 야스자에몬(武島安左衛門)
          하와카 야시로(葉若彌四郞)
   유가(儒家)주 016
각주 016)
에도막부의 유가(儒家)로서 대대로 임명된 린케(林家)와 제2린케 두 가문 모두 하야시 라잔(林羅山)을 시조로 한다. 린케가 다이가쿠노카미(大學頭)를 칭한 것은 3대 하야시 호코(林鳳岡)부터이며, 호코까지는 승려의 모습이었다.
닫기
          하야시 다이가쿠노카미(林大學頭)주 017
각주 017)
제5대 하야시 호코쿠(林鳳谷). 1747년 조선통신사 오세쯔고요(應接御用)로 일하여 종오위하(從五位下)·즈쇼노카미(圖書頭)가 되었다. 1758년 가독을 계승하여 다이가쿠노카미가 되었다. 다이가쿠노카미는 막부가 직할하는 학문소이자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삼았던 ‘쇼헤이자카가쿠몬죠(昌平坂學問所)’의 장관(長官)으로, 대대로 린케(林家)가 세습했다.
닫기
          同 즈쇼노카미(圖書頭)
   인마(人馬) 배분 다이칸(代官)
        오다기리 신고로(小田切新五郞)
        쓰지 로쿠로자에몬(辻六郞左衛門)
        요코야마 덴에몬(橫山傳右衛門)
        마에자와 도주로(前澤藤十郞)
        우치가타 데쓰고로(內方鐵五郞)
        마노 소주로(眞野惣十郞)
접대인
        가토 도오토미노카미(加藤遠江守)
        모리 노토노카미(毛利能登守)
   조달 다이칸(賄御代官) 쓰지 겐고로(辻源五郞)
        요시다 규자에몬(吉田久左衛門)
        ■야마 이치자에몬(■山市左衛門)주 018
각주 018)
■는 원문 훼손으로 인해 판독 불가능한 글자.
닫기
답서(返翰)주 019
각주 019)
조선통신사가 가져온 국서에 대한 쇼군의 답서로 추정된다.
닫기
를 가지고 가는 역할
   오모테유히쓰(表右筆)주 020
각주 020)
막부의 직명. 와카도시요리(若年寄) 휘하에서 통상적인 막부의 공문서 작성, 일기 작성 등을 담당.
닫기
      아카사카 헤이에몬(赤坂平右衛門)
   同 유히쓰(右筆)주 021
각주 021)
귀인의 곁에서 문서 기록하는 일을 관장했던 사람.
닫기
      니이무라 도하치로(新村登八郞)
오쿠유히쓰(奧右筆)주 022
각주 022)
막부의 기밀문서 관리나 작성을 하는 직책. 지위는 낮았지만 실제로는 막부의 수많은 직책 중에서 매우 중요한 역직(役職)으로, 오늘날의 정책비서에 가까운 존재였다. 다이묘들이 쇼군을 비롯하여 막부의 각 부서에 문서를 제출할 때에 반드시 오쿠유히쓰로부터 사전에 내용을 확인받는 것이 상례였다. 오쿠유히쓰의 의견에 따라 그 문서가 쇼군까지 도달할지 여부가 결정되었을 정도였고, 막부 내에서 쇼군에게 상신된 정책 등에 관해 쇼군의 명령을 받아 조사, 보고하는 직무도 겸하고 있었다. 그들의 보고 내용에 따라 정책이 변경되거나 특정 다이묘가 재정적, 개인적인 부담을 지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이묘들은 오쿠유히쓰의 존재를 두려워했다고 한다.
닫기
답서 담당주 023
각주 023)
오쿠유히쓰가 쇼군의 답서를 청서(淸書)하거나 관리하는 역할을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닫기
   구미가시라(組頭)주 024
각주 024)
오쿠유히쓰의 최고위직. 오쿠유히쓰구미가시라(奧右筆組頭).
닫기
      시미즈 마고노조(淸須孫之丞)주 025
각주 025)
사료의 뒷부분에는 ‘淸水孫之丞’로 기재되어 있다.
닫기
   유히쓰(右筆)
      우에무라 마사지로(上村政次郞)
      나가사카 주시치로(長坂忠七郞)
 
一. 안장 얹은 말(鞍馬)와 마구(鞍皆具)를 차출한 사람들은 아래와 같다.
 에도로 향할 때 요도(淀)에서 아라이(新居)주 026
각주 026)
아라이슈쿠(新居宿). 도카이도의 宿場. 현재의 시즈오카(静岡)현 고사이시(湖西市) 아라이마치(新居町).
닫기
까지
   마쓰다이라 가가노카미(松平加賀守)
   마쓰다이라 아와노카미(松平阿波守)
   마쓰다이라 시나노노카미(松平信濃守)
 그 밖의 다이묘(大名)
   31인
 同 마이사카(舞坂)주 027
각주 027)
마이사카슈쿠(舞坂宿). 도카이도의 宿場. 현재의 시즈오카(静岡)현 하마마쓰시 니시구(西区) 마이사카마치(舞阪町).
닫기
에서 에도까지
   마쓰다이라 무쓰노카미(松平陸奧守)
   우에스기 오이노카미(上杉大炊頭)
   사타케 지로(佐竹次郞)
   마쓰다이라 야마토노카미(松平大和守)
   다치바나 사콘쇼겐(立花左近將監)
   사카키바라 시키부다유(榊原式部大輔)
   사카이 도타로(酒井東太郞)
   오쿠다이라 다이젠노다이부(奧平大膳大夫)
 그 밖의 다이묘 31인
귀국길 에도에서 마이사카(舞坂)까지
   미토(水戶)님주 028
각주 028)
도쿠가와 무네모토(德川宗翰). 미토(水戸)번의 번주 재임기간은 1730~1766년. 미토번은 현재 이바라키(茨城)현 중부와 북부를 통치했던 번이다. 번청(藩廳)은 미토(水戸)시에 위치. 미토번은 도쿠가와 고산케(御三家)의 일원.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0째 아들 요리노부(頼宣)가 20만 석으로 미토에 입봉했다. 1609년에 요리노부가 슨푸(駿府)번에 50만 석을 받아 전봉되고, 1619년에 다시 기이(紀伊)번 55만 석으로 전봉된 후 이에야스의 11째 아들 도쿠가와 요리후사(徳川頼房)가 25만 석으로 미토에 들어왔다. 요리후사 이후의 번주 가문을 미토도쿠가와(水戸徳川) 가문이라 부른다.
닫기
   마쓰다이라 사누키노카미(松平讚岐守)
   마쓰다이라 히고노카미(松平肥後守)
   마쓰다이라 시모우사노카미(松平下總守)
   마쓰다이라 엣추노카미(松平越中守)
   오가사와라 이요노카미(小笠原伊豫守)
   마쓰다이라 나오지로(松平直次郞)
   사나다 이즈노카미(眞田伊豆守)
 그 밖의 다이묘 49인
귀국길 아라이(新井)주 029
각주 029)
아라이(新居).
닫기
에서 요도(淀)까지
   기이(紀伊)님주 030
각주 030)
도쿠가와 무네노부(德川宗將). 기이(紀伊)번 번주로 재임기간은 1757~1765년. 도쿠가와 요리노부(德川頼宣)에서 시작해서 기이번의 7대 번주에 해당한다. 기이번은 도쿠가와 고산케의 일원이며, 현재 와카야마(和歌山)현과 미에(三重)현 남부를 통치했던 번이다. 번청은 현재의 와카야마(和歌山)시에 위치.
닫기
   마쓰다이라 에치젠노카미(松平越前守)
   마쓰다이라 도사노카미(松平土佐守)
   아리마 나카쓰카사다유(有馬中務大輔)
   마쓰다이라 사가미노카미(松平相模守)
   난부 다이젠노다이부(南部大膳大夫)
 그 밖의 다이묘 31인
위와 같이 차출한다. 각자의 석고(石高)주 031
각주 031)
고쿠다카(石高, 석고)는 토지의 농업 생산력을 쌀의 양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제도. 또는 논과 밭의 조세 부담 능력을 高로 표시하여 조세 할당의 기준이 되기도 했다. 1573~1596년 무렵 히데요시가 실시한 타이코켄치(太閤検地)에서 시작되었다. 각 촌(村)마다 촌고(村高)가 부여되고, 다이묘나 무사가 지배하는 영지도 석고로 표시되었다. 에도시대에 막부가 다이묘와 하타모토를 대상으로 군사적인 봉사를 비롯하여 각종 의무를 부과할 때에도 석고를 기준으로 했다.
닫기
에 따라 3필, 5필, 7필을 제출한다.
   말 1필에 마부 2인, 아시가루(足輕)주 032
각주 032)
평소에는 잡역에 종사하고, 전시에는 보졸로 출전하는 자. 에도시대의 최하급 무사. 잡병(雜兵).
닫기
2인, 긴 창(長柄) 들이 1인, 신발함 들이 등이 따른다.

  • 각주 001)
    고요가카리(御用掛)는 원래 궁내성(宮内省), 그 외 관청의 명을 받아 용무를 담당하는 직책 또는 그 직책에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여기에서는 막부의 통신사 접대 총괄자. 바로가기
  • 각주 002)
    로주는 도쿠가와 막부의 최고 관직. 쇼군에 직속되어 있으며, 막정(幕政)을 총괄하고 조정(朝廷)과 다이묘에 관한 일을 취급한다. 정원은 4~5명이고, 매월 당번제로 교대근무하며, 통상 3만 석 이상의 후다이 다이묘(譜代大名) 중에서 보임(補任)한다. 다이묘 신분이던 시기의 도쿠가와 가문의 도시요리(年寄)에서 유래하며, 간에이(寬永) 무렵에 로주라는 명칭이 정착했다. 로주의 최저 가록(家祿)은 2만 5,000석이며, 여기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로주카쿠(老中格)’라고 불렀다. 제번(諸藩)에서는 가로(家老)를 로주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다. (『官職と位階』) 바로가기
  • 각주 003)
    마쓰다이라 다케치카(松平武元). 다케바야시(館林)번 번주 · 다나구라(棚倉)번 번주. 막부의 지샤부교, 로주(1746~1779년)를 역임. 바로가기
  • 각주 004)
    와카도시요리는 막부에서 로주 다음가는 중직(重職)으로 쇼군에 직속하며 로주 지배 이외의 관리들 특히 하타모토(旗本), 고케닌(御家人)을 통할했다. 후다이 다이묘 중에서 소록(小祿)인 자를 보임했다. 정원은 3~5명, 월번(月番)으로 교대근무. 바로가기
  • 각주 005)
    마쓰다이라 다다쓰네(松平忠恒). 재임기간 1748~1768년. 바로가기
  • 각주 006)
    무가(武家)에서 종교 관계를 담당하는 직제. 막부의 경우 전국의 사찰과 신사(神社)에 딸린 토지를 관리하며, 영민(領民)을 비롯해서 승려ㆍ신관(神官) 등을 관할하고 소송을 수리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마쓰다이라 노리쓰케(松平乗祐). 재임기간 1760~1764년. 바로가기
  • 각주 008)
    오메쓰케(目付)란 에도막부의 제반 업무를 감독하고 다이묘들의 행동을 감찰하며 관리들의 태만을 적발하는 직책이다. (『役職讀本』, 『官職と位階』) 바로가기
  • 각주 009)
    오이 미쓰히데(大井満英). 재임기간 1753~1756년. (http://kitabatake.world.coocan.jp/rekishi40.html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10)
    에도막부의 메쓰케는 와카도시요리(若年寄)의 눈과 귀가 되어 하타모토와 고케닌을 감시하고, 제번의 경우 메쓰케는 번사(藩士, 馬迴格 이상)를 감찰하는 역직이다. (『役職読本』, 『官職と位階』) 바로가기
  • 각주 011)
    에도막부의 관직명. 로주의 지배를 받으면서 막부 직할지의 다이칸(代官)·군다이(郡代)를 감독하고, 수세(收稅)와 금전출납과 같은 막부의 재정, 영내(領內) 농민의 행정 소송을 관장했다. 에도막부의 간조부교는 지샤부교(寺社奉行)·마치부교(町奉行)와 함께 삼봉행의 하나였다. 효조쇼(評定所)의 구성원이기도 하며, 간조쇼(勘定所)의 장으로서 막부의 재정 전체를 총괄했다.(國史大辞典) 바로가기
  • 각주 012)
    安藤惟要. 재임기간 1761~1782년. 바로가기
  • 각주 013)
    막부 간조쇼(勘定所)의 사무 일체를 검사하고 부교(奉行) 이하 관리들의 비위를 로주에게 보고하며, 간조쇼가 의정(議定)하는 막부 예산에도 찬부(贊否)를 상신한다. 로주의 지배를 받는다. 바로가기
  • 각주 014)
    무가(武家)의 직제에서는 에도막부와 각 번의 군사조직으로서 徒組, 鉄砲組, 弓組 등 한 조의 우두머리. 한편 촌역인(村役人)의 직책 중 하나이기도 하여, 쇼야(庄屋) 또는 나누시(名主)를 보좌하여 촌(村)의 행정사무를 처리했다. 바로가기
  • 각주 015)
    막부에서 회계를 담당하는 직책. 바로가기
  • 각주 016)
    에도막부의 유가(儒家)로서 대대로 임명된 린케(林家)와 제2린케 두 가문 모두 하야시 라잔(林羅山)을 시조로 한다. 린케가 다이가쿠노카미(大學頭)를 칭한 것은 3대 하야시 호코(林鳳岡)부터이며, 호코까지는 승려의 모습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7)
    제5대 하야시 호코쿠(林鳳谷). 1747년 조선통신사 오세쯔고요(應接御用)로 일하여 종오위하(從五位下)·즈쇼노카미(圖書頭)가 되었다. 1758년 가독을 계승하여 다이가쿠노카미가 되었다. 다이가쿠노카미는 막부가 직할하는 학문소이자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삼았던 ‘쇼헤이자카가쿠몬죠(昌平坂學問所)’의 장관(長官)으로, 대대로 린케(林家)가 세습했다. 바로가기
  • 각주 018)
    ■는 원문 훼손으로 인해 판독 불가능한 글자. 바로가기
  • 각주 019)
    조선통신사가 가져온 국서에 대한 쇼군의 답서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20)
    막부의 직명. 와카도시요리(若年寄) 휘하에서 통상적인 막부의 공문서 작성, 일기 작성 등을 담당. 바로가기
  • 각주 021)
    귀인의 곁에서 문서 기록하는 일을 관장했던 사람. 바로가기
  • 각주 022)
    막부의 기밀문서 관리나 작성을 하는 직책. 지위는 낮았지만 실제로는 막부의 수많은 직책 중에서 매우 중요한 역직(役職)으로, 오늘날의 정책비서에 가까운 존재였다. 다이묘들이 쇼군을 비롯하여 막부의 각 부서에 문서를 제출할 때에 반드시 오쿠유히쓰로부터 사전에 내용을 확인받는 것이 상례였다. 오쿠유히쓰의 의견에 따라 그 문서가 쇼군까지 도달할지 여부가 결정되었을 정도였고, 막부 내에서 쇼군에게 상신된 정책 등에 관해 쇼군의 명령을 받아 조사, 보고하는 직무도 겸하고 있었다. 그들의 보고 내용에 따라 정책이 변경되거나 특정 다이묘가 재정적, 개인적인 부담을 지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이묘들은 오쿠유히쓰의 존재를 두려워했다고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23)
    오쿠유히쓰가 쇼군의 답서를 청서(淸書)하거나 관리하는 역할을 맡은 것으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24)
    오쿠유히쓰의 최고위직. 오쿠유히쓰구미가시라(奧右筆組頭). 바로가기
  • 각주 025)
    사료의 뒷부분에는 ‘淸水孫之丞’로 기재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26)
    아라이슈쿠(新居宿). 도카이도의 宿場. 현재의 시즈오카(静岡)현 고사이시(湖西市) 아라이마치(新居町). 바로가기
  • 각주 027)
    마이사카슈쿠(舞坂宿). 도카이도의 宿場. 현재의 시즈오카(静岡)현 하마마쓰시 니시구(西区) 마이사카마치(舞阪町). 바로가기
  • 각주 028)
    도쿠가와 무네모토(德川宗翰). 미토(水戸)번의 번주 재임기간은 1730~1766년. 미토번은 현재 이바라키(茨城)현 중부와 북부를 통치했던 번이다. 번청(藩廳)은 미토(水戸)시에 위치. 미토번은 도쿠가와 고산케(御三家)의 일원.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0째 아들 요리노부(頼宣)가 20만 석으로 미토에 입봉했다. 1609년에 요리노부가 슨푸(駿府)번에 50만 석을 받아 전봉되고, 1619년에 다시 기이(紀伊)번 55만 석으로 전봉된 후 이에야스의 11째 아들 도쿠가와 요리후사(徳川頼房)가 25만 석으로 미토에 들어왔다. 요리후사 이후의 번주 가문을 미토도쿠가와(水戸徳川) 가문이라 부른다. 바로가기
  • 각주 029)
    아라이(新居). 바로가기
  • 각주 030)
    도쿠가와 무네노부(德川宗將). 기이(紀伊)번 번주로 재임기간은 1757~1765년. 도쿠가와 요리노부(德川頼宣)에서 시작해서 기이번의 7대 번주에 해당한다. 기이번은 도쿠가와 고산케의 일원이며, 현재 와카야마(和歌山)현과 미에(三重)현 남부를 통치했던 번이다. 번청은 현재의 와카야마(和歌山)시에 위치. 바로가기
  • 각주 031)
    고쿠다카(石高, 석고)는 토지의 농업 생산력을 쌀의 양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제도. 또는 논과 밭의 조세 부담 능력을 高로 표시하여 조세 할당의 기준이 되기도 했다. 1573~1596년 무렵 히데요시가 실시한 타이코켄치(太閤検地)에서 시작되었다. 각 촌(村)마다 촌고(村高)가 부여되고, 다이묘나 무사가 지배하는 영지도 석고로 표시되었다. 에도시대에 막부가 다이묘와 하타모토를 대상으로 군사적인 봉사를 비롯하여 각종 의무를 부과할 때에도 석고를 기준으로 했다. 바로가기
  • 각주 032)
    평소에는 잡역에 종사하고, 전시에는 보졸로 출전하는 자. 에도시대의 최하급 무사. 잡병(雜兵).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에도(江戸)까지 막부의 접대 총괄자 명단 자료번호 : kn.k_0006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