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전)동명왕릉 진파리10호분

傳 東明王陵
  • 저필자
    이규호(동국대학교)
  • 시대
    고구려
  • 원소장처
    평양직할시 역포구역 용산리 왕릉동
  • 시대
    고구려
  • 유형
    무덤
입지
평양 중심부에서 동남쪽으로 22km 떨어진 낙랑 준평원의 동남편에 위치한 동명왕릉은 재령산의 서쪽 능선의 끝부분 구릉 상에 위치하고 있다. 고분의 배후사면에는 진파리고분군으로 알려진 왕릉동 고분군 10여 기가 분포하고 있으며, 전방평지에는 정릉사(定陵寺)가 위치해 있다.
유적개관
1974년에 본격적으로 발굴조사되었으며, 현실과 연도로 이루어진 남향의 석실봉토분이다. 한 변의 길이가 22m이고, 높이는 8.15m 규모인 방대형분이다. 봉토의 하단 기단부에는 1.5m 높이의 2단 석축이 있는데, 각 석재의 테두리에는 밀림방지턱이 만들어져 있다. 봉토 주위에는 사방 5m가량의 강자갈을 깐 묘역이 있다. 석실은 석회암과 화강암을 다듬어 쌓았다. 연도는 석실의 중앙에 위치하며, 묘도와 연도 사이에는 문을 달았던 문확돌이 남아있다. 연도는 길이 3m, 너비 1.69m, 높이 1.87m이다. 연도와 석실 사이에도 문턱과 문확이 남아있다. 석실의 평면형태는 방형이며, 천장형태는 상하 내경곡면을 고려해 치석한 사변석을 짜 맞추어 쌓은 절천장식이다. 석실의 크기는 동서 4.21m, 남북 4.18m, 높이 3.88m이다. 석실의 벽과 천정에는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벽화는 돌에 직접 그린 것으로, 현재는 그 흔적만 남아있다.
출토유물
* 금판이나 은판을 머리에 댄 철제 관정, 목관 장식용 금제 및 금동제 꽃모양 장식판, 원형 및 나뭇잎 모양의 금제 및 금동제 보요, 뒤꽂이
참고문헌
동명왕릉과 그 부근의 고구려유적, 1976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Ⅰ, 2000
해설
평양 중심부로부터 동남쪽으로 20km 떨어진 제령산 서쪽 구릉 말단부에 위치하며, 고분 앞으로 무진천이 흐른다. 본래 2단의 기단이 남아 있던 기단봉토석실분으로 현재는 3단의 기단을 가진 봉토석실분으로 복원되어 있다. 3단으로 복원한 것은 2단의 기단석 모서리 홈이 돌아가고 있는 것을 근거로 한 것이다. 기단은 위로부터의 압력으로 무덤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금씩 안으로 들여쌓기 하였고, 홈을 내어 짜 맞추었다. 기단 주위에는 5m 폭의 배수기능을 고려하여 자갈을 깔아 묘역 시설을 둔 상태이다. 이러한 기단 축조 방식은 집안의 계단식 적석총 축조방식과 같다.
매장부는 다듬은 석회암과 화강석으로 쌓았고 묘도와 널길[연도(羨道)], 널길[연도(羨道)] 좌우의 감실과 널방[현실(玄室)]로 이루어져 있다. 묘도는 동벽 425cm, 서벽 467cm이고 폭은 바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이며 묘도 벽에는 3cm 두께의 회(灰)를 발랐다. 묘도와 널길[연도(羨道)]가 만나는 곳에 문 시설이 남아있다. 널길[연도(羨道)]는 널방[현실(玄室)] 남벽 중앙에 위치하며 가공한 돌로 만들었다.
널방[현실(玄室)] 입구에도 문을 달았으나 현재 문은 남아있지 않다. 널방[현실(玄室)]은 방형 평면이고 44매의 가공석을 이용하여 아래에 큰 돌을 쌓고 위에 작은 돌을 쌓았다. 동서 421cm, 남북 416cm, 높이 388cm이다. 널방[현실(玄室)]과 널길[연도(羨道)] 벽, 천장 전면에 연꽃을 그려 장식하였다. 무덤에서는 금제, 금동제 관못, 관 장식구와 영락(瓔珞)이 수습되었다. 흙을 덮어 매장을 마감하였는데 아래에는 막돌과 검은색 사질토를 섞었고, 위에는 붉은 진흙을 다져 쌓았다. 전체 높이는 8.15m이다.
복원된 능역은 문, 기적비(紀跡碑), 개건비(改建碑), 제각(祭閣), 석물(石物), 능(陵)으로 구성되었고 복원된 동명왕릉은 너비 32m, 높이 11.5m이다. 분구 앞으로는 석상(石像)과 양 옆에 석호(石虎)와 망주석(望柱石)을 세우고, 그 앞에 문관과 무관 각 4명이 배열되어 있다. 동쪽에는 문관과 말, 서쪽에는 무관과 말을 배치하였다. 단 아래에는 동쪽에 기적비와 개건비를, 서쪽에 제각을 세웠다. 제각 내에는 동명왕(東明王)의 설화를 그린 벽화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전)동명왕릉 진파리10호분 자료번호 : isea.d_0002_0040_001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