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4) 마루장식 기와

크라스키노성에서는 치미, 연꽃봉오리장식, 용머리장식 등 건물의 지붕 마루를 장식하였던 소조품들이 적지 않게 출토되었다. 하지만 작은 편 상태로 출토되어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중 형태가 어느 정도 확인되는 것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치미
크라스키노성에서 치미는 모두 편 상태로 출토되었다. 1981년에 제5구역 금당지의 기단 입구 계단 앞쪽에서 수 점이, 1994년에 제9구역 전각지에서 14점이, 1994년에 제10구역의 석축담장 일대에서 8점이, 1999년에 제21구역의 ‘중간 생활면’ 금당지 기단에서 수 점이, 1999년에 제23구역에서 1점이, 2005년에 제32구역에서 치미의 용 눈알이, 2011년에 제48구역에서 1점이, 2017년과 2018년에 제51구역의 도로에서 다수의 치미편이 각각 발견되었다. 따라서 크라스키노성에서는 ‘위 생활면’ 금당지와 ‘중간 생활면’ 금당지, 그리고 전각지의 지붕에는 모두 치미가 놓여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크라스키노성에서 출토된 치미는 모두 편 상태여서 원래의 형태가 파악이 되지 않는다. 다만 1994년에 제9구역의 전각지에서 출토된 14점의 치미 편들은 2개체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그리고 1개체에 대해서는 도식적이기는 하여도 복원도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1994년도 러시아어판 보고서에는 이 치미에 대한 기술내용이 보고되지 않았다. 대신 한국어판 보고서에는 복원된 상태가 아니라 개별 편들에 대한 기술내용이 소개된 것이 있다.
전각지에서는 치미의 편들이 북쪽과 서쪽 와적층 내에 분산된 상태로 출토되었다. 잔존하는 편들은 종대, 날개, 꼬리, 그리고 머리 부분에 해당된다. 종대는 2열의 융기선으로 표현되었다. 2열의 융기선으로 된 종대 사이에는 5㎝ 내외의 간격으로 귀목을 배치하였는데 복원도에는 9개가 그려져 있다. 귀목은 반구상이고 크기는 직경이 약 2.8㎝이다. 귀목에는 모두 추가의 장식이 없다. 꼬리는 버선코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등과 동일한 곡율을 이루면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날개에는 융기선이 물고기의 지느러미 융기선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종대의 위쪽 바깥으로 능골과의 사이에는 십자화(十字花) 융기선 안에 1개의 귀목을 배치하여 놓았는데 이곳에 귀목이 배치된 것은 매우 독특하다고 하겠다. 복원도에는 머리 부분에 귀목이 들어있는 십자화를 융기선으로 표현해 놓았다. 머리 부분의 단면은 뒤집어진 U자 모양인데 몸통도 아마 그와 같이 속이 비었을 것이다. 머리 아래 부분과 종대 안쪽에 각각 1개씩 둥근 구멍이 나있는 것으로 복원도가 그려졌다(도면 650, 1). 이 치미는 높이는 약 52㎝, 최대 너비는 약 40.2㎝로 추정되었다(도면 1994-38b; 한국어판 도판 139~148). 하지만 복원도와 추정 크기가 얼마나 진실에 가까운지는 알 수 없다. 왜냐하면 귀목이 들어있는 십자화의 위치가 사진 및 도면으로 제시된 것과 복원도에 그 위치가 서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도면 650, 2, 3).
도면 650 | 크라스키노성 출토 치미 복원도(1)와 치미편(2~4): 1~3-제9구역(1994), 4-제48구역(2011)
2011년도에 제48구역에서 출토된 치미 쪼가리에는 반구상으로 된 귀목이 하나 표현되어 있는데 둘레로 ‘진주’ 를 붙인 흔적이 남아 있다(도면 650, 4). 즉 이것은 화형 귀목의 흔적인 것이다. 귀목의 크기는 직경 5㎝, 높이 1.6㎝이다. 가장자리에 남아 있는 ‘진주’가 붙어있던 직경 1.1㎝의 자국들은 모두 13개가 확인되었다. 치미 쪼가리 자체는 크기가 14.4×8.0×1.9㎝이다. 이 유물은 길쭉하고 오목한 형태이다. 색깔은 회색이지만, 속심은 가장자리가 오렌지-갈색인 회색이다(도면 2011-325). 크라스키노성의 위 생활면 금당지 지붕이 이와 유사한 화형 귀목을 가진 치미로 장식된 것으로 지적되었다.
만약에 그렇다면 위 생활면 금당지와 전각지의 치미는 전체의 형태는 서로 비교를 할 수가 없지만 적어도 세부 표현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2) 연꽃봉오리장식
1981년에 제5구역의 금당지 와적에서, 1994년에 제9구역 전각지에서, 2003년에 제31구역의 와실유구에서 각각 편 상태로 출토되었다. 2003년에 출토된 것은 연의 꽃잎과 화형반구장식이 부착된 몸체의 일부 등인데 두께가 1.9~2.1㎝이다(도면 2003-116, 117)(도면 651, 1~4), 1981년에 금당지 와적에서 출토된 것으로 동일 형태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이 1994년에 전각지에서 출토된 것과 흡사하다.
도면 651 | 크라스키노성 출토 연꽃봉우리장식편: 1~4-제31구역(2003), 5-제9구역(1994)
1994년에 제9구역의 전각지에서 출토된 것은 전체 형태가 추정 복원되었다(도면 651, 5; 652). 이 유물은 편 상태로 전각지의 북서쪽과 북쪽 와적층에서 출토되었다. 문양대를 중심으로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로 구분되었다. 하단부는 원통형으로 추정되었는데 위쪽에 수평 방향으로 원형의 투공과 화형반구장식이 차례로 배치되어 하나의 문양대를 이룬다. 화형반구장식에서 가운데의 반구상 돌기는 직경이 5.4㎝이고, 그 둘레에 배치된 화형의 ‘진주’는 직경이 1㎝내외이며 모두 14개이다. 원형 투공의 직경은 2㎝이다. 하단부 원통의 기저면은 너비가 4.2㎝로서 안정감을 주고 있고 위로 가면서 점차 두께가 2㎝ 내외로 얇아진다. 하단부 원통의 크기는 직경 약 61㎝, 높이 약 33.5㎝로 추정되었다. 중단부 연판과의 사이에는 1줄의 돌대를 중심으로 하여 너비 약 3.5㎝의 중단부 받침이 만들어져 있다.
도면 652 | 크라스키노 성 제9구역 출토 연꽃봉우리장식 복원도(1994)
중단부는 2줄의 연판 문양대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의 문양대는 앙련으로 되어 있고, 위의 문양대는 복련으로 되어 있다. 아래 앙련 연판은 크기가 길이 9.6㎝, 너비 10.8㎝, 두께 0.6~1.1㎝이다. 위 문양대의 복련은 크기가 길이 13㎝, 너비 11㎝, 두께 2~2.3㎝이다. 중단부 전체는 사발을 뒤집어 놓은 형태인데 추정 크기가 직경 56.4㎝, 높이 15.5㎝ 정도이다.
상단부의 아래 부분에는 직경 16㎝의 원통형 받침이 연결되어 있어 중단부의 가운데에 고정시킬 수 있게 복원도가 그려져 있다. 이 상단부의 원통과 연꽁 봉오리 사이에는 2줄의 점토 띠를 꼬아서 만든 폭 2㎝ 내외의 받침이 돌려져 있다. 상단부의 연꽃 봉오리는 이제 막 피어날 준비를 하는 연꽃의 형태를 하고 있다. 상단부의 아래쪽에는 3단의 앙련이 서로 중첩되게 표현되어 있다. 이 앙련 연판의 크기는 길이 12㎝, 너비 8.9㎝ 내외이다. 그 위에는 길이 30㎝ 정도로 오므라진 연꽃이 나선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다. 상단부의 받침 직경은 18㎝, 받침 높이는 2㎝, 연꽃봉오리 높이는 50㎝, 직경은 31㎝이다.
연꽃봉오리장식의 전체 복원 높이는 101㎝이다. 이 형태의 연꽃봉오리장식은 지붕 용마루의 가운데에 놓았던 지붕 장식으로 판단되었다.
(3) 용머리장식
1994년에 전각지가 조사된 제9구역에서 출토되었다(도면 1994-34; 도판 137-138(한글본))(도면 653). 평면이 약간 길쭉한 부정 타원 모양이다. 가장 윗부분은 납작한 연꽃봉오리 형태로 되어있다. 위 가운데에 못 구멍이 하나 뚫려 있다. 그 아래에는 ‘용의 눈’ 자리가 좌우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용의 눈’은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두 눈의 사이로 콧등으로 보이는 크게 돌출한 부분이 있다. 하지만 그 아래는 세부 표현들이 대부분 결실되어 원래의 모습을 찾을 수 없다. 뒷면은 편평하다. 납작한 점토판에 소지를 붙여 형상을 만들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크기는 길이 18.8㎝, 너비 14.7㎝, 두께 3.0~9.4㎝이다. 건물의 마루 끝부분에 부착하였던 귀면와일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도면 653 | 크라스키노 성 제9구역 출토 용머리장식편(1994)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4) 마루장식 기와 자료번호 : kr.d_0016_0030_002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