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선신(膳臣; 가시하테노오미). 우태신(宇太臣; 우다노오미). 송원신(松原臣; 마츠바라노오미)

선신(膳臣; 가시하테노오미). 우태신(宇太臣; 우다노오미). 송원신(松原臣; 마츠바라노오미)
 아배조신(阿倍朝臣; 아헤노아소미)과 조상이 같다. 대조선신(大鳥膳臣; 오토리노카시하테노오미) 등과 함께 대언명(大彦命; 오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선신(膳臣)
선신이라는 씨명은 선부(膳部)의 반조씨족이라는 데서 유래한다.
선신의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이중기(履中紀)의 선신여기(膳臣余磯), 웅략기(雄略紀)의 선신장야(膳臣長野) 및 선신반구(膳臣斑鳩), 안한기(安閑紀)의 선신대마려(膳臣大麻呂), 흠명기(欽明紀)의 선신파제편(膳臣巴提便) 및 선신경자(膳臣傾子), 추고기(推古紀)의 선신대반(膳臣大伴), 제명기(齊明紀)의 선신엽적(膳臣葉積), 천무기(天武紀)의 선신마루(膳臣摩漏) 등이 보인다. 선신반구는 가야 지역에 장군으로 파견된 바 있으며, 선신파제편은 백제에 사신으로 파견되었고, 선신경자는 고구려 사신을 접대하는 역할을 맡았고, 선신대반은 가야의 사신을 맞이하는 직책에 임명되었고, 선신엽적은 고구려에 사신으로 파견되는 등 선신씨 일족은 대외관계 및 의전 업무에서 빈번하게 활동하였다. 선신씨가 고교씨가 된 이후에도 고교조신립간(高橋朝臣笠間)은 견당대사(遣唐大使), 고교조신로마려(高橋朝臣老麻呂)는 견발해부사(遣渤海副使)에 임명되었고, 고교대구(高橋大丘)는 753년에 당에 들어갔다.
2. 우태신(宇太臣), 송원신(松原臣)
이하의 내용은 초록할 때 조작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우태신과 송원신은 선신씨의 본계에 기록되어 있던 씨명으로 여겨진다. 송원신에 대한 것은 더 이상 언급된 사료가 보이지 않아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우태신과 관련해서는 아배씨나 선씨와 관계가 깊은 『일본서기』 황극 2년(643) 11월조의 토전제석(菟田諸石)이라는 인물이 보인다.
한편 화천국 일근군(日根郡)의 토전촌(兔田村)과 화천군(和泉郡)의 우다장(宇多莊)이라는 지명이 우태신씨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3. 아배조신(阿倍朝臣)
아배조신의 원래 성은 신(臣)이다. 천무 13년(684) 11월에 조신으로 개성되었다. 비조(飛鳥) 시대부터 나량(奈良) 시대에 걸쳐 대신급 고관을 배출한 씨족이다. 『일본서기』효원 7년 2월조에 의하면 선신(膳臣), 아폐신(阿閉臣), 이하신(伊賀臣) 등 6씨족과 함께 대언명의 후손이라고 한다. 자세한 것은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4. 대조선신(大鳥膳臣)
대조(大鳥; 오토리)는 화천국 대조군(大鳥군) 대조향(大鳥鄕)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대판부 계시(堺市) 봉정(鳳町) 일대이다.
대조씨 관련 일족으로는 천평 5년(733) 정월 27일자 「사경소계(寫經所啓)」(『대일본고문서』 7-34)의 대조도족(大鳥道足), 천평 7년(735) 9월 18일자 「경사사지병급시포안(經師寫紙竝給絁布案)」(『대일본고문서』 7-41)의 대조국익(大鳥國益), 천평 11년 2월 28일자의 「사경사해(寫經司解)」(『대일본고문서』7-225)의 대조풍도(大鳥豐島) 등 『정창원문서』에 다수 보인다.
5. 대언명지후(大彦命之後)
『고사기』에는 대비고명(大毘古命)으로도 나오며, 효원천황의 장남이자 개화천황의 형으로 전한다. 『일본서기』에는 아배신(阿倍臣), 선신(膳臣), 아폐신(阿閉臣), 사사성산군(沙沙城山郡), 축자국조(筑紫國造), 월국조(越國造), 이하신(伊賀臣) 7씨족의 시조로 전한다.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선신(膳臣; 가시하테노오미). 우태신(宇太臣; 우다노오미). 송원신(松原臣; 마츠바라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4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