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남성골산성

南城谷山城
  • 저필자
    표영관
  • 시대
    삼국시대
  • 위치
  • 원소장처
    세종툭별자치시 부용면 부강리 산 24번지 일원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0.36km
입지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 남성골 일대의 해발 106m의 야산의 정상부와 사면에 산성이 축조되어 있다.
유적개관
2001~2002년에 충북대학교 박물관, 2006년에 중원문화재연구원에 의해 발굴조사되었다. 유적에서는 2중 목책과 호 등이 확인되었으며, 동문지는 석축으로 되어있고, 온돌 건물지와 추정 토기가마, 치 등이 확인되었다.
출토유물
* 고구려 토기, 금제 귀걸이
참고문헌
「淸原 南城谷 高句麗遺蹟」, 2004
해설
원주소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와 문곡리에 걸쳐 있는 산성이다. 2001년과 2002년에 시굴조사와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곽과 외곽을 갖춘 이중 구조의 목책성(木柵城)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2005년과 2006년에는 도로공사구간에 편입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2차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둘레가 270m-360m 정도 추정되며, 2열로 목책(木柵)을 설치했던 구멍들이 열을 지어 발견되었다. 바깥 목책과 안쪽 목책은 구간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대체로 1-2m 사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상부 남서쪽과 북동쪽에 각각 문터가 있다. 또 정상부의 북쪽과 서쪽으로 낮아지는 곳에는 고구려 산성의 특색 중 하나인 방어용 치성(雉城) 3개소가 확인되었다.
또 다른 방어용 시설로 동쪽 능선 상에 방어용 참호를 4개소 설치한 것도 발굴결과 확인되었다. 즉 능선을 올라 성내로 진입하려면 이들 방어 참호를 지나 북동문을 통과해야 하는데, 그 진입로가 참호를 중심으로 S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진입을 매우 어렵게 만든 것이다. 또 북동문 북쪽에는 돌을 쌓아 성벽을 축조했던 흔적이 있어서, 목책으로 쌓았던 성을 석축으로 다시 쌓아올리려던 흔적으로 파악된다.
성의 내부에서는 다수의 저장 구덩이들과 주거지 흔적을 비롯하여, 토기를 구울 수 있는 가마터와 철을 제련할 수 있는 단야로(鍛冶爐)가 발견되어, 군대가 장기간 주둔했다는 증거가 되고 있다. 특히 주거용지에서는 고구려 계통의 온돌과 부뚜막, 구들 유적 4기가 확인되었고, 가마터에서 발견된 토기들 역시 고구려토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외에도 고구려 토기 중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목이 굵고 길게 붙어있는 장동호(長胴壺), 한강유역과 중국 집안(集安)지역 고구려 유적에서 발견되는 것과 거의 유사한 철제 화살촉 등 철제 무기류 들이 적지 않은 수로 확인되었다. 또 금 귀걸이도 출토되었는데, 그 형식이 청원군 강외면 상봉리와 평양시 강동구 만달산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 귀걸이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다.
남성골산성은 해발 106m 정도의 야산 정산부에서 사면에 걸쳐 축성되었으며, 정상부에서 바라보면 부강 시내와 금강이 한눈에 보인다. 남서쪽으로 계룡산, 북서쪽으로는 금강과 미호천의 합류지가 내려다보이며, 멀리는 조치원까지 조망이 가능한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더욱이 북쪽으로 독안산성, 복두산성, 성재산성이, 남쪽으로 노고산성과 애기바위성이, 서남쪽으로 테뫼산성이 있어 이들 산성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남성골산성이 비록 나무를 이용한 목책성이기는 하지만, 고대부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음을 짐작하게 하는 반증이기도 하다.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 5세기 후반경의 고구려 유물이지만, 4-5세기의 백제 토기도 일부 확인되었다. 반면 신라나 통일신라계통의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남성골산성은 고구려가 금강유역까지 진출해 백제로부터 영역을 확보했다는 고고학적인 증거이며, 고구려의 목책 성곽 축조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남성골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30_0070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