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함경도 왜적에 대한 정황과 군향(軍餉) 운반 등을 알리는 조선국왕의 회자(回咨)

48. 回咨
  • 발신자
    朝鮮國王
  • 발송일
    1593년 2월 21일(음)(萬曆二十一年二月二十一日)
  • 출전
    事大文軌 卷3: 50b-51b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102~104쪽
48. 回咨
 
朝鮮國王,
准來咨該 爲 酌議進兵期滅倭奴 事 云云. 等因.
 
准此. 當職竊念, 大元帥欽奉聖天子明命, 拯濟小邦性命, 自平壤快捷之後, 黃海京畿各處賊徒, 望風奔潰, 其據有京城者, 亦焚燒房屋, 駄輸財賄, 的有走計, 小邦恢復之勢, 十已八九. 爲因地方殘破, 財力匱竭, 以致餽運不前, 將士飢餒馬匹傷損, 貽督府之憂, 滯行師之期. 此雖陪臣奉職無狀, 實由當職勗率乖, 宜咎責在躬. 慚懼交幷, 思切刻責, 寢食靡寧.
近據 咸鏡道巡察使尹卓然 馳啓.
本道安邊府留住倭賊, 聞平壤已破, 慮被我兵截殺, 乃於本月初十日, 引聚咸興府. 留一日, 悉衆南遁. 本道節制使, 成允文等, 追趕於㝎平永興等處, 節次交鋒抄擊.
續該 咸鏡道巡察使洪世恭 馳啓.
據高原郡守邊潤申, 本郡人曹福井, 被擄逃歸, 說稱.
倭賊於本月十五日, 傾巢東向, 不入安邊府, 直踰鐵嶺. 咸興府留住大勢倭賊, 與同王子及宰臣等, 本月十三日, 經由本郡走向文川郡. 等情.
據此. 咸鏡之賊, 散處險遠, 乏粮飢困, 聞天威遠震, 氣奪魂䘮, 勢將次第遁歸. 其涉險繞出, 自送其死, 理所必有. 不須費盡神算. 逺勞王師, 惟念大軍退舍久, 留京城之賊, 別生奸計. 目今小邦南方舩路已通, 催督搬運, 庶勾支用. 煩乞貴部休兵相機迅掃殘孼, 使小邦君臣終被再造之恩, 不勝涕泣懇祈. 仍照跟從陪臣通事, 竊蒙咨諭, 亦當遵依候事平時日, 擬再行叙. 爲此, 合行回咨, 請照驗施行. 須至咨者.
右咨提督府.
 
萬曆二十一年二月二十一日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함경도 왜적에 대한 정황과 군향(軍餉) 운반 등을 알리는 조선국왕의 회자(回咨) 자료번호 : sdmg.d_0001_0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