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양의부련(椋椅部連; 구라하시베노무라지)

양의부련(椋椅部連; 구라하시베노무라지)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양의부련(椋椅部連)
양의부씨(椋椅部氏)는 미정잡성(未定雜姓) 화천국(和泉國) 「양기부수(椋椅部首)」 조에도 게재되어 있다.
양의부(椋椅部; 구라하시베)라는 씨명은 양교부(椋橋部; 구라하시베)나 창교부(倉橋部; 구라하시베)로도 표기된다. 양의부수(椋椅部首)라는 씨명 중 ‘구라하시’는 『고사기』 숭준천황단(崇峻天皇段)의 숭준천황의 궁인 창의시원궁(倉椅柴垣宮; 구라하시노시바카키노미야)과 『일본서기』 숭준 즉위전기의 창제(倉梯; 구라하시)궁에 관한 기록을 통해 볼 때 숭준천황의 궁이 있던 구라하시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앵정시(櫻井市) 창교(倉橋) 지역이다. 양의부련이라는 씨명은 구라하시의 부민을 통괄하던 반조씨족이었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섭진국의 양의부련은 여기에만 보인다.
양의부(椋椅部)는 전국에 설치되었다. 길비진언오십협근명 계통의 양의부수씨가 화천국에 거주한 것을 비롯해서 무성(無姓)의 양의부수씨는 전국에 분포하였다. 예컨대 『평성궁발굴조사출토목간개보(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15-18)에 기재된 「천평승보 2년(750) 8월 6일 평성궁목간(天平勝寶二年八月六日 平城宮木簡)」 에 기재된 「양교부련인□□(椋橋部連人□□)」 이나, 『만엽집(萬葉集)』 에 기재된 무장국(武藏國) 귤수군(橘樹郡) 사람 양의부제녀(椋椅部弟女), 임원군(荏原郡) 사람 양의부도자매(椋椅部刀自賣)등이 있다. 무성의 양의부씨에 대해서는 미정잡성 화천국 「양의부수」 조 참조.
2.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
이향아색웅명은 물부씨의 조상으로 『일본서기』 에는 이향색웅(伊香色雄; 이카가시코오),『고사기』 에는 이가하색허남명(伊迦賀色許男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이라고 표기하였다.
이향아색웅명에 대해서는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과 같다. 이향아색웅명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상) 「수적조신(穗積朝臣)」 조(347)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 참조.
양의부련(椋椅部連)은 여기에만 보인다. 양의부련씨가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의 후손임을 주장하고 있지만, 양의부련과 이향아색웅명의 관계를 입증할 자료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세운 조상 자체가 의문시되어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양의부련(椋椅部連; 구라하시베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11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