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어지조(御池造; 미이케노미야츠코)

어지조(御池造; 미이케노미야츠코)
 백제국(百濟國) 부여(扶餘)의 땅 탁근국주(卓斤國主) 시비왕(施比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어지조(御池造)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61) 3월조에 “백제인 여민선녀(余民善女) 등 4인에게 백제공(百濟公)의 씨성을 주었고, 탁고지(卓杲智) 등 2인에게 어지조(御池造)의 씨성을 주었다”고 한다. 『고사기』 응신천황단에 수인한단(手人韓鍛)의 이름이 탁소(卓素)라고 나온다. 탁은 씨명으로 보인다. 지명과 관련해서는 『일본서기』 신공기(神功紀), 흠명기(欽明紀) 등에 가야의 1국인 탁순국(卓淳國)이 나온다.
2. 탁근(卓斤)
『삼국사기』 지리지3 「남원소경」 조에 “덕은군(德殷郡)은 본래 백제 덕근군(德近郡)인데, 경덕왕 때에 개명하였다. 지금의 덕은군(德恩郡)이다”라고 하고, 동 지리지4 「도독부13현」 조에 “덕안현(得安縣)은 본래 덕근지(德近支)”라고 기록하고 있다. 탁근(卓斤, 德近)은 지금의 충청남도 은진으로 생각된다(鮎貝房之進, 『雜故·日本書紀朝鮮地名攷』, 國書刊行會, 1971 참고).
3. 시비왕(施比王)
시비왕(施比王)에 대해서는 기타의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혹 부여의 옛 지명인 사지(泗沘)로부터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어지조(御池造; 미이케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