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문기촌(文忌寸; 후미노이미키)

문기촌(文忌寸; 후미노이미키)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사카노우헤노오스쿠네)와 같은 조상이고, 도하직(都賀直; 츠카노아타이)의 후손이다.
 
【주석】
1. 문기촌(文忌寸)
문(文)의 씨명은 조정에서 문적(文籍)의 일을 담당한 데서 유래한다. 문기촌의 옛 성은 서직(書直)이고, 왜한서직(倭漢書直), 왜한문직(倭漢文直)으로도 쓴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4년(785) 6월 계유조에 동족 10성과 함께 숙녜의 성을 받아 기촌에서 숙녜로 개성하였다.
문기촌씨의 직(直) 성계열의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서명(舒明) 11년(639) 7월조에 서직현(書直縣), 동 대화(大化) 원년(645) 9월조에 왜한문직마려(倭漢文直麻呂), 동 천무(天武) 원년 6월조에 서직지덕(書直智德), 동 천무 원년(672) 6월조에 서직악(書直樂), 『속일본기』 영귀(靈龜) 2년(716) 4월조에 문직성각(文直成覺) 등이 있다.
기촌(忌寸) 성으로는 『일본서기』 지통(持統) 9년(695) 3월조에 문기촌박세(文忌寸博勢), 동년 4월조에 문기촌적마려(文忌寸赤麻呂), 『속일본기』 영귀(靈龜) 2년(716) 4월조에 문기촌고마려(文忌寸古麻呂), 동 경운(慶雲) 원년(704) 정월조에 문기촌척가(文忌寸尺加), 동 양로(養老) 5년(721) 정월조에 문기촌광전(文忌寸廣田), 동 천평승보(天平勝寶)3년(751) 정월조에 문기촌상마려(文忌寸上麻呂), 동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5) 정월조에 문기촌광정(文忌寸廣庭), 『일본후기』 홍인(弘仁) 4년(813) 정월조에 문기촌산수(文忌寸山守) 등이 나온다.
『정창원문서』 에도 일족의 인물이 나온다. 천평(天平) 8년(736) 8월 6일부 「이예국정세장(伊預國正世帳)」 (『大日本古文書』2-5)에 문기촌응양(文忌寸鷹養), 천평 10년 「준하국정세장(駿河國正世帳)」(동 2-207)에 문기촌나보마려(文忌寸奈保麻呂), 천평 17년 12월 2일부 「경사등조도충장(經師等調度充帳)」(동 8-579)에 문기촌백마려(文忌寸伯麻呂), 천평승보 원년(750) 10월 11일부 「문이미길광하공천해(文伊美吉廣河貢賤解)」(동 3-321)에 문이미길광하(文伊美吉廣河), 천평보자(天平寶字) 4년(760) 6월 8일부 「문부성경사력명(文部省經師歷名)」(동 14-347) 문기촌색마려(文忌寸咋麻呂) 등이 있다.
2. 도하직지후(都賀直之後)
〈판상계도(坂上系圖)〉에 인용된 『신찬성씨록』 일문에 아지사주(阿智使主)의 아들 도하사주(都賀使主)의 후손인 이파기직(爾波伎直)은 형복(兄腹)의 조상이라고 하고, 또 제복(弟腹)의 이파기(爾波伎)는 문숙녜(文宿禰), 문기촌(文忌寸) 등 8성의 조상으로 나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문기촌(文忌寸; 후미노이미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