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백제공(百濟公; 구다라노키미)

백제공(百濟公; 구다라노키미)
 백제국(百濟國) 도모왕(都慕王)의 24세손인 문연왕(汶淵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백제공(百濟公)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61) 3월 경자조에 여민선녀(余民善女) 등이 백제공 성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신찬성씨록』 우경 제번(하) 「백제공」 조(869)에는 천평보자 3년(758)에 귀실씨(鬼室氏)가 백제공으로 개성한 사실을 전하고 있다. 백제공으로 개성한 것은 백제 왕족인 여씨(余氏)뿐 아니라 다른 씨족도 있으므로 백제공의 씨성을 받은 인물들이 어느 계통인지 명확하지 않다. 다만 앞의 귀실집사(鬼室集斯)는 백제 멸망 후에 망명한 인물이고 그의 부는 귀실복신(鬼室福信)인데, 『삼국사기』, 『구당서』등에 복신이 무왕의 조카라고 나오고 있어 혈통상으로 왕족에 속하는 인물이다. 백제공의 출자와 관련해서는 개별 사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구분해야 한다.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慶雲) 원년(767) 8월조의 백제공추마려(百濟公秋麻呂), 보귀(寶龜) 원년(770) 동10월조의 백제공수통(百濟公水通) 등이 나온다. 백제공수통은 천평승보(天平勝寶) 2년(750) 2월 26일자의 태정관부(太政官符)에서 ‘정7위하 수우소사(守右少史) 백제군수통(百濟君水通)’이라고 기록하고 있어 750년에는 백제군(百濟君)으로 불리었음을 알 수 있다.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원년(834) 춘정월 계해조에 종5위하 백제공승계(百濟公繩繼)가 참하개(參河介)로 임명된 기사가 보인다. 승화 6년 8월 무인조의 가하국(加賀國) 사람 정6위상 백제공풍정(百濟公豐貞)의 본거지를 좌경(左京) 4조(條) 3방(坊)으로 이주한 기사에는 풍정의 조상은 백제국 사람이고 경오년(천지천황 9년, 670)에 하내국(河內國) 대조군(大鳥郡)에 거주했다가 을미년(홍인 6년, 815)에 가하국(加賀國) 강소군(江沼郡)으로 옮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회풍조』 에는 백제공화마려(百濟公和麻呂)의 시 3편이 실려 있다. 백제공화마려는 『등씨가전』(하)에는 백제공왜마려(百濟公倭麻呂)로 표기되어 있고, 신귀(神龜) 연간(724~729)에는 문아(文雅)의 사(士)로서 나온다. 『경국집(經國集)』(827)에 실려 있는 경운(慶雲) 4년(707) 9월 8일의 대책문(對策文)에는 백제마려(百濟麻呂)라고 표기되고 있다. 「경국집권제이십목록(經國集卷第二十目錄)」 에는 ‘백제군왜마려대책문이수(百濟君倭麻呂對策文二首)’라고 하여 백제공화마려가 백제군왜마려, 백제마려 등으로도 표기되어 있다.
2. 도모왕(都慕王)
도모왕에 대해서는 「화조신」 조(779) 참조.
3. 문연왕(汶淵王)
문연왕은 『일본서기』 웅략기 21년(477) 3월조에 보이는 문주왕(汶洲王), 『삼국사기』 의 문주왕(文周王)과 동인 인물로 보인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문주왕조에서는 “문주왕(文周王)[또는 문주왕(汶洲王)이다.]은 개로왕(蓋鹵王)의 아들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일본서기』 웅략(雄略) 21년(477) 춘3월조에도 문주왕(汶洲王)으로 표기하고 있다. 필사하는 과정에서 문주(汶洲)를 문연(文淵)으로 잘못 필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삼국사기』 에서 문주왕은 개로왕의 아들로 나와 있지만, 『일본서기』 웅략(雄略) 21년 춘3월조에서는 문주왕(汶洲王)이 개로왕의 모제(母弟)라고 적고 있다. 모제는 친동생을 가리킨다. 『남제서(南齊書)』 백제전과 『양서(梁書)』 백제전에서는 모도(牟都), 『송서(宋書)』 백제전에서는 여도(餘都)로 표기되고 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문주왕 즉위조에 의하면, 개로왕이 비유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을 때 문주가 개로왕을 보필하여 상좌평(上佐平)의 자리까지 올랐다고 한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개로왕 21년(475)에 고구려의 공격으로 개로왕이 피살되자 웅진으로 천도하고 백제 왕으로 즉위하였다. 한편 『일본서기』 웅략(雄略) 21년(477) 춘3월조에는 천황이 백제가 고구려에게 패했다는 말을 듣고 구마나리(久麻那利)를 문주왕(汶洲王)에게 주어 그 나라를 다시 일으켰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일본서기』 의 백제 번국관과 영토 할양에 관한 기사이지만, 당시의 상황을 전하고 있다. 문주왕은 즉위한 지 4년 만인 479년에 병관좌평 해구(解仇)가 보낸 자객에게 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백제공(百濟公; 구다라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