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엽조흡(葉祖洽) 등의 직명을 더할 것을 청하는 문언박(文彦博)의 상언

  • 날짜
    1086년 11월 (음)(元祐 元年(1086) 11月 丙子)
  • 출전
    卷391 元祐 元年(1086) 11月 丙子
좌사낭중(左司郎中)·권추밀도승지(權樞密都承旨) 유봉세(劉奉世)주 001
각주 001)
劉奉世 : 1041~1113. 북송의 관인. 북송 臨江軍 新喩(현재 江西省 新餘) 사람으로 字는 仲馮이다. 熙寧 3年(1070)에 太子中允으로서 吏房을 관리했다. 元祐 7年(1092)에 簽書樞密院事의 관직에까지 올랐다. 吏治에 굉장히 능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닫기
를 기거랑(起居郎)으로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郎) 공문중(孔文仲)을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중산대부(中散大夫)·집현교리(集賢校理) 왕방(王鴋)을 판등문간원(判登聞諫院)으로 삼고, 더하여 관에 나아가 직무를 보던 병부원외랑(兵部員外郎) 엽조흡(葉祖洽)주 002
각주 002)
葉祖洽 : 생몰년 미상. 북송 邵武軍(현재 福建省에 속한 지역) 사람으로 字는 敦禮이다. 熙寧 3年(1070)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簽書奉國軍判官이 되었다. 知湖州, 秘書省校書郎, 禮部郎中 등의 직을 역임했다. 紹聖 연간에는 給事中에 올랐고, 휘종이 즉위하면서 曾布가 그를 吏部侍郎으로 불러들였다. 증포가 재상에서 파직되자 강등되었다.
닫기
·비부원외랑(比部員外郎) 전장경(錢長卿)을 모두 집현교리에 제수하였다.
문언박(文彥博)이 말하기를, “엽조흠은 희녕(熙寧) 연간에 진사에 수석으로 선발된 지 지금 17년이 되었으나, 사람들은 (그가) 재주가 있으나 지체되고 있다 합니다. 전장경은 일찍이 ‘답고려국서본(答高麗國書本)’을 지어 선제(先帝)[신종(神宗)]께서 이를 칭찬하였고, 공문중과 더불어 모두 교서랑(校書郎)이 되었으나, 일전에 성랑(省郎)으로 옮겨짐으로써 관직이 회복되지 못하여 신제(新制)를 적용받지 못했습니다. 바라옵건대 모두 직명을 더할 것을 청합니다.” 이러한 연유로 3명을 전례없이 공문중을 우사(右史)로 옮기고, 엽조흡·전장경에게도 이러한 명을 내린 것이다.

  • 각주 001)
    劉奉世 : 1041~1113. 북송의 관인. 북송 臨江軍 新喩(현재 江西省 新餘) 사람으로 字는 仲馮이다. 熙寧 3年(1070)에 太子中允으로서 吏房을 관리했다. 元祐 7年(1092)에 簽書樞密院事의 관직에까지 올랐다. 吏治에 굉장히 능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葉祖洽 : 생몰년 미상. 북송 邵武軍(현재 福建省에 속한 지역) 사람으로 字는 敦禮이다. 熙寧 3年(1070)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簽書奉國軍判官이 되었다. 知湖州, 秘書省校書郎, 禮部郎中 등의 직을 역임했다. 紹聖 연간에는 給事中에 올랐고, 휘종이 즉위하면서 曾布가 그를 吏部侍郎으로 불러들였다. 증포가 재상에서 파직되자 강등되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엽조흡(葉祖洽) 등의 직명을 더할 것을 청하는 문언박(文彦博)의 상언 자료번호 : jt.k_0006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