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심래진수(尋來津首; 히로키츠노오비토)

심래진수(尋來津首; 히로키츠노오비토)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가무니기하야히노미코토)의 6세손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심래진수(尋來津首)
심래진(尋來津; 히로키츠)이라는 씨명은 『일본서기』 웅략천황(雄略天皇) 7년 시세조에는 왜국오려광진(倭國吾礪廣津)의 분주에 “광진(廣津)을 비로기두(比盧岐頭; 히로키츠)라고 읽는다”라고 적혀 있다. 심래진이라는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섭천군(涉川郡) 적부향(蹟部鄕) 난파진 남부의 옛 이름이라 간주되는 광진, 심래진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팔미시(八尾市) 직송정(植松町) 부근이라 추정된다.
심래진수씨(尋來津首氏) 일족은 『평안유문(平安遺文)』(1-3)에 수록된 연력(延曆) 7년(788) 12월 23일자 「대화국첨상군사해(大和國添上郡司解)」 에 나오는 심래진수월족(尋來津首月足)과 심래진수왜만려(尋來津首倭万呂)가 있다. 월족(月足)과 왜만려(倭万呂)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연력 7년 12월 23일자 대화국첨상군사해」 에는 ‘우경(右京) 6조 3방 호주(戶主) 종7위상 훈8등(勳八等) 심래진수월족(尋來津首月足)’과 ‘무위(無位)의 심래진수왜만려(尋來津首倭万呂)’가 보인다. 이들의 활동 시기를 고려하면 심래진수씨가 「본계(本系)」 를 제출하는 일에 관계한 것으로 추정된다.
* 『평안유문(平安遺文)』
죽내리삼(竹內理三)이 1947~1980년까지 편찬한 평안(平安) 시대 사료집이다. 고문서편(古文書編) 11권,금석문편(金石文編) 1권, 제발편(題跋編) 1권, 색인편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응(天應) 원년(781)부터 원력(元曆) 2년(1185) 8월까지의 고문서와 금석문 등을 모아 편찬한 책이다.
2.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일본서기』 와 『고사기』 에 물부씨(物部氏)의 시조라고 적혀 있다. 신요속일명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神別)(상) 「석상조신(石上朝臣)」 조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 참조.
3.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
이향아색웅명은 물부씨의 조상으로 『일본서기』 에는 이향색웅(伊香色雄; 이카가시코오), 『고사기』 에는 이가하색허남명(伊迦賀色許男命; 이카가시코오노미코토)이라고 표기하였다. 이향아색웅명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상) 「수적조신(穗積朝臣)」 조(347)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 참조.
심래진수씨(尋來津首氏)는 신요속일명(神饒速日命)의 6세손 이향아색웅명(伊香我色雄命)의 후손임을 주장하고 있다. 좌경 신별(상) 「수적조신(穗積朝臣)」 조에는 ‘신요속일명의 5세손 이향색웅명의 후손’이라 기재되어 있으므로 세대수가 맞지 않다. 또 심래진수와 이향아색웅명의 관계를 입증할 자료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심래진수(尋來津首; 히로키츠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