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중신률원련(中臣栗原連; 나카토미노쿠리하라노무라지)

중신률원련(中臣栗原連; 나카토미노쿠리하라노무라지)
 천아옥근명(天兒屋根命; 아메노코야네노미코토)의 11세손 뇌대신(雷大臣; 이카츠오오미)의 후손이다.
 
【주석】
1. 중신률원련(中臣栗原連)
중신률원(中臣栗原; 나카토미노쿠리하라)이라는 씨명의 중신(中臣; 나카토미)은 중신씨(中臣氏) 일족임을 나타낸 것이고, 율원(栗原; 구리하라)은 율령제하 미농국(美濃國) 불파군(不破郡) 율원(栗原; 구리하라)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기부현(岐阜縣) 불파군(不破郡) 수정정(垂井町) 율원(栗原) 지역이다. 『속일본기』 천응(天應) 원년(781) 7월 계유조에는 “우경인(右京人) 정6위상 율원승자공(栗原勝子公)이 중신률원련(中臣栗原連)이라는 성을 받기를 청하여 자공 등 남녀 18인이 청한 바에 따라 개성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율원승(栗原勝)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보귀(寶龜) 2년(771) 5월 무자조에 율원승자공, 율원승을녀(栗原勝乙女), 율원승정족(栗原勝淨足)이 보인다.
중신률원련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연력(延曆) 6년(787) 5월 무신조와 연력 7년(788)2월 병오조에 외종5위하 중신률원련자공(中臣栗原連子公)이 대취조(大炊助)에 보임된 기록이 보인다. 따라서 중신률원련자공의 대취조 보임 기사가 중출일 가능성과 재임의 가능성 양쪽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 또 그는 연력 8년(789) 12월 고야신립(高野新笠)의 장례 때에는 어장사(御葬司), 연력 9년(790) 윤3월 등원을모루(藤原乙牟漏)의 장례에서도 어장사를 담당하였다. 『속일본기』 보귀 원년(770) 11월 무인조에는 율원승을녀(栗原勝乙女)가 외종 5위하에 서위된 기록이 보이고, 보귀 2년(771) 5월 무자조에는 외종5위하 시원승을매녀(柴原勝乙妹女)와 훈십등(勳十等) 시원승정족(柴原勝淨足)이 숙녜(宿禰) 성을 받았다. 시원승을매녀(柴原勝乙妹女)는 보귀 8년 6월 병오조에 종5위하로 승진한 율원승을녀(栗原勝乙女)와 동일 인물이다. 시원승(柴原勝)은 율원승의 오기인 듯하다.
*대취조(大炊助)
대취조는 대취료(大炊寮)의 차관직에 해당되며 종6위상에 상당한다. 대취료는 일본의 율령제에서 궁내성(宮內省)에 소속된 기관 가운데 하나이다. 『양로령』 직원령(職員令) 대취료(大炊寮)조에는 “두(頭) 1인, [제국(諸國)의 도정한 쌀, 잡곡의 분급, 제사(諸司)의 식료(食料)에 관한 일을 관정한다.] 조(助) 1인, 윤(允) 1인, 대속(大屬) 1인, 소속(少屬) 1인, 대취부(大炊部) 60인, 사부(使部) 20인, 직정(直丁) 2인, 구사정(驅使丁) 30인이다”라고 적혀 있다. 평안 시대 이후가 되면 중원씨(中原氏)가 장관직을 세습하였다.
2. 천아옥근명(天兒屋根命)
『일본서기』 신대기에서는 천아옥명(天兒屋命; 아메노코야네노미코토)이라 기재되어 있다. 중신씨의 조상신이다. 천아옥근명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상) 「등원조신(藤原朝臣)」조(336) 천아옥명(天兒屋命) 참조.
3. 뇌대신(雷大臣)
뇌대신명(雷大臣命), 이하도신(伊賀都臣)과 같다. 뇌대신에 관해서는 좌경(左京) 신별(상)「중신지비련(中臣志斐連)」 조(342) 뇌대신명 참조.
중신률원련씨는 천아옥근명의 11세손 뇌대신의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고, 「중신지비련」조에도 천아옥근명의 11세손 뇌대신명이라 기재되어 있으므로 계보상의 세대수가 합치된다. 또 『속일본기』 에 중신률원련씨로 개성한 기사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신찬성씨록』편찬 단계에 율원승자공(栗原勝子公)이 중신률원련(中臣栗原連)으로 개성을 요청한 것에 대한 근거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신찬성씨록』 편찬국에서 미정잡성으로 분류하여 게재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신률원련(中臣栗原連; 나카토미노쿠리하라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