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모의공(牟義公; 무게노키미)

모의공(牟義公; 무게노키미)
 경행천황(景行天皇; 게이카우텐노)의 황자 대대명(大碓命; 오우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모의공(牟義公)
모의공(牟義公; 무게노키미)의 모의라는 씨명은 신모(身毛; 무게), 무의(武義; 무게), 모의도(牟宜都; 무게츠), 모하도(牟下都; 무게츠), 모하진(牟下津; 무게츠) 등으로도 쓰인다. 율령제 미농국(美濃國) 무의군(武義郡; 무게노고오리)이라는 지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기부현(岐阜縣) 무의군(武儀郡) 무의향(武儀鄕) 일대에 해당된다. 『육국사』에 모의공(군)성 사성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모의공(군)씨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웅략천황 7년 8월조의 신모진군대부(身毛津君大夫; 무게츠노키미마스라오), 천무천황 원년(672) 6월 임오조 등에 기재된 신모군광(身毛君廣; 무게츠키미히로)이 보이고, 『속일본기』 천응(天應) 원년(781) 3월 경신삭조의 채녀(采女) 종6위상(극위) 모의도공진의(牟義都公眞依) 등이 있다. 또 「대보(大寶) 2년(702)어야국(御野國) 가모군(加毛郡) 반포리(半布里) 호적(大寶二年御野國加毛郡半布里戶籍)」에는 모의군족테이지매(牟義君族 爾志賣)(『대일본고문서』 1-65)와 모하진조천도매(牟下津造川嶋賣)(『대일본고문서』 1-63) 등 족(族)성을 띤 모의군족(牟義君族)씨와 조(造)성을 띤 모하진조(牟下津造)씨가 보이는데 이들은 모의공씨 일족이라 여겨진다.
2. 경행천황(景行天皇)
경행천황은 『일본서기』에 제12대 천황이라고 기재되어 있지만, 실존 여부에 관해서는 부정적이다. 수인(垂仁) 17년에 태어나 경행천황 60년(130)에 사망하였다고 한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경행’ 앞에 ‘대족언인대별천황시(大足彦忍代別天皇諡)’라는 9글자가 있고, ‘경행’ 다음에 ‘천황(天皇)’이라는 2글자는 없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3. 대대명(大碓命)
『일본서기』와 『고사기』 등에 경행천황(景行天皇)의 아들이라 전해지는 고대 일본의 황족이다. 『일본서기』에는 대대황자(大碓皇子) 또는 대대명(大碓命)으로, 『고사기』에는 대대명(大碓命)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일본서기』 경행천황 2년 3월 무진조에는 도일대랑희(稻日大郞姬; 이나비노오이라쓰메) 황후가 낳은 두 아들 가운데 첫째가 대대황자(大碓皇子; 오우스노미코)라고 적혀 있다. 또 경행천황 40년 7월 무술조에서는 대대황자가 봉지인 미농국에 가서 신모진군(身毛津君; 무게츠노키미)과 수군(守君; 모리노키미)의 시조가 되었다고 적혀 있다. 그리고 『고사기』 경행천황단(景行天皇段)에는 대대명의 분주에 수군(守君), 대전군(大田君), 도전군(嶋田君)의 선조라고 적혀 있고, 대근왕(大根王)의 딸 형비매(兄比賣)와 제비매(弟比賣)를 처로 맞이하여 형비매가 흑압제형비고왕(押黒之兄比古王; 오시쿠로노에히노미코)을 낳았다. 흑합제형비고왕은 모의도군(牟宜都君; 무게쓰노키미) 등의 조상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모의공(牟義公; 무게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