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첨립산성

尖砬山城
  • 저필자
    표영관
  • 시대
    고구려
  • 원소장처
    요녕성 단동시 봉성시 백기진 황기촌(遼寧省 丹東市 鳳城市 白旗鎭 黃旗村)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200m
입지
봉성시 백기진 황기촌 동북 500m 떨어진 산에 위치
유적개관
산성의 둘레는 200m가량이며, 동, 남, 북면은 단애를 이용하였고, 서벽은 석축을 하였다. 길이 40m, 높이 3~4m가량이다. 성 내에는 우물 1기가 있다.
참고문헌
「文物地圖集」
해설
단동시 중심에서 서북쪽 약 100km, 봉성시 중심에서 서남쪽 약 27km 거리에 위치한 백기진 황기촌에서 첨립자산(尖砬子山) 정상의 산성 유적이다. 지형상 동, 서, 북 면은 절벽이기 때문에 성벽은 남면에만 축조한 것으로 파악된다. 『中國文物地圖集』에는 둘레 200m의 규모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조사당시 잔존 성벽은 2개 구역에 각각 길이 30m, 10m만 남아있었다. 성벽에는 정형적이지는 않으나 고구려 축성의 특징 중 하나인 ‘쐐기형 돌’을 이용한 흔적이 확인되어, 역사 지정학적 위치를 함께 고려했을 때 고구려의 방어시설로 확인된다.
단동은 요동반도의 동남부이자 압록강이 황해를 만나는 출해구(出海口) 지점에 위치한다. 현재는 압록강을 경계로 북한의 신의주(新義州)와 국경지역이기도 하다. 단동시는 단동시를 축으로 서쪽 시계방향으로 현(縣)급도시인 동항시(東港市)와 봉성시(鳳城市) 그리고 관전만족자치현(寬甸滿族自治縣)이 위치한다. 동항시는 단동항구가 위치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봉성시는 고구려가 축조한 것으로 추정되는 ‘봉황성(鳳凰城)(고구려 오골성(烏骨城)으로 비정)’이 있음으로 불리는 명칭이다.
단동 지역은 한(漢)이 요동군에 소속시킨 서안평(西安平/북안평)으로 비정되고 있다. 서안평은 요동지역과 한반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이자, 바다를 통한 교섭과 무역의 창구이기도 했다. 때문에 고구려는 줄곧 서안평으로의 진출을 위해서 중국세력과 분쟁을 거듭하였다. 『삼국사기』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는 311년 마침내 서안평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또 서안평의 확보로 고구려는 압록강 남쪽, 한반도 내에 존재했던 중국의 한사군(漢四郡) 낙랑군(樂浪郡)과 대방군(帶方郡)을 중국세력과 분리 고립시키고 이들을 공략할 수 있게 되었다.
서안평 확보는 고구려의 숙원인 ‘요동 진출’에 교두보를 확보한 것이기도 하다. 고구려 첫 도읍인 환인(桓仁)이나 집안(集安/국내성)에서는 험준한 산맥이 요동평원까지 중첩되어 있는데 비해, 단동에서는 비교적 완만한 지역을 지나 요하의 하구인 영구(營口)까지 진출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영토 확장은 반대로 방어지역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고구려가 한반도 내부의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 단동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평양지역은 중국세력으로부터 물리적 거리는 늘어났지만, 바다를 통한 침입의 접근성은 오히려 용이해졌다. 때문에 고구려는 발해만 해안지역과 황해 연안에 육로 방어와 해양방어체계의 일환으로 방어용 시설들을 구축했는데, 주로 단동과 대련(大連) 지역의 교통로상 요지가 그 주축이 되었다.
첨립산성은 요동하구의 평탄지에서 봉성과 단동으로 향하는 최단거리 산악로 상에 위치한다. 또 산성 옆을 흐르는 백기하(白旗河)는 봉성에서 남으로 흘러 황해(黃海)와 만나게 되는데, 이 길목을 통제할 수 있는 첨립자산의 정상부에 위치해 있다.
첨립산성은 인근 오골성(烏骨城/봉황성)을 중심으로 분포된 고구려 방어체계의 일면을 살필 수 있는 중요 자원으로 평가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첨립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10_007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