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1) 중북지역 도로

크라스키노성의 중북지역에서는 도로유구가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에 각각 조사되었다(도면 437). 2011년에는 제47구역의 섹터3에서 북북서-남남동 방향(이하 남북방향)의 도로의 존재가 이곳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2013년에는 제47구역의 섹터8에서 동동북-서서남 방향(이하 동서방향)의 도로가 새로이 확인되었다. 제47구역의 섹터3과 섹터8에서 각각 발견된 도로는 그 방향으로 보아 서로 교차할 것으로 추정이 되었다. 때문에 2014에는 도로 교차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에 새로이 제49구역을 설정하여 발굴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실제로 두 방향의 도로가 서로 교차하는 것이 확인되었다2.0 14년에는 그 외에도 제47구역의 섹터3에서 심화발굴을 실시하여 도로의 어느 깊이까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5년에는 제50구역의 섹터2와 섹터3에서 각각 도로의 흔적이 확인되었다. 제50구역에서 발견된 도로는 제49구역에서 발견된 도로와 상당한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지만 동동북-서서남 방향(이하 동서방향)으로서 서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동일 도로의 서로 다른 부분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크라스키노성의 중북지역에서는 동서방향 도로가 62.5m, 남북방향 도로가 16.3m 길이로 각각 확인된 셈이다. 서로 교차하는 동서 및 남북방향 도로의 존재는 크라스키노성이 도로들에 의해 정연하게 구획되어 있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로의 다른 교차지점이 아직 확인되지 않아 도로에 의해 구획된 각 구간, 즉 방의 크기는 알 수가 없다.
제47구역의 섹터1과 섹터4 그리고 섹터5에서 조사된 석축담장기초와 19호 주거지의 동벽은 남북방향 도로와 동일한 방향이다. 이 사실은 또한 도로에 의해 크게 구획된 구간 내에 다시 소규모의 구획이 이루어졌음을 말하는 것이다. 남북방향 도로와 석축담장기초 사이의 간격은 약 21m이다.
2011년에 조사를 시작한 제47구역의 섹터3에서는 처음에는 지자기탐사를 통해 추정된 ‘내성’의 성벽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되었었다. 하지만 표토와 부식토 아래의 갈색 사질토층을 정리하면서 이미 도로의 존재가 인지되었다(도면 442). 도로 노면의 지표에서의 깊이는 30~40㎝ 사이이다. 도로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이하 남북방향)으로 나있었다. 노출된 도로는 좌우의 밝은 황갈색 사질토양과 구분되는 연한 갈색 사질토양에 의해 대표되었다(도면 443; 444). 도로를 이루는 갈색 사질토층에는 다수의 자갈돌과 작은 토기편들이 섞여 있었다. 그런데 이 도로의 안쪽에는 2줄의 밝은 황갈색 거친 모래 띠가 형성되어 있었다. 동쪽의 모래 띠는 너비가 50~70㎝이고, 서쪽의 모래 띠는 너비가 30~45㎝이다. 두 모래 띠 사이의 거리는 2~2.2m이다. 도로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갈색 사질토층의 전체 너비는 약 5.8m이다. 섹터3에서는 도로와 관련된 부분에서 토기편들(도면 2011-651~660)(도면 869, 10) 이 외에도 주철제 솥편 2점(도면 2011-647), 철제 관상 유물편(도면 2011-648), 철제 쌍각 미늘편(도면 2011-649)(도면 723, 4), 철제 갈고리(도면 2011-650)(도면 704, 4), 다수의 놀이 알 등이 출토되었다.
도면 442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도로(앞쪽)와 구들 주거지(가운데) 노출 모습(남동쪽에서)(2011)
도면 443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1생활면 평면도(2011)
도면 444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1생활면 모습(남서쪽에서)(2011)
제47구역의 섹터3에 대해서는 2011년에 남서쪽 변을 따라 너비 1m로 트렌치 조사를 하여 아래로도 계속해서 돌을 깔은 도로잔재들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이곳에서는 두께 10~15㎝로 6개의 인공층을 새로이 조사하였다. 트렌치 내의 제9인공층 레벨 -295㎝ 깊이에서는 청동으로 만든 검집의 메기(고정 고리)(도면 2011-683)(도면 743, 1)가 출토되었다.
제47구역의 섹터3에 위치하는 도로유구에 대해서는 이후 2014년에 추가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11년에 조사한 제1생활면 도로 아래로 다시 3개의 도로 생활면을 확인하였고, 또 그 아래로 제5생활면 도로도 존재할 것이라는 추정을 하게 되었다(도면 437~441).
제47구역 섹터3의 제2생활면 도로는 제4인공층 제거 후 제5인공층 상면에서 돌을 깔은 도로의 형태로 노출되었다. 지표에서의 깊이는 50~70㎝ 사이이다. 도로는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회갈색 사질토층에 의해 좌우의 연갈색 사질토층과 잘 구분되었다. 이 회갈색 사질토층에는 돌들과 명황갈색의 거친 모래 얼룩들이 섞여 있었다. 도로의 방향은 제1생활면 도로와 동일하다. 도로의 너비는 약3 .25~3.45m이다. 제4인공층을 제거할 때에 철제 칼편(도면 2014-477; 479, 5), 철제 용기 구연부편(도면 2014-478, 2), 주철제 솥 동체부편, 철제 칼편(도면 2014-479. 4), 철제 못 2점(도면 2014-479, 2, 3), 부정형 철편 4점 등이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현장보존을 위해 복토한 흙과 제4인공층에서 와편, 토기 동체부편, 그리고 돌로 만든 놀이 알 27점(도면 2014-480; 481), 토기편 704점(도면 2014-482~492)(도면 768, 14; 785, 1; 814, 2; 845, 5; 892, 3; 907, 14; 930, 1; 945, 14)이 수습되었다.
제2생활면 도로에서 돌과 기타 유물을 남기고 다시 레벨을 10~15㎝로 낮추어 조사를 진행하였는데(제5인공층) 도로에 돌을 깔은 양상이 잘 드러났다(도면 2014-493~497)(도면 445; 446). 도로의 동쪽 가장자리를 따라 거친 명황갈색의 모래 띠가 형성되어 있었는데 배수와 관련된 측구의 흔적일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 깊이에서는 도로의 너비도 4m 이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제5인공층에서는 주철제 솥 다리편(도면 2014-498, 1), 주철제 유물편(도면 2014-498, 2), 주철제 수레 차관편(도면 2014-504), 주철제 용기 구연부편(도면 2014-500)(도면 701, 4), 철제 판편 2점(도면 2014-499, 1), 철제 못 4점(도면 2014-501; 503; 505, 2), 철제 칼편, 철제 낚싯바늘(도면 2014-501, 1; 502, 1), 철제 화살촉(도면 2014-501, 4; 503, 1), 철제 깔대기모양 유물(도면 2014-505, 1), 토제 마연기편(도면 2014-506), 와편, 토기 동체부편, 돌로 만든 놀이 알 42점이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다량의 토기편(1,004점)이 수습되었다(도면 447).
도면 445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2생활면 평면도(2014)
도면 446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2생활면 모습(남서쪽에서)(2014)
도면 447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2생활면 세부 모습(북동쪽에서)(2014)
제2생활면 도로에 해당하는 제6인공층 조사 시에는 철제 못(도면 2014-528), 청동 띠끝꾸미개(도면 2014-527)(도면 739, 7), 철제 꺾쇠편(도면 2014-529)(도면 724, 5), 부정형 철편 8점, 놀이 알 19점 등과 함께 황갈색의 도토가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다량의 윤제 토기편(478점)의 수습되었다.
제47구역 섹터3의 제3생활면 도로는 제7인공층 조사 후에 노출되었다(도면 2014-541~543)(도면 448; 449). 지표에서의 깊이는 약 90~100㎝ 사이이다. 제3생활면의 도로 노면은 구분은 되어도 깔린 돌의 수량의 제2생활면 도로 노면에 비해 적은 편이었다. 제3생활면 도로는 너비가 최소 3.16~3.8m인 것으로, 그리고 명황갈색의 거친 모래 형태로 드러난 도로의 서쪽 경계를 염두에 둘 때에 너비가 4m 이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로 노면의 움푹파인 곳들에는 곳에는 모래가 들어있었다. 도로를 이루는 기본 토양은 명황갈색 사질토층인데 모래와 작은 돌들이 다수 섞여 있었다. 이 명황갈색 사질토층은 서쪽으로 너비 약1. 5m의 역시 모래와 자갈이 섞인 갈색 사질토층과, 동쪽으로는 너비 0.4~0.5m의 회갈색 사질토 띠와 각각 경계한다. 제7인공층을 제거할 때에 숫돌(도면 2014-544), 철제 유물편(도면 2014-547), 주철제 보습편(도면 2014-545, 2; 546)(도면 686, 6), 철제 못(도면 2014-547, 6; 548), 철제 열쇠편(도면 549), 철제 못들(도면 2014-547, 2, 3, 5) 등이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잘게 깨어진 다량의 토기편(736점)이 수습되었다.
도면 448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3생활면 평면도(2014)
도면 449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3생활면 모습(북서쪽에서)(2014)
제47구역 섹터3의 제4생활면 도로는 제8인공층을 조사한 다음에 노출되었다(도면 2014-561~565)(도면 450; 451). 지표에서의 깊이는 110~120㎝ 내외이다. 노면에 돌을 깔은 것이 상당히 많았고, 돌을 깐 노면의 너비는 3.6m 이상이었다. 노면은 다른 생활면들의 도로에 비해 서쪽으로 약 1m 이동되었다. 도로 노면은 모래가 섞인 명회갈색 사질토층에 위치한다. 도로 노면의 돌들 사이에서 토제 벼루편(도면 2014-566)(도면 654, 3), 수정 목걸이 알(도면 2014-567)(도면 678, 17), 돌 구슬(도면 2014-570), 철제 화살촉(도면 2014-568, 2, 4), 철제 판편, 철제 갈고리편(도면 2014-568, 1, 3), 철제 못(도면 2014-571), 청동 팔찌편(도면 2014-569)(도면 733, 5), 철제 못편, 부정형 철편, 놀이 알 31점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다량의 토기편(910점)이 수습되었는데 그중 부분적으로 복원이 되는 것들도 있다(도면 2014-573~592)(도면 813, 4; 825, 5; 837, 9; 853, 13; 963, 7). 그 아래의 제9인공층에서는 부정형 철편 4점(도면 2014-598), 철제 판편(도면 2014-599, 2), 철제 칼편(도면 2014-600), 철제 칼편(도면 2014-601, 1), 철제 못(도면 2014-601, 2), 철제 꺾쇠(도면 2014-599, 1, 3) 등과 함께 16점의 놀이 알(도면 2014-602), 449점의 토기편(도면 2014-603~613)(도면 814, 9; 815, 2; 867, 3; 907, 11; 951, 8)이 발견되었다.
도면 450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4생활면 평면도(2014)
도면 451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도로 제4생활면 모습(남동쪽에서)(2014)
그 아래의 제10인공층에서는 주철제 유물편(도면 2014-622), 철제 못(도면 2014-623), 토제 방추차(도면 2014-621)(도면 664, 5), 돌 구슬(도면 2014-624), 놀이 알 3점, 347점의 토기편과 와편 등이 발견되었다. 토기편들 중에는 부분적으로 복원되는 것들도 있다(도면 2014-635; 636)(도면 815, 4, 5; 835, 4). 제11인공층에서는 숫돌(도면 2014-645), 철제 판편, 철제 꺾쇠편 2점(도면 2014-646; 644), 청동 반지(도면 2014-647)(도면 734, 2), 부정형 철편, 놀이 알, 다량의 토기편(도면 2014-659)(도면 816, 5; 847, 4; 963, 9; 993, 2)과 와편 등이 출토되었다.
제47구역 섹터3의 제5생활면 도로는 제12인공층과 제13인공층에 해당된다. 지표에서의 깊이는 140~160㎝ 정도이다. 제12인공층을 조사한 다음에 발굴구역의 북동쪽 부분에서 모래와 펄, 목탄이 많이 들어있는 철화 및 황색 모래 간층들을 포함하는 암회갈색 사질토층이 노출되었는데, 이 토층은 다음의 제13인공층 아래 제14인공층 상면에서 발굴구역의 거의 모든 범위에 걸쳐 확인되었다(도면 452). 이 토층에는 다수의 동물 뼈와 숯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아래로는 비로 인해 더 발굴조사를 하지 못하였다. 제5생활면의 도로는 이 암회갈색 사질토층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제12인공층에서는 놀이 알, 철제 못 2점(도면 2014-666, 1, 2), 철제 바늘(도면 2014-667, 2)(도면 704, 7), 철제 빗장(도면 2014-667, 1)(도면 711, 3), 철제 유물(도면 2014-668, 1), 철제 클립(도면 2014-668, 2) 등과 함께 다량의 토기편(도면 2014-679)(도면 812, 2; 955, 7; 988, 5)이 출토되었다. 제13인공층에서는 정방형 철편(도면 2014-685), 철제 판편, 철제 칼편(도면 2014-686~687), 삼채기편, 명문 토기 동체부편(도면 2014-688)(도면 967, 6), 명문 토기 경부편(도면 2014-689)(도면 967, 7), 놀이 알, 다량의 윤제 토기편 등이 출토되었다. 토기편 중에는 부분적으로 복원되는 것도 있다(도면 2014-688~703)(도면 785, 5; 822, 6, 7; 834, 4; 939, 19; 951, 9).
도면 452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3의 제14인공층 상면 도로 제5생활면 모습(서쪽에서)(2014)
2013년에는 제47구역의 섹터8에서 새로이 도로의 존재가 확인되었다(도면 453; 454). 이 도로는 동동북-서서남 방향(이하 동서방향)으로 나 있었다. 도로는 부석유구와 모래가 섞인 회갈색 사질토층을 제거하고 난 다음에 이 토층을 가로지르는 갈색 사질토 띠 형태로 노출되었고, 다수의 자갈돌을 깔아 놓아 도로의 존재가 비교적 쉽게 인식되었다. 자갈을 깐 부분의 너비는 120~180㎝이다. 도로를 이루고 있는 갈색 사질토 내에는 돌들 이외에도 다량의 토기편, 토기 동체부편 혹은 와편으로 만든 놀이 알들, 동물 뼈들 등이 섞여 있었다. 그 외에도 토제 다공입방체 유물편 2점(도면 2013-351; 353)(도면 657, 3), 토제 고리편(도면 2013-352), 주철제 수레 차관편(도면 2013-347; 348), 철제 못(도면 2013-349), 철사편(도면 2013-350), 토제 고리편 3점, 토제 구슬(도면 2013-387), 철제 띠꾸미개(도면 2013-386), 철제 화살촉(도면 2013-384; 385)(도면 694, 6), 철제 칼편(도면 2013-382) 등이 출토되었다. 그 외 다량의 토기편과 와편들이 수습되었다(도면 2013-388~399). 제47구역 섹터8에서 조사된 도로는 길이 10.7m가 노출되었고, 너비는 1.8~1.9m인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돌이 깔린 부분만을 산정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 도로의 너비는 이보다 훨씬 더 넓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도로유구 위의 레벨에서 노출된 것으로 판단된 섹터7에서 조사된 부석유구가 사실은 이 도로의 한쪽 면을 이룰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부석유구로 보고된 유구는 도로의 북변을 따라 넓게 띠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도로의 측구는 확인되지 못하였다.
도면 453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8의 도로 평면도(2013)
도면 454 | 크라스키노성 제47구역 섹터 8의 도로 노출 모습(남동쪽에서)(2013)
2014년에 조사를 한 16×10m 크기의 제49구역에서는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의 도로가 서로 교차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면 455~457). 이것은 2011년에 제47구역의 섹터3에서 발견된 남북방향 도로와 2013년에 제47구역의 섹터8에서 조사된 동서방향 도로가 교차할 것이라는 추정이 정확하였음을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도로는 다른 부분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노면에 돌을 깔았다. 또한 돌들 사이사이에서는 다량의 잘게 깨뜨린 토기편들과 동물 뼈들이 섞여 있었다. 윤제 토기의 동체부편, 와편, 혹은 돌로 만든 놀이 알들도 다량 수습되었고, 다량의 개별 유물들도 출토되었다. 도로의 노면에 돌을 깐 너비는 2.5m까지였다.
도면 455 | 크라스키노성 제49구역 도로 평면도(2014)
도면 456 | 크라스키노성 제49구역 도로 모습(남동쪽에서)(2014)
도면 457 | 크라스키노성 제49구역 도로 모습(서쪽에서)(2014)
제49구역의 유물은 대부분이 도로에서 출토된 것이다. 표토와 부식토에서는 철제 칼편(도면 2014-724, 3; 726)(도면 689, 4), 주철제 솥편 4점, 주철제 솥 다리(도면 2014-735), 주철제 수레바퀴 차관편(도면 2014-731), 철제 못 3점(도면 2014-724, 1, 2; 725; 730), 철제 화살촉(도면 2014-729)(도면 693, 4), 월주요 완 구연부편(도면 2014-728; 759, 4) (도면 1002, 4), 탑 모양 원추형 토제 유물(도면 2014-733)(도면 659), 와당편(도면 2014-734), 다량의 토기편(도면 2014-736; 737; 739~758; 738, 15, 16; 759)(도면 883, 9, 11; 918, 1; 938, 2; 939, 8) 등이 출토되었다.
제49구역 섹터1 제2인공층에서는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화살 슴베 추정 철제 유물편(도면 2014-773, 1; 774, 1), 철제 배목(도면 2014-743, 4; 775, 2), 철제 칼편(도면 2014-773, 6; 776, 2), 철제 화살촉(도면 2014-773, 5; 776, 1), 철제 축(도면 2014-773, 2; 774, 2), 철제 고리(도면 2014-773, 3; 775, 1), 철제 판편(도면 2014-779; 780), 시유 삼채기 뚜껑편(도면 2014-777)(도면 998, 8), 토제 고리편(도면 2014-778), 놀이 알 13점(도면 2014-781), 446점의 토기편과 와편(도면 2014-830~833).
제49구역 섹터2 제2인공층에서는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놀이 알 56점(도면 2014-791), 청동 띠꾸미개 받침(도면 2014-782)(도면 737, 10), 철제 화살촉(도면 2014-783, 1)(도면 693, 14), 철제 꺾쇠편(도면 2014-783, 2), 철제 고깔모양 유물 2점(도면 2014-784, 1, 2)(도면 722, 6, 7), 철제 못 5점(도면 2014-785), 철제 배목(도면 2014-786, 1), 철제 칼(도면 2014-786, 2), 철제 판편(도면 2014-787, 1), 철제 고리(도면 2014-789, 2; 790)(도면 713, 3), 주철제 솥다리편(도면 2014-787, 2), 정요 자기 구연부편(도면 2014-788)(도면 1001, 6), 956점의 토기편(도면 2014-834~846).
제49구역 섹터3 제2인공층에서는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놀이 알 32점, 철제 화살촉 4점(도면 2014-794; 796; 797, 4; 798, 1)(도면 695, 5; 696, 9), 철제 못 3점(도면 2014-797, 1~3; 798, 2~799, 2), 철제 판편(도면 2014-800, 1; 801, 1), 철제 용도불명 유물편(도면 2014-800, 2; 801, 2), 철제 고리 4점(도면 2014-804~806, 2)(도면 713, 4~7), 토제 고리편(도면 2014-792; 793), 토제 방추차(도면 2014-803), 돌 구슬(도면 2014-802), 523점의 토기편과 소량의 와편(도면 2014-847~856).
제49구역 섹터4 제2인공층에서는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놀이 알5 8점(도면 2014-828), 청동 띠꾸미개(도면 2014-807)(도면 737, 14), 철제 자귀(도면 2014-810)(도면 685, 3), 철제 화살촉 4점(도면 2014-811~813)(도면 893, 5; 896, 10), 철제 칼편 2점(도면 2014-815, 1; 816), 철제 못 6점(도면 2014-817~820), 철제 버클편 2점(도면 2014-821, 3, 4; 822, 2, 3)(도면 720, 3, 4), 철제 버클 침(도면 2014-817, 2; 823, 1)(도면 720, 9), 철제 판편(도면 2014-815, 2; 823, 2), 철제 고리편 2점(도면 2014-821, 1, 2; 822, 1); 철제 덮개판편(도면 2014-815, 4; 825, 1), 철제 띠꾸미개 받침편(도면 2014-815, 6), 철제 갈고리편(도면 2014-818, 6; 827, 1), 철제 꺾쇠편(도면 2014-817, 4; 827, 2), 주철제 솥 다리(도면 2014-826), 정요 완 동체부편(도면 2014-808)(도면 1001, 7), 토제 고리편(도면 2014-809), 1,463점의 토기편(도면 2014-857~882).
제49구역에서는 제2인공층에서 모두 3,800점의 윤제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제49구역 섹터1 제3인공층에서는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놀이 알1 4점, 철제 칼편 2점(도면 2014-901; 914, 1), 철제 열쇠(도면 2014-904)(도면 710, 3), 철제 못 2점(도면 2014-905, 1, 2; 906, 1, 2), 철제 화살촉(도면 2014-905, 3; 907, 1), 철제 회전 고리편(도면 2014-908)(도면 724, 6), 철제 고리(도면 2014-905, 4; 907, 2), 철제 천공기 3점(도면 2014-909, 2; 910, 1; 914, 2; 912, 2), 철제 갈고리(도면 2014-909, 1; 910, 2), 철제 판편 2점(도면 2014-913; 914, 1), 청동 띠꾸미개(도면 2014-911)(도면 739, 11), 주철제 수레바퀴 차관편, 토제 고리편 2점(도면 2014-902; 903), 647점의 토기편.
제49구역 섹터2 제3인공층에서는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놀이 알 44점, 철제 못 3점(도면 2014-915, 3, 5), 철제 갈고리(도면 2014-917), 철제 유물(도면 2014-915, 5), 철제 핀셋(?)편(도면 2014-915, 2; 916), 철제 화살촉 2점(도면 2014-923), 토제 다공체 유물편 1점(도면 2014-921), 토제 방추차 1점(도면 2014-922), 278점의 토기편.
제49구역 섹터3 제3인공층에서는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놀이 알2 1점, 청동 띠꾸미개(도면 2014-931)(도면 736, 5), 돌 구슬(도면 2014-929, 1; 930), 철제 검날편(도면 2014-924), 철제 못 4점, 철제 송곳(도면 2014-928, 2), 철제 판편(도면 2014-925, 3; 927, 1), 291점의 토기편.
제49구역 섹터4 제3인공층에서는 다음의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놀이 알 33점, 철제 화살촉(도면 2014-932, 1), 철제 천공기(도면 2014-932, 2), 철제 못(도면 2014-935, 1), 철제 낚싯바늘(도면 2014-935, 3), 철제 쌍각 미늘(도면 2014-935, 2), 철제 띠끝꾸미개(도면 2014-936), 주철제 솥편 2점, 토제 삼족기 다리편(도면 2014-933)(도면 962, 4), 토제 고리편 2점(도면 2014-934), 사용 흔적이 있는 자갈돌. 733점의 토기편.
제49구역의 제3인공층에서는 모두 2,750점의 토기편이 출토되었고(도면 2014-937~985), 그중 일부는 부분적으로 복원이 된다(도면 2014-986~988)(도면 809, 3; 829, 11; 843, 7, 10; 847, 5; 876, 5; 883, 5; 935, 4; 958, 9).
도면 458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도로 등 평면도(2015)
도면 459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도로 모습(북서쪽에서)(2015)
도면 460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도로 모습(동쪽에서)(2015)
도면 461 | 크라스키노성 제50구역 도로 세부 모습(2015)
2015년에 조사가 된 제50구역의 섹터2와 섹터3에서는 2014년에 제49구역에서 조사가 된 동서 방향의 도로가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이미 추정되고 있었다(도면 458~460). 왜냐하면 이곳은 동서방향 도로의 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이었다. 제50구역의 섹터2에서는 제2인공층에 대한 조사를 할 때에 도로에 깔았던 돌들이 이미 노출되기 시작하였다. 도로에 깔은 돌들의 크기는1 0×15㎝부터 13×18㎝까지이다. 도로는 섹터2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관통하였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그 남쪽의 섹터3에도 위치한다. 돌들 사이에서는 인위적으로 깔은 작은 토기편들과 동물의 뼈들 그리고 놀이 알들이 다량 확인되었다. 제50구역에서 확인된 도로의 너비는 돌이 깔린 부분을 기준으로 할 때에 약 3.5m이다. 섹터2의 남쪽 부분에서는 도로 구간을 따라 모래가 섞인 밝은 황갈색의 사질토 얼룩이 노출되었는데 이와 동일한 얼룩이 섹터3의 도로 남변을 따라서도 확인되었다. 이 얼룩들은 도로의 배수시설과 관련된 잔재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5년에 제50구역의 섹터2와 섹터3에서 조사된 도로는 제1생활면에 속한다.
제50구역의 섹터2와 섹터3에서는 유물들이 대부분 도로유구에서 출토되었다. 제2인공층에서는 섹터2의 경우 철제 화살촉(도면 2015-833, 2; 834), 잎사귀 모양 철제 화살촉, 철제 칼편(도면 2015-833, 3; 836), 철제 고리, 철제 추정 화살촉편, 철제 추정 칼편, 철제 유물편, 토제 고리편(도면 2015-837; 838), 삼채기편으로 만든 놀이 알, 명문이 있는 윤제 토기 동체부편, 윤제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마연기편(도면 2015-839; 840), 다량의 윤제 토기편, 와편, 동물 뼈, 부정형의 철편 등이 출토되었다(도면 2015-841~844). 섹터3의 제2인공층에서는 주철제 솥 다리편(도면 2015-845; 846), 철제 판상 유물, 철제 못, 토제 육각 고리편(도면 2015-847; 848)(도면 666, 8), 토제 마연기, 토제 유물편(도면 2015-849; 850), 놀이 알 48점, 부정형 철편, 토기편들 등이 출토되었다(도면 2015-851~859)(도면 793, 2; 869, 7; 870, 9; 813, 6; 816, 1; 932, 4).
제3인공층에서는 돌들 사이에 동물의 뼈와 토기편, 와편들이 보다 많이 깔려 있었다(도면 461). 섹터2에서는 철제 갈고리편 2점, 철제 못 6점, 철제 판상 유물(도면 2015-869), 주철제 판상 유물, 주철제 유물편 2점, 주철제 솥다리(도면 2015-870; 871), 청동 띠꾸미개(도면 2015-872; 873)(도면 739, 9), 청동 고리편(도면 2015-874; 875)(도면 733, 4), 토제 삼채기 구연부편 2점(도면 2015-876~878)(도면 999, 1), 와당편(도면 2015-879; 880), 돌 구슬 4점(도면 2015-881; 882), 철제 유물편들, 놀이 알 89점 이상, 토기편, 와편(도면 2015-883~894)(도면 813, 7; 883, 2; 965, 1) 등이 출토되었다. 섹터3에서는 주철제 판상 유물편, 철제 못(도면 2015-895; 896), 철제 고리(도면 2015-897; 898), 철제 꺾쇠, 철제 유물편, 돌 구슬 2점, 흙구슬 1점(도면 2015-899, 1; 900)(도면 669, 3), 놀이 알 52점, 토기편과 와편(도면 2015-901~914)(도면 802, 4; 829, 10; 845, 6; 874, 2, 3; 892, 5, 10) 등이 출토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 중북지역 도로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5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