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감계사등록

안무영에서 재작년 감계 행차 때 마련했던 수량에 의거하여 필요한 물품들을 적어 해당 지역에서 신속히 준비를 마칠 것을 요청

  • 발신자
    按撫營
  • 발송일
    1887년 3월 26일(음)(丁亥三月二十六日)
□ [1887년 3월] 27일 도착한 안무영 감결
 ○ 감계사의 행차에 응당히 이행해야 할 일은 오로지 을유년 가을의 예에 따라 거행하라는 뜻을 이미 감결로 발송하였거니와, 지금 일정을 보니 마땅히 다음 달[4월] 초4일에 회령에 도착하고 초6일에 무산에 갈 것 같습니다. 강을 건넌 후 응접하는 절차는 미리 조치한 연후에야 때에 닥쳐 허둥지둥대는 탄식이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요(需要)되는 각종 물품을 재작년[1885년, 을유회담] 마련했던 수량에 의거하여 뒤에 기록하고, 다시 감결을 발송하여 엄중히 신칙(申飭)합니다. 해당 관리는 성화(星火) 같이 길을 인도하는 읍(邑)에 전송(轉送)하고, 무산은 도착한 문서를 받아서 고환(考還)주 157
편자주 157)
사실을 자세히 조사하고 돌려보내는 것을 말한다(「속대전」 권4, 「병전」, 성적(成籍): 軍士有頉, 歲抄代定, 成籍考還).
닫기
해야 합니다. 여정 중에 사용하는 기구(器具) 등은 회령에서 담당하고, 등산(登山) 중의 휴게할 처소는 무산에서 담당합니다. 그 외에 각 읍이 각종 물품 외에 솔인(率人) 여러 명과 복군(卜軍)주 158
편자주 158)
짐꾼을 말한다. 복군 이외에 복마군이 있는데, 복마군은 짐을 운반하는 복마를 부리는 군졸이었다. 복마군은 조선시대 각 군영에 배속되어 군수물자를 운반하였다.
닫기
5~6명씩을 대기시키는 것 또한 이미 행해졌던 사례입니다. 아울러 이것을 곧고 바르게 거행할 것이며, 감결이 도착한 일시와 거행한 일의 전말을 보고할 일입니다.
 정해년[1887, 고종 24] 3월 26일 회령, 종성, 온성.
 ○ 문서의 뒷면
 무산
 전미(田米)주 159
편자주 159)
밭에서 볍씨를 직파법(直播法)으로 파종하여 수확한 쌀을 말한다.
닫기
10석
 된장 1석
 돈 300냥
 말먹이 콩 2석
 귀리[耳麥]주 160
편자주 160)
귀보리[耳牟, 耳麰]라고도 한다.
닫기
3석

 회령
 백미(白米)주 161
편자주 161)
모내기를 한 논에서 수확한 벼를 하얗게 도정한 쌀을 말하기도 한다.
닫기
4석
 전미(田米) 15석
 된장 1석
 소금 10두
 북어 150급(級)

 말린 미역 600 꼭지[曲之]주 162
편자주 162)
말린 미역을 세는 ‘꼭지’의 음차이다.
닫기

 돈 200냥
 말먹이 콩 2석
 귀리 3석

 종성
 백미 2석
 전미 10석
 된장 1석
 소금 10두
 돈 300냥
 말먹이 콩 2석
 귀리 3석

 온성
 백미 4석
 전미 5석
 된장 1석
 소금 10두
 돈 300냥
 말먹이 콩 2석
 귀리 3석

 이 경우에 돈은 을유년(1885)의 예주 163
편자주 163)
을유년인 1885년의 감계 행차에 무산, 종성, 호령, 온성 등에 배정된 돈은 각각 300냥이었다(이왕무 외 역, 「역주 감계사등록」, 동북아역사재단, 2008, 101쪽).
닫기
로써 성화(星火) 같이 담당 아전을 정하고 회령부로 수송하여, 회판(會辦)주 164
편자주 164)
관원들이 함께 모여서 안건에 대해 판별하는 일을 말한다.
닫기
에서 필요한 비용으로 삼아야 합니다. 회판에서 사용하고 남는 것은[零條] 일정한 수대로[準數] 무산부로 실어 보내어, 감계사 행차 도중에 뜻하지 않게 쓰이는 비용으로 삼으라는 뜻을 금방 회령부로 감결 발송하는 일입니다.

  • 편자주 157)
    사실을 자세히 조사하고 돌려보내는 것을 말한다(「속대전」 권4, 「병전」, 성적(成籍): 軍士有頉, 歲抄代定, 成籍考還).바로가기
  • 편자주 158)
    짐꾼을 말한다. 복군 이외에 복마군이 있는데, 복마군은 짐을 운반하는 복마를 부리는 군졸이었다. 복마군은 조선시대 각 군영에 배속되어 군수물자를 운반하였다.바로가기
  • 편자주 159)
    밭에서 볍씨를 직파법(直播法)으로 파종하여 수확한 쌀을 말한다.바로가기
  • 편자주 160)
    귀보리[耳牟, 耳麰]라고도 한다.바로가기
  • 편자주 161)
    모내기를 한 논에서 수확한 벼를 하얗게 도정한 쌀을 말하기도 한다.바로가기
  • 편자주 162)
    말린 미역을 세는 ‘꼭지’의 음차이다.바로가기
  • 편자주 163)
    을유년인 1885년의 감계 행차에 무산, 종성, 호령, 온성 등에 배정된 돈은 각각 300냥이었다(이왕무 외 역, 「역주 감계사등록」, 동북아역사재단, 2008, 101쪽).바로가기
  • 편자주 164)
    관원들이 함께 모여서 안건에 대해 판별하는 일을 말한다.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안무영에서 재작년 감계 행차 때 마련했던 수량에 의거하여 필요한 물품들을 적어 해당 지역에서 신속히 준비를 마칠 것을 요청 자료번호 : gd.k_0002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