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서기

신라왕자 천일창(天日槍)이 7개의 물건을 가지고 일본에 건너옴

3년 봄 3월 신라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일본에) 건너왔다주 001
번역주 001)
이 내용과 수인천황 88년 7월조는 천일창 전설과 관련이 있다. 『古事記』 응신천황단에서는 ‘新羅國主의 아들로 이름을 天之日矛라 한다.’고 적고 있다. 천일창은 『古語拾遺』에서는 ‘海檜槍’이라고 적고 있다. 이 설화는 『三國遺事』 紀異1 延烏郞·細烏女조와 관련하여 해석할 수 있다. 연오랑·세오녀 전승은 신라 국가 형성기의 지방세력, 『삼국지』 「위서」 변진조에 보이는 勤耆國 지배집단이 일본열도로 이주한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견해가 있다. 즉 연오랑의 본거지로 추정되는 迎日縣의 별칭이 「都祈野」, 『三國史記』 지리지의 영일현의 古名이 「斤烏支」이므로 「勤耆」와 음이 가깝다. 일본 측 전승에 보이는 천일창의 渡倭 時에 갖고 왔다고 전하는 철, 옥, 창, 거울 등은 일본 야요이시대의 수장층에서 발견되는 王者의 상징물이다. 한편 연오랑의 출항지인 포항시 玉城里 산 일대의 고분에서 원삼국시대에서 삼국시대까지의 토기류와 철제투구, 철도끼, 철창 등의 철기류 및 수정제다면옥, 곡옥 등의 장신구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닫기
. 가지고 온 물건주 002
번역주 002)
이하의 물건은 이 문장의 분주와 88년 7월조에도 보인다. 『古事記』 응신천황단에는 「珠2貫, 振浪比札, 切浪比札, 振風比札, 切風比札, 奧津鏡, 邊津鏡」이라 하여 여덟 개가 보인다.
닫기
은 우태옥(羽太玉)주 003
번역주 003)
분주에서는 葉細珠라고 적고 있다.
닫기
한 개, 족고옥(足高玉)주 004
번역주 004)
足高에 대해서는 지명이란 설과 옥의 모양새를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
닫기
한 개, 제록록(鵜鹿鹿)의 적석옥(赤石玉)주 005
번역주 005)
鵜는 접두어이고, 鹿鹿은 明이란 의미이기 때문에 밝다는 뜻으로 본다. 따라서 赤石을 지명으로 보는 설과 붉게 빛나는 돌로 해석하는 설이 있다.
닫기
한 개, 출석(出石)의 소도(小刀)주 006
번역주 006)
出石은 지명이다. 『和名類聚抄』에 但馬國 出石郡이 보인다. 현재 兵庫縣 出石郡 出石町에 출석신사가 있다. 출석소도에 대해서는 『日本書紀』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 자세하게 보인다.
닫기
한 구, 출석의 창 한 자루, 일경(日鏡)주 007
번역주 007)
원형의 거울이다.
닫기
한면, 웅신리(熊神籬)주 008
번역주 008)
신에게 바치는 공물인 곰의 고기라는 설이 있다.
닫기
한 구 등 모두 일곱 개의 물건주 009
번역주 009)
분주에는 여덟 가지 물건이 보이고, 『古事記』 응신천황단에도 여덟 가지이다.
닫기
이었다. 곧 단마국(但馬國;타지마노쿠니)에 간직하고 항상 신물(神物)주 010
번역주 010)
神寶와 같고,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도 보인다.
닫기
로 삼았다[어떤 책(一)에서는 말하길 처음에 천일창이 배를 타고 파마국(播磨國;하리마노쿠니)에 정박하여 육속읍(宍粟邑;시사하노무라)주 011
번역주 011)
율령제의 播磨國 宍粟郡으로 지금의 兵庫縣 宍粟郡이다. 『播磨風土記』 揖保郡 粒丘조에 관련 설화가 보인다.
닫기
에 있었다. 이때 천황이 삼륜군(三輪君;미와노키미)주 012
번역주 012)
『日本書紀』 신대상 일서(8-6) 참조.
닫기
의 선조 대우주(大友主;오호토모누시)주 013
번역주 013)
『先代舊事本紀』 地祗本紀에 따르면 素戔鳴尊의 11세손으로 崇神천황이 大神君의 姓을 내렸다고 한다.
닫기
와 왜직(倭直;야마토노아타히)주 014
번역주 014)
『日本書紀』 숭신천황 7년 8월조 참조.
닫기
의 선조 장미시(長尾市;나가오치)를 파마에 보내어주 015
번역주 015)
三輪君과 倭直 두 사람을 파견한 것은 이들이 大和國을 鎭護하는 大物主神과 倭大國魂神을 제사하는 인물들이었기 때문이라 해석하고 있다.
닫기
천일창에게 “그대는 누구인가? 또 어느 나라 사람인가?”라고 물었다. 천일창이 “저는 신라국의 왕자입니다. 그러나 일본국에 성황(聖皇)이 계시다는 것을 듣고 저의 나라를 아우 지고(知古)주 016
번역주 016)
관명과 인명의 어미나 미칭으로 보는 설, 『日本書紀』 繼體紀의 加羅己富利知伽 혹은 神功攝政前紀의 宇流助富利智干과 관계 있다는 설이 있다.
닫기
에게 주고 귀화하였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바친 물건은 엽세주(葉細珠), 족고주(足高珠), 제록록(鵜鹿鹿)의 적석주(赤石珠), 출석의 칼, 출석의 창, 일경, 웅신리, 담협천(膽狹淺)주 017
번역주 017)
膽狹淺을 지명으로 보는 설이 있다. 본문의 神寶 가운데에는 보이지 않는다.
닫기
의 큰 칼 등 모두 여덟 가지 물건이었다. 천황은 천일창에게 “파마국육속읍담로도(淡路島;아와지노시마)의 출천읍(出淺邑;이데사노무라)주 018
번역주 018)
出淺邑에 대해서는 津名町志筑이라고 하는 설과 五色町都志라고 보는 설이 있다.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서는 출석의 도자를 담로도에서 제사지내었다고 한다.
닫기
두 고을을 주니 그대 마음대로 살아라.”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천일창이 “신이 장차 거할 곳은 만일 천은을 내려서 신이 원하는 곳을 들어주신다면, 몸소 제국을 돌아다녀 보고 신의 마음에 드는 곳을 주셨으면 합니다.”라고 말하였다. 이에 들어주었다. 그래서 천일창도도하(菟道河;우지카하)주 019
번역주 019)
宇治川이다.
닫기
에서 거슬러 올라가서 북쪽으로 들어가 근강국(近江國;아후미노쿠니)주 020
번역주 020)
『和名類聚抄』에 近江國 坂田郡 阿那鄕이 있는데, 지금의 滋賀縣 坂田郡 近江町 箕浦란 설이 있다. 『延喜式』 神名에 蒲生郡 長寸神社가 있는 滋賀縣 蒲生郡 龍王町 綾戶 부근이란 설도 있다.
닫기
오명읍(吾名邑;아나노무라)에 들어가 잠시 살았다. 다시 근강에서 약협국(若狹國;와카사노쿠니)을 거쳐 서쪽의 단마국에 이르러 거처할 곳을 정하였다. 그러므로 근강국경촌(鏡村;카가미무라) 골짜기 옹기장이는 천일창을 따라온 사람들이다. 천일창 주 021
번역주 021)
이하의 世系는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도 보인다.
닫기
단마출도(出嶋;이즈시)주 022
번역주 022)
出島는 出石이라 한다.
닫기
사람 태이(太耳;후토미미)주 023
번역주 023)
『日本書紀』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는 보이는 ‘前津耳’, ‘前津見’이다.
닫기
의 딸인 마다오(麻多烏;마타워)주 024
번역주 024)
『古事記』 응신천황단에는 「多遲摩之俣尾之女, 名前津見」이라 하여 부녀 관계로 보고 있다. 『日本書紀』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는 ‘麻拕能烏’라 하였다.
닫기
에게 장가들어 단마제조(但馬諸助;다지마모로스쿠)주 025
번역주 025)
『古事記』 응신천황단에서는 ‘多遲摩母呂須玖’라 하였다.
닫기
를 낳았다. 제조단마일유저(但馬日楢杵;타지마히나라키)주 026
번역주 026)
『古事記』 응신천황단에서는 ‘比那良岐’라 하고, 母呂須玖의 손자이며 斐泥의 아들이라 하였다.
닫기
를 낳았고, 일유저청언(淸彦;키요히코)주 027
번역주 027)
『古事記』 응신천황단에서는 ‘淸日子’라 하여 比那良岐의 아들, 多遲摩毛理의 동생이라 하였다. 『古事記』 개화천황단의 계보에 의하면 神功皇后의 선조라고 한다.
닫기
을 낳았고, 청언전도간수(田道間守;타지마모리)주 028
번역주 028)
田道間守의 전설은 『日本書紀』 수인천황 90년 2월조와 수인천황 99년 다음해(明年) 3월조, 『古事記』 수인천황단 말미에 보인다. 또한 『日本書紀』 응신기에서는 比那良岐의 아들이라 하였다.
닫기
를 낳았다고 한다.].

  • 번역주 001)
    이 내용과 수인천황 88년 7월조는 천일창 전설과 관련이 있다. 『古事記』 응신천황단에서는 ‘新羅國主의 아들로 이름을 天之日矛라 한다.’고 적고 있다. 천일창은 『古語拾遺』에서는 ‘海檜槍’이라고 적고 있다. 이 설화는 『三國遺事』 紀異1 延烏郞·細烏女조와 관련하여 해석할 수 있다. 연오랑·세오녀 전승은 신라 국가 형성기의 지방세력, 『삼국지』 「위서」 변진조에 보이는 勤耆國 지배집단이 일본열도로 이주한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견해가 있다. 즉 연오랑의 본거지로 추정되는 迎日縣의 별칭이 「都祈野」, 『三國史記』 지리지의 영일현의 古名이 「斤烏支」이므로 「勤耆」와 음이 가깝다. 일본 측 전승에 보이는 천일창의 渡倭 時에 갖고 왔다고 전하는 철, 옥, 창, 거울 등은 일본 야요이시대의 수장층에서 발견되는 王者의 상징물이다. 한편 연오랑의 출항지인 포항시 玉城里 산 일대의 고분에서 원삼국시대에서 삼국시대까지의 토기류와 철제투구, 철도끼, 철창 등의 철기류 및 수정제다면옥, 곡옥 등의 장신구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2)
    이하의 물건은 이 문장의 분주와 88년 7월조에도 보인다. 『古事記』 응신천황단에는 「珠2貫, 振浪比札, 切浪比札, 振風比札, 切風比札, 奧津鏡, 邊津鏡」이라 하여 여덟 개가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3)
    분주에서는 葉細珠라고 적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4)
    足高에 대해서는 지명이란 설과 옥의 모양새를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5)
    鵜는 접두어이고, 鹿鹿은 明이란 의미이기 때문에 밝다는 뜻으로 본다. 따라서 赤石을 지명으로 보는 설과 붉게 빛나는 돌로 해석하는 설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6)
    出石은 지명이다. 『和名類聚抄』에 但馬國 出石郡이 보인다. 현재 兵庫縣 出石郡 出石町에 출석신사가 있다. 출석소도에 대해서는 『日本書紀』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 자세하게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07)
    원형의 거울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08)
    신에게 바치는 공물인 곰의 고기라는 설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09)
    분주에는 여덟 가지 물건이 보이고, 『古事記』 응신천황단에도 여덟 가지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10)
    神寶와 같고,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도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11)
    율령제의 播磨國 宍粟郡으로 지금의 兵庫縣 宍粟郡이다. 『播磨風土記』 揖保郡 粒丘조에 관련 설화가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12)
    『日本書紀』 신대상 일서(8-6) 참조.바로가기
  • 번역주 013)
    『先代舊事本紀』 地祗本紀에 따르면 素戔鳴尊의 11세손으로 崇神천황이 大神君의 姓을 내렸다고 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14)
    『日本書紀』 숭신천황 7년 8월조 참조.바로가기
  • 번역주 015)
    三輪君과 倭直 두 사람을 파견한 것은 이들이 大和國을 鎭護하는 大物主神과 倭大國魂神을 제사하는 인물들이었기 때문이라 해석하고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6)
    관명과 인명의 어미나 미칭으로 보는 설, 『日本書紀』 繼體紀의 加羅己富利知伽 혹은 神功攝政前紀의 宇流助富利智干과 관계 있다는 설이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17)
    膽狹淺을 지명으로 보는 설이 있다. 본문의 神寶 가운데에는 보이지 않는다.바로가기
  • 번역주 018)
    出淺邑에 대해서는 津名町志筑이라고 하는 설과 五色町都志라고 보는 설이 있다.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서는 출석의 도자를 담로도에서 제사지내었다고 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19)
    宇治川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20)
    『和名類聚抄』에 近江國 坂田郡 阿那鄕이 있는데, 지금의 滋賀縣 坂田郡 近江町 箕浦란 설이 있다. 『延喜式』 神名에 蒲生郡 長寸神社가 있는 滋賀縣 蒲生郡 龍王町 綾戶 부근이란 설도 있다.바로가기
  • 번역주 021)
    이하의 世系는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도 보인다.바로가기
  • 번역주 022)
    出島는 出石이라 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23)
    『日本書紀』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는 보이는 ‘前津耳’, ‘前津見’이다.바로가기
  • 번역주 024)
    『古事記』 응신천황단에는 「多遲摩之俣尾之女, 名前津見」이라 하여 부녀 관계로 보고 있다. 『日本書紀』 수인천황 88년 7월조에는 ‘麻拕能烏’라 하였다.바로가기
  • 번역주 025)
    『古事記』 응신천황단에서는 ‘多遲摩母呂須玖’라 하였다.바로가기
  • 번역주 026)
    『古事記』 응신천황단에서는 ‘比那良岐’라 하고, 母呂須玖의 손자이며 斐泥의 아들이라 하였다.바로가기
  • 번역주 027)
    『古事記』 응신천황단에서는 ‘淸日子’라 하여 比那良岐의 아들, 多遲摩毛理의 동생이라 하였다. 『古事記』 개화천황단의 계보에 의하면 神功皇后의 선조라고 한다.바로가기
  • 번역주 028)
    田道間守의 전설은 『日本書紀』 수인천황 90년 2월조와 수인천황 99년 다음해(明年) 3월조, 『古事記』 수인천황단 말미에 보인다. 또한 『日本書紀』 응신기에서는 比那良岐의 아들이라 하였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천일창, 천일창, 대우주, 장미시, 천일창, 천일창, 천일창, 천일창, 천일창, 천일창, 천일창, 태이, 마다오, 단마제조, 제조, 단마일유저, 일유저, 청언, 청언, 전도간수
지명
단마국, 파마국, 육속읍, 파마, 파마국, 육속읍, 담로도, 출천읍, 도도하, 근강국, 오명읍, 근강, 약협국, 단마국, 근강국, 경촌, 단마, 출도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신라왕자 천일창(天日槍)이 7개의 물건을 가지고 일본에 건너옴 자료번호 : ns.k_0013_0040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