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평양성

체성

체성

내성의 을밀대, 만수대, 산등재 등 산등성이와 능선, 중성의 남벽이 통하는 안산 등 언덕 경사면, 그리고 북성의 모란봉 경사면에서는 전면적으로 내탁공법(외면축조공법)이 적용되고, 평천구역과 같이 평지대와 일부 강기슭에 위치한 평지에는 내축공법(양면축조공법)이 적용되었다. 성벽의 높이는 지형조건에 따라 차이를 두는데 만수대와 같이 산등성이나 능선에 위치한 성벽은 4~5m 안팎의 높이이며, 평천 구역과 같이 평지대에 쌓은 성벽의 높이는 7~9m이다. 성벽의 너비는 산지대에 쌓은 단애성벽에서는 밑너비 3~6m, 윗너비 약 2.5~4m이며, 평지대의 성벽 밑너비는 약 6~8m, 윗너비는 4~6m이다.
체성은 일반식공법과 계단식공법이 사용되었다. 일반식공법은 성벽의 기초에서부터 최상위까지 같은 비례로 성돌을 조금씩 뒤로 들어 쌓음으로서 성벽 면을 안으로 경사지게 쌓는 방법으로 평양성의 대부분이 이 공법이 적용되었다, 계단식으로 쌓은 부분은 을밀대나 내성의 동·서벽 일부, 북성 남벽의 일부와 같이 성 밖이 가파른 지점과 골짜기의 성벽에 적용되었다.
체성의 굽도리에 사용된 성돌들은 대부분 큰 돌을 쓰고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은 성돌을 사용하였다. 성벽 밑 부분의 면석은 대체로 큰 돌들인데 앞면의 너비는 60~70cm, 두께는 40cm, 길이는 65~75cm 내외이고, 대부분의 면석은 너비 30cm, 두께 20cm 안팎의 것이었다. 면석의 앞면은 모서리를 깎고 둥그렇게 다듬었는데 재질은 대부분 화강암이며, 사암, 혈암 등 여러 종류의 돌을 썼다. 적심석은 평평한 돌로 마치 구들을 놓듯이 반듯하게 깔고, 사이에 조약돌과 약간의 진흙을 섞어 번갈아 쌓아 올렸다. 또 면석의 뿌리를 길게 하여 뾰족한 부분이 적심석에 의해 다시 2~4합으로 물리게 하고, 면석과 적심석 사이에 긴 돌로 서로 맞물려 누르게 하고, 사이에 조약돌로 다져 넣었다.
만수대 부근의 성벽 기초단면에서는 단애성축조공법을 확인할 수 있는데 6m의 너비로 지면을 굴광하고, 5~6m 너비의 성벽을 쌓았다. 성벽은 면석과 적심석 사이에는 긴 돌을 놓아 서로 연결시켰으며, 그 사이에 자갈을 섞어 다져 넣은 점은 평지성의 축조 방법과 같다. 이와 같은 축조공법은 내성의 북벽과 지반이 비교적 약한 만수대 부근에서 확인되며, 이곳은 성 밖의 경사도가 비교적 완만한 지형이기 때문에 보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절벽을 이룬 강안 언덕을 이용하여 쌓은 단애성벽에도 특수한 축조공법을 응용하였는데, 덕바위 부근에서 북으로 장경문터에 이르는 구간은 대동강의 침식작용에 의해 생긴 절벽을 이용하였다. 이곳은 바위에 붙은 흙을 깎아 내리고, 적이 기어오를 수 있는 홈마다 석회로 성돌을 붙여 막았다. 평천구역 보통산 기슭에 쌓은 일부 성벽 굽도리 밖에서는 약 30~50m 너비로 지표면에 돌로 포장한 흔적이 관찰되는데, 이와 같은 흔적은 나성 서남벽 밖의 여러 지점에서도 관찰된다. 이는 장마 때 대동강이나 보통강의 물이 성벽의 굽도리를 파고드는 피해를 막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성벽의 경사도 또한 평지대와 산지대 및 지형조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데 평지대에 쌓은 성벽의 경사도는 82°~83°로 거의 수직이다. 이에 비해 산지대에 쌓은 성벽은 조금 완만하게 만들었는데 78°~79°로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게 하여 성벽이 허물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 체성에는 미석을 얹어 성신과 여장을 구분하였는데, 미석은 성벽 면에서 약 8~10cm 정도 밖으로 돌출되게 하였다. 미석은 면석과 같은 수법으로 다듬었으나 규모가 작고 납작하였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이후부터는 나성이 석성과 토성으로 축조된 것으로 기록하였다. 고구려 때의 나성은 모두 석성이었는데 938년 나성을 수축할 때 무너진 부분을 흙으로 쌓게 되고, 그 이후에도 이 부분을 흙으로 수축한 것으로 추측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체성 자료번호 : ispy.d_0002_00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