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산구조신(山口朝臣; 야마구치노아소미)

산구조신(山口朝臣; 야마구치노아소미)
 도수조신(道守朝臣; 치모리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무내숙녜(武內宿禰; 다케시우치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속일본기』와 일치한다.
 
【주석】
1. 산구조신(山口朝臣)
산구(山口; 야마구치)라는 씨명은 『고사기』 웅략천황단에 보이는 장곡산구(長谷山口)와 천평 2년(730) 12월 20일자 「대화국정세장(大和國正稅帳)」에 기록된 장곡산구신(長谷山口神)의 산구라는 지명에서 유래한다. 이곳은 율령제하에서는 대화국 성상군(城上郡)장곡향(長谷鄕)으로 현재 나량현 앵정시 초뢰(初瀨) 지역 부근이다.
산구조신의 옛 성은 신(臣)이다.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慶雲) 원년(767) 9월 기사조에 하내국 지기군(志紀郡) 사람인 정6위상 산구신견양(山口臣犬養) 등 30인에게 산구조신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산구조신씨의 본거지가 하내국 지기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산구조신씨 일족으로는 산구조신견양 이외에 『대동유취방(大同類聚方)』(46)의 산구조신동웅(山口朝臣東雄), 『속일본후기』 가상(嘉祥) 3년(850) 정월 병술조의 산구조신춘방(山口朝臣春方), 『일본삼대실록』 원경(元慶) 7년(883) 정월 7일조의 산구조신잠세(山口朝臣岑世) 등이 있다.
2. 도수조신(道守朝臣)
좌경 황별(상) 「도수조신」 조(072) 참조.
3. 무내숙녜지후(武內宿禰之後)
『월중석흑계보(越中石黑系譜)』에는 무내숙녜의 아들로 되어 있고, 우전시대숙녜(羽田矢代宿禰)의 말미 부기에 산구조신의 조상으로 나온다. 무녜숙녜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전구조신」 조(066) 참조.
4. 속일본기합(續日本紀合)
『속일본기』 신호경운 원년(767) 9월 기사조에 하내국 지기군(志紀郡) 사람인 정6위상 산구신견양(山口臣犬養) 등 30인에게 산구조신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을 가리킨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산구조신(山口朝臣; 야마구치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3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