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견상조신(犬上朝臣; 이누카미노아소미)

견상조신(犬上朝臣; 이누카미노아소미)
 시호 경행(景行; 게이카우)의 황자(皇子)인 일본무존(日本武尊;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견상조신(犬上朝臣)
견상(犬上; 이누카미)이라는 씨명은 율령제하의 근강국(近江國) 견상군(犬上郡)이라는지명 혹은 그 지역의 유력 호족인 견상씨(犬上氏)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견상군은 현재 자하현(滋賀縣) 견상군(犬上郡)에 해당한다. 고대에는 개가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수렵이나 경계를 목적으로 개를 키우는 일이 중시되어 견양부(犬養部; 이누카이베)처럼 개를 기르기 위한 집단이 설정되기도 하였다.
견상조신의 원래 성은 지역 호족에게 흔히 보이는 군(君)이었는데, 685년에 조신(朝臣)이라는 성을 받았다(『일본서기』 天武 13년 11월 무신삭조).
견상군의 조상으로는 창견별(倉見別, 『일본서기』 신공황후 섭정 원년 2월조 등)이 보이고, 군(君)이라는 성을 가진 사람으로는 견상군어전초(犬上君御田鍬, 『일본서기』推古 22년 6월 기묘조 등), 견상건부군(犬上健部君, 『일본서기』 효덕 즉위전기), 견상군백마려(犬上君白麻呂, 『日本書紀』 齊明 2년 9월조), 견상군(犬上君, 『일본서기』 천지 2년 5월 계축삭조) 등이 있다.
견상군어전초는 견수사(遣隋使, 『일본서기』 推古 22년 6월 기묘조와 동 23년 9월조)와 견당사(遣唐使, 『일본서기』 舒明 2년 8월 정유조, 동 4년 8월조)로서 중국을 다녀왔고, 견상군백마려는 견고려대판관(遣高麗大判官, 『일본서기』 齊明 2년 9월조)에 임명되었으며, 이름을 알 수 없는 견상군(犬上君) 역시 고구려에 가서 군사적인 문제를 알렸으며 백제 지역으로 가서 규해(糺解)를 만났는데 규해가 복신(福信)의 죄를 이야기하였다고 한다(『일본서기』 天智 2년 5월 계축삭조). 이처럼 견상군 일족은 외교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견상조신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로는 견상조신진인(犬上朝臣眞人, 天平感寶 원년 6월 10일자 「奴碑賣卷」, 『대일본고문서』 3-259), 견상조신도가비녀(犬上朝臣都可比女, 상동 3-259), 이름을 알 수 없는 견상조신(犬上朝臣, 寶龜 9년 4월 19일자 「穗積眞乘元東大寺功德分家地雜物寄進解」, 동 6-600), 견상조신망성(犬上朝臣望成, 『日本後紀』 延曆 24년 6월 병진조 등) 등의 이름이 보인다. 또한 근강국(近江國) 검비위사(撿非違使)로서 이전에 견상군의 대령(大領)을 지낸 견상춘길(犬上春吉)이 보인다(『日本三代實錄』 仁和 원년 7월 신축조).
2. 시경행(諡景行)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시(諡)’ 앞에 ‘대족언인대별천황(大足彦忍代別天皇)’이라는 8글자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3. 일본무존(日本武尊)
왜건명(倭建命, 『고사기』景行天皇段)이라고 하며, 경행천황의 아들이자 중애천황(仲哀天皇)의 아버지이다. 구주 지역의 웅습(熊襲)과 동국(東國)을 정벌한 인물로 유명하다. 일본무존을 시조로 하는 씨족은 다음과 같다.
 좌경(左京) 황별(皇別) 견상조신(犬上朝臣): 일본무존(日本武尊)의 후손
 우경(右京) 황별(皇別) 건부공(建部公): 견상조신과 동조이고 일본무존의 후손
 화천국(和泉國) 황별(皇別) 화기공(和氣公): 견상조신과 동조이고, 왜건존(倭建尊)의 후손
 화천국 황별 현주(縣主): 화기공과 동조이고, 일본무존의 후손
 화천국 황별 서본(聟本): 왜건존의 3세손 대황전명(大荒田命)의 후손
또한 『고사기』에서는 왜건명이 의부다모화기(意富多牟和氣)의 딸 포다지비매(布多遲比賣)를 맞이하여 도의별왕(稻依別王)을 낳았는데, 그는 견상군(犬上君)과 건부군(建部君) 등의 시조라고 하였다. 『일본서기』에서는 소대존(小碓尊), 일본동남(日本童男), 일본무존이라고 하는데, 양도입희(兩道入姬)를 비로 삼아 도의별왕의 견상군과 무부군(武部君)의 시조라고 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견상조신(犬上朝臣; 이누카미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60_0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