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북제주 곽지 패총

  • 저필자
    황재훈(서울대학교)
  • 날짜
    1977·1979·1984
  • 시대
    청동기~조선시대
  • 위치
  • 원소장처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애월읍 곽지리
  • 시대
    상고사
  • 유형
    무덤
입지
1977년에 처음 발견되어 1979년과 1984년 2차에 걸쳐 제주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짐.
유적개관
피트 또는 층위단면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Ⅱ지구와 Ⅲ지구가 대표적인데 이 2개의 지구는 다시 4개의 문화지구로 나뉨. Ⅱ지구는 청동기시대층과 외반구연토기와 김해식 토기가 나오는 철기시대층으로 구분됨. Ⅲ지구는 철기시대 말기에 이루어진 단일 퇴적층으로 확인됨.
출토유물
* 어망추, 방추차, 조갯날도끼, 골각기, 공렬토기, 구순각목토기, 직립구연토기, 갈색마연 토기, 철검 등
참고문헌
「곽지패총(郭支貝塚)」
해설
제주도 서북해안지역에 위치한다. 북제주군은 중앙에 제주시가 있어 동·서로 양분되어 있으며, 남쪽 경계에는 중앙의 해발 1,950m의 한라산을 비롯하여 동쪽 흙붉은오름(1,391m), 성널오름(1,215m), 거문오름(718m), 높은오름(405m), 서쪽에 노로오름(1,070m), 괴오름(651m) 등이 연봉을 이루면서 분수령을 형성하고 있다. 하천들은 일반적으로 북류하는데, 유년기곡을 형성하여 곳곳에 깊은 골짜기를 이루고, 한림읍의 옹포천을 제외한 모든 하천이 비가 멎은 뒤에는 건천이 된다. 해안선은 대체로 단조롭고 현무암초이기 때문에 좋은 항만이 없다. 한림읍 협재리, 조천면 함덕리, 구좌읍의 김녕리 등지에 사구가 발달하여 해수욕장을 이룬다. 한라산 사면에는 수많은 분석구와 용암동굴이 발달되어 있으며, 남쪽 사면보다는 다소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부속도서로는 본토(육지)와의 중간에 추자군도가 있고, 동쪽에 우도, 북서쪽에 비양도, 서쪽에 차귀도 등이 있다.
곽지리는 일주도로 남쪽변에 위치하는데 주변은 경작지가 발달해있다. 해안에서 남쪽으로 1㎞, 금성천에서 서쪽으로 0.3~1㎞ 떨어져 있다. 유적 동쪽으로 해발 155m의 과오름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경사로가 급해지면서 한라산으로 오르는 산등성이로 이어진다.
곽지 조개무지 유적은 하천을 가까이 둔 해발 30~40m의 완만하고 너른 해안가 들판에 형성되어 있다. 곽지리 인근 과오름 기슭에는 4기의 고인돌을 분포하며 서남편 5㎞ 떨어져 구석기시대 유적인 어음리 빌레못동굴이 위치한다.
7개 지점에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동서 길이 1.5㎞, 남북 0.5㎞ 범위내 유적이 분포한다. 1967년 서울대 최몽룡교수에 의해 과오름 능선에 자리한 고인돌 4기가 조사되면서 유적의 존재가 알려졌으며 1973년 송석범씨에 의해 조개무지가 보고되었다. 1975년에는 영남대 정영화교수에 의해 지표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유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식 학술발굴은 1979년에 이루어졌다. 제주대 이백규에 의해 2개 지구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다. 1984년 제주대학교에 의해 3지구가 조사되었다. 이후 1986년 곽지리 신용협동조합 건물 신축공사 중 조개무지가 노출되어 4지구가 발굴조사 되었으며 여기에서는 돌덧널무덤을 비롯 통일신라시대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1989년에는 곽지-남읍리 간 도로 공사 중 5,6지구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어 2~3세기 대 경질찰문토기 유물층을 비롯한 통일신라시대 조개무지이 조사되었다. 1992년에는 마을 안 도로개설 공사로 인해 7지구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탐라전기~후기의 문화층이 조사되었다.
곽지 조개무지는 Ⅱ지구와 Ⅲ지구인 2091번지, 2032번지에서 주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Ⅱ지구인 2091번지에서는 4개의 층위 확인되었는데 최하층(4층)인 황갈색진흙층에서는 이 유적에서 가장 이른 시기인 청동기시대 후기 기원전 3~4세기경의 구멍무늬토기, 골아가리토기의 민무늬토기가 출토되었다. 3층에서는 점토대토기, 흑색마연토기, 갈색간토기, 고리손잡이토기가 출토되며 2층에서는 많은 양의 패각과 함께 김해식토기, 외반입술항아리 형식이 출토되었다. 이외에도 당시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석제와 골제, 철제 생활도구와 동물뼈, 조개류가 다량 발견. Ⅲ지구인 2032번지에서는 4개 층위 확인되었다. 최하층인 4층에서는 초기철기시대 외반입술토기와 삼국시대 도질토기, 3층에서는 외반입술깊은바리토기, 원통형꼭지토기, 신라식토기가 누대에 걸쳐 퇴적되었다.
유물은 대부분 민무늬토기이다. 가락바퀴와 그물추의 토제품, 간돌도끼, 갈판, 갈돌, 공이, 숫돌, 자귀, 끌, 철제품, 골각기, 소와 사슴, 멧돼지 등의 동물뼈와 조개류 등의 자연유물도 다량 출토되었다. 골아가리토기, 구멍무늬토기, 골아가리구멍무늬토기, 덧띠토기, 갈색간토기, 흑색마연토기, 외반입술항아리, 손잡이 달린 토기, 원형꼭지달린 뚜껑, 경질과 연질의 타날문토기
곽지 조개무지는 제주도 최대의 조개무지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조개무지의 퇴적층 두께만 하더라도 100㎝ 이상이며, 범위도 비교적 넓은 범위이다. 하층에는 청동기시대 역삼동식토기 문화층에서부터 상층으로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 까지 누대에 걸친 문화층이 퇴적되어 있으며 이 일대 선사~고대와 중세의 물질문화의 변화상을 엿볼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북제주 곽지 패총 자료번호 : isea.d_0001_0030_0130_001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