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연구논저목록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총서: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묻는다:역사·사회학적 연구

  • 구분
    저서
  • 저필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한국위원회 법률위원회
  • 발행자
    풀빛
  • 발행일
    2001년
  • 주제분류
    일본위안부
  • 형태사항
    400쪽  , 한국어 
"발간에 부처
책을 펴내며
제1부 일본군위안소 제도와 피해사실
1. 일본군위안소 제도의 성립/정진성
 1. 머리말
 2. 연행시기 및 피해자의 특성
   1) 연행시기
   2) 가정배경 및 학력
   3) 연령
   4) 연행된 곳
   5) 연행되어 간 곳
 3. 강제연행의 사회적 조건
   1) 빈곤
   2) (총)동원체제 하의 강제동원
   3) 공창제도의 수립과 매매춘의 확산
 4. 연행방식
   1) 취업사기
   2) 협박 및 폭력
   3) 인신매매 및 유괴
   4) 근로정신대 제도를 통한 동원
   5) 기타-공출·봉사대·근로대 등의 명목으로
 5. 연행자
   1) 민간인
   2) 군인·군속·헌병
   3) 경찰 및 관리
 6. 수송 및 배치
 7. 결론
2. 위안소와 일본국·일본군의 가해체계/하종문
 1. 만주사변기의 위안소 제도의 기획과 설치
   1) 만주사변기의 위안소 설치
   2) 위안소의 운용 실태
 2. 중일전쟁기의 위안소 제도
   1) 전쟁의 발발과 위안소 제도
   (1) 위안소 설치의 개시
   (2) 위안소 설치의 실례 1:상해파견군 위안소
   2) 위안소 제도의 정비
   (1) 위안소 설치를 둘러싼 갈등과 수습
   (2) 도항 체계와 외무성의 관련
   3) 체계화된 위안소 제도
   (1) 육군 중앙과 위안소 제도
   (2) 위안소 설치의 실례2:제21군 위안소
   (3) 소규모 위안소의 경우
   4) 위안소 제도의 새 국면
   (1) 도항 체계의 변화
   (2) 도항통제의 실상:군의 독자적 추진
 3. 태평양전쟁기의 위안부·위안소
   1) 위안소 제도의 확대와 변화
   (1) 태평양전쟁 개전과 위안소의 설립
   (2) 전쟁의 양상과 위안부 도항
   (3) 군정과 위안소 제도
   2) 태평양전쟁기의 위안부 동원과 위안소 운용
 4. 조선에서의 위안부 동원
   1) 조선에서의 위안부 동원
   (1) 도항과 관련한 조선총독부의 동향
   (2) 증언에서 보이는 동원의 단면
   2) 노동력 동원과 위안부 동원
   (1) 위안부 동원과 관련되는 노동력 동원
   (2) 강제동원의 필연성
3. 일본군위안소에서의 범죄적 행위와 피해사실/조최혜란
 1. 들어가며
 2. 피해실태
   1) 여성으로서의 피해
   (1) 몸과 성의 착취
   (2) 출산 및 양육권의 침해
   2) 노동권의 훼손
   3) 조선인으로서의 민족멸시
   4) 사적 영역의 침해
 3. 피해자들의 대처방안
 4. 맺음말
4. 일본군위안소에 대한 지역별 사례연구
일본 오키나와/강정숙
 1. 오키나와 조사의 동기와 오키나와 전쟁 개관
   1) 가장 치열한 육상전이 있었던 오키나와
   2) 오키나와 본섬
   (1) 기노완(宜野灣)시 가카스(賀數)고지와 위안소
   (2) 오나하(小那覇) 위안소(현 병원자리)
   (3) 니시하라정(西原町) 고완(小灣) 위안소
   (4) 시마지리군(島尻郡) 다마구스쿠촌(玉城村)-이토가즈(糸数)동굴과 성
   (5) 하에바루정(南風原町)
   (6) 기노완시립도서관 자료조사와 홍종필 교수 면담
   3) 이리오모테섬(西表島)
   4) 이시가키섬(石垣島)
   5) 미야코섬(宮古島)
 7. 오키나와 현립 공문서관 방문
 8. 남기고 싶은 말
 ※ 비고:1. 7. 8. 번호매김에 오류 있음
 사할린/여순주
 1. 조사 일정
 2. 조사 결과
 3. 산업위안소와 군위안소
 4. 주요 증언자의 증언
   1) 이경훈-요리집 출입 경험자
   2) 보조 증언-정용성
   3) 김양례(가명)에 대한 조광자 증언
   4) 양선동ㆍ이홍자 부부(39년생)가 들은 피해자
   5) ○백화 외 2인(조광자ㆍ김호연이 증언)
   6) 김진명
   7) 박연동
   8) 변덕만
   9) 조광자
 5. 사전조사
   1) 고령의 대창양로원 방문
   2) 인천 사할린 복지회관
   3) 국내 다른 사할린 동포 조사
   4) 문헌조사
 남태평양/조최혜란
 1. 조사지역 개황
   1) 북마리아나 연방 일부(사이판과 티니안)
   2) 괌(GUAM)
   3) 팔라우(PALAU) 공화국
 2. 조사 결과
   1) 사이판
   2) 티니안
   3) 괌
   4) 팔라우 공화국
 3. 일정 정리
 제2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후유증과 제2차 가해문제
 일본 패전후 타국에 남겨진 피해자의 삶/고혜정
 1. 어느 지역의 위안소에 있었는가
 2. 전쟁이 끝난 후 일본군 혹은 위안소 관리자는 여자들을 어떻게 처리했나
 3. 왜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는가
   1) 선택이 원천 봉쇄된 경우
   2) 선택할 수 있었으나, 잔류한 경우
   3)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가 귀국이 좌절된 경우
 4. 피해자들은 타국에 남아 지금까지 어떻게 생활해 왔는가
   1) 생계ㆍ직업
   2) 결혼과 성, 출산
 5. 그들이 후유증은 무엇인가
 6. 그들이 어떻게 말하게 되었나
 7. 새로운 후유증은 무엇인가
 8. 현재는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가
 9. 한국에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10. 그들이 현재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
 피해자들의 귀국 후 삶/심영희
 1. 50년간의 침묵
 2. 전쟁 중 및 종전 후 군위안부 피해자의 상황
   1)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2) 전쟁 중 및 종전 후의 생활과 상황
 3.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귀국 후 생활
   1) 고향으로부터의 단절과 뿌리뽑힌 삶
   2) 가족관계의 단절
   3) 생존조차 어려운 생활환경
   4) 정상적인 여성으로서의 삶이 불가능
 4. 후유증-침묵의 효과
   1) 초기의 후유증-기억하지만 침묵함
   2) 장기적 후유증-침묵과 집합기억의 상실
   3) 침묵에서 오는 고통을 어떻게 해결하려 했나
 5. 침묵-왜 그토록 말하기 어려웠나
   1) 생활환경의 요인-가족관계의 단절, 어려운 생활환경
   2) 문화적 요인-정절 이데올로기 및 반일정서
   3) 언어적 요인-정체성 혼란과 언설화의 어려움
 6. 침묵에서 증언으로-어떻게 말하게 되었는가
   1) 신고의 계기
   2) 증언동기 및 과정-어떻게 말하게 되었나
   3) 여건을 마련한 배경요인-정대협의 역할과 지원법 제정
 7. 말함으로써 오는 효과-새로운 생활과 새로운 후유증
   1) 신고 및 증언 이후의 생활-나아진 생활환경
   2) 정신적 효과-말하기, 기억회복과 새로운 후유증
   3) 관계적ㆍ사회적 효과-집합기억 복원을 위한 활동
 8. 맺음말
 피해자들의 육체적 후유증/이수현
 1. 서론-육체적 피해의 의미
 2. 육체적 피해의 구체적인 증거들
   1) 일본군 ‘위안부’ 당시의 육체적 피해
   2) 현재 남아 있는 육체적 피해
 3. 피해 규명의 한계
   1) 시간의 경과
   2) 이번 조사의 편이성(bias)
 4. 결론
 피해자들의 심리적 후유증/이철원
 1. 서론
 2. 방법 및 절차
   1) 연구기간과 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3. 결과
   1) 인구학적 변인에 대한 분석
   2) 지능지수 분석
   3) 증상에 따른 분류
   4) 심리평가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
 4. 논의
 제2차 가해와 그 범죄사실/김민철
 1. “내 혼을 더럽히지 마라”
 2. ‘제2차 가해’의 배경과 이념, 그리고 망언
   1) ‘제2차 가해’의 사회적 배경
   2) 망언, 황국사관의 변종
   3) 망언, 그 허구의 논리
   (1) 강제연행 부정론
   (2) 공창제도론
   (3) 증언을 믿을 수 없다
   (4) 교육적 측면, 성의 문제
   (5) 인신공격
 3. 일본정부의 범죄행위
 4. 확산되는 가해자들
   1) ‘제2차 가해’의 주범
   (1) 정치권
   (2) 언론
   (3) 연구소, 단체, 기타
   2) 가해의 공범
   (1) 사법부
   (2) 언론
 5. 맺음말을 대신하여-한일협정을 개정해야 한다
 일본 역사 교과서에서 다룬 일본군 ‘위안부’ 문제/정재정
 1.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와 방법
 2. 본론
   1) 일본 역사 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문제 관련 기술 현황
   (1) 개관
   (2)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기술
   (3)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기술
   2) 일본 역사 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기술의 문제점
   (1)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찬반 논쟁
   (2) 문제점
   3) 한국 역사 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기술의 현황
   (1) 경과
   (2)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기술
   (3)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기술
   (4) 문제점
 3. 결론
   1) 일본군 ‘위안부’문제 기술의 목적과 관점
   2) 바람직한 기술을 위한 방안
 생존자 증언을 어떻게 들을 것인가-증언4집이 나오기까지/김수진·양현아
 1. 묻기에서 듣기로-작업과정
 2. 증언의 재현과 녹취록의 편집
   1) 증언자들은 누구인가
   2) 기억과 재현 문제
   3) 구술적 텍스트로서의 증언집
 3. ‘생존자’증언과 역사쓰기
 "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총서: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책임을 묻는다:역사·사회학적 연구 자료번호 : yn.d_0011_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