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성명(聖明)을 받들어 조선국왕에게 계유(戒諭)하라는 제독부(提督府)에서 보낸 자문(咨文)

9. 本國回報督府戒諭怠慢
  • 발신자
    朝鮮國王
  • 발송일
    1593년 1월 15일(음)(萬曆二十一年正月十五日)
  • 출전
    事大文軌 卷3: 11b-13b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1책: 24~28쪽
9. 本國回報督府戒諭怠慢주 001
각주 001)
본 문서는 조경남의 『난중잡록』에 동일 기사가 실려 있다(趙慶男, 『亂中雜錄』 2, 癸巳 萬曆二十一年宣廟二十六年, 春正月初八日).
닫기
 
朝鮮國王,
爲 戒諭陪臣, 赴府聽候 事.
 
該議政府 狀啓.
本月十三日亥時, 承奉欽差提督府牌文, 內開, 爲 申飭國法, 戒諭怠玩 事.
恭蒙聖明, 念汝小邦被倭所陷, 君臣播遷, 人民逃涉, 特命大將鼓帥, 各鎭官兵, 遠涉海山, 拯援危弱. 迄自十二月二十五日, 渡江以來, 體察朝鮮國首臣柳成龍尹斗壽等, 不以臥薪嘗膽爲心, 雪恥除兇, 注念宴安私家, 恣酒自樂, 非惟藐慢天朝, 抑且自欺國主, 悖禮滅敎, 殆有甚焉. 且官兵野屯露宿, 捨命捐軀, 得克平壤, 可謂汝等, 無國而有國, 無家而有家. 若以責備過失罪咎, 糧匱草無, 坐視觀望, 違慢軍機. 䟽聞當宁, 掣兵旋遼, 目汝就斃, 使有國者, 復至無國, 有家者, 仍悲無家, 本部賦稟忠貞寸衷爲主, 不以小過介心, 堅持乾綱大體, 兵屯平壤, 撫綏運籌, 隨時進發, 揆機制勝, 尊安汝等家國, 直待事妥民寧, 請旨復命. 爲此牌仰, 朝鮮國大小陪臣, 傳知首臣, 火速赴府, 聽議進勦機宜, 料理應用糧草. 若再慢違, 定行題參正法, 從重示戒. 等因.
抄牌具啓.
據此. 參詳, 小邦以岌岌將亡之國, 蒙天朝拯濟之恩, 庶幾恢復舊基, 尊安遺黎, 尋常戒飭陪臣, 督運各處糧草. 家亡國破之日, 何敢自宴安私室. 但事多不逮, 罪實在慢. 自兵禍之後, 人夫牛馬, 十無二三, 經今半月之上, 迄未運完. 使天兵露次累日, 糧草俱缺, 致厪牌諭, 申明戒飭, 不勝慙懼. 惟督府忠炳日月, 量廓河海, 體皇上恤患之仁, 憫小邦罹禍之酷, 尙寬威克之示, 特令赴府聽議, 曲施恩貸, 只切銘感. 小邦生靈之命, 委係於督府, 敢不殫盡心力, 以聽進退. 除將怠玩陪臣, 責令自新, 沿路糧草, 星夜催連外, 柳成龍曾住安州, 想已前進, 又令尹斗壽前赴根前, 隨同聽候. 爲此, 合行移咨, 請照驗施行, 須至咨者.
右咨提督府.
 
萬曆二十一年正月十五日.

  • 각주 001)
    본 문서는 조경남의 『난중잡록』에 동일 기사가 실려 있다(趙慶男, 『亂中雜錄』 2, 癸巳 萬曆二十一年宣廟二十六年, 春正月初八日).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명(聖明)을 받들어 조선국왕에게 계유(戒諭)하라는 제독부(提督府)에서 보낸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d_0001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