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집권들과 가게유(勸解由)의 문답

그 후 [집권들이] “누가 명하여 꾀한 것인가?”라고 물으시자, 가게유(勸解由)가 “부젠이 명했습니다.”라고 말씀드렸다. 또 물으시기를, “부젠이 명한 것은 어떠한 것인가?” 가게유(勸解由)가 대답하길, “1620(元和 6)년 경신년 여름의 일, 부젠이 말하기를, ‘1617(元和 3) 정사년에 조선의 통신사가 내빙했지만 지금까지 그 답례가 없었으니 고쇼마루(御所丸)주 001
각주 001)
왕조시대에 신민들이 궁정에서 감사의 뜻으로 국왕이나 왕족에게 절하던 의식. 조선시대에는 돈수사배(頓首四拝 : 머리가 땅에 닿도록 고개를 숙여 네 번 절함)를 행하였다.
닫기
를 파견해야 한다. 전에 故 부젠(부젠의 부친)이 고쇼마루의 송사(送使)주 002
각주 002)
쇼군이 파견한 송사선(送使船). 1621년 시게오키가 사사롭게 막부의 이름을 가칭하여 조선에 송사선을 보낸 일을 의미한다.
닫기
로서 도해했을 때도 이에야스(家康) 공의 뜻을 받아서 건너갔다. 즉 그때 상의(上意)는 전과 같이 도해해야 한다는 것이어서 故 부젠이 도해하였다. 이번의 고쇼마루도 말씀드려서 상의(上意)주 003
각주 003)
사신(使臣).
닫기
를 받든 것이다. 이후 에도(江戶)에 전달하고 은밀히 준비하라.’고 하셨습니다.

  • 각주 001)
    왕조시대에 신민들이 궁정에서 감사의 뜻으로 국왕이나 왕족에게 절하던 의식. 조선시대에는 돈수사배(頓首四拝 : 머리가 땅에 닿도록 고개를 숙여 네 번 절함)를 행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쇼군이 파견한 송사선(送使船). 1621년 시게오키가 사사롭게 막부의 이름을 가칭하여 조선에 송사선을 보낸 일을 의미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사신(使臣).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집권들과 가게유(勸解由)의 문답 자료번호 : kn.k_0001_0010_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