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南浦開基, 趙佗構其遙緖,

南浦開基, 趙佗주 001
각주 001)
원문 「他」.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佗」로 교감, 조타라는 인물을 가리키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佗」로 교감.
닫기
構其遙緖,
漢書曰: “南越王趙주 002
각주 002)
원문 「越」.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趙」로 교감. 인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趙」로 교감.
닫기
佗, 眞[定]주 003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定」을 보입. 진정이라는 조타의 출생지를 지칭하는 부분이므로 「定」을 보입.
닫기
之人. 秦并天下, 略定揚주 004
각주 004)
원문 「楊」. 죽내본·탕천본 「揚」로 교감.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揚」로 교감.
닫기
越, 置桂林·南海·象郡. 秦末주 005
각주 005)
원문 「未」. 길림본 「末」로 교감. 문맥상 「末」로 교감.
닫기
南海尉任囂病且死, 召龍川令趙佗語주 006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曰」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보입하지 않음.
닫기
: ‘聞주 007
각주 007)
원문 「間」.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聞」으로 교감. 문맥상 「聞」으로 교감.
닫기
陳勝等作亂, 豪桀주 008
각주 008)
원문 「桀」. 죽내본 「傑」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닫기
叛秦相立. 南海辟遠, 恐盜兵侵此. 吾欲興兵絶주 009
각주 009)
원문 「阮」. 탕천본·길림본 「絶」로 교감. 의미상 끊는다는 뜻의 「絶」로 교감.
닫기
新道, 自備待주 010
각주 010)
원문 「侍」.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待」로 교감. 의미상 「待」로 교감.
닫기
諸侯變. 會病且甚, 故召公告之.’ 卽被주 011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 「佗」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書, 行南海尉事. 囂死, 佗卽移檄告橫浦·陽山·湟谿關주 012
각주 012)
원문 「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關」으로 교감. 내용상 「關」으로 교감.
닫기
曰: ‘盜兵且至, 急絶道聚兵自守’. 秦滅, 佗卽擊幷桂林·象郡, 自立南越武王. 高帝已定天下, 遣陸賈立佗爲南越王. 與剖주 013
각주 013)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剖」로 교감.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剖」로 교감.
닫기
符通使. 使和輯주 014
각주 014)
원문 「▼{車+普}」. 탕천본·길림본 「輯」 교감. 의미상 「輯」로 교감.
닫기
百[越]주 015
각주 01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길림본 「粤」 보입. 『漢書』에 따라 「越」 보입.
닫기
, 毋爲邊害也.”

  • 각주 001)
    원문 「他」.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佗」로 교감, 조타라는 인물을 가리키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佗」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越」.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趙」로 교감. 인명이므로 『한서』를 참조하여 「趙」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定」을 보입. 진정이라는 조타의 출생지를 지칭하는 부분이므로 「定」을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楊」. 죽내본·탕천본 「揚」로 교감.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揚」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未」. 길림본 「末」로 교감. 문맥상 「末」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탕천본·길림본 「曰」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보입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間」. 죽내본·탕천본·길림본 「聞」으로 교감. 문맥상 「聞」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桀」. 죽내본 「傑」로 교감. 원문대로 두어도 뜻이 통하므로 교감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阮」. 탕천본·길림본 「絶」로 교감. 의미상 끊는다는 뜻의 「絶」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侍」.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待」로 교감. 의미상 「待」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길림본 「佗」 보입. 그러나 보입하지 않아도 뜻이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 「開」.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關」으로 교감. 내용상 「關」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部」.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剖」로 교감. 『한서』의 기록을 참조하여 「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車+普}」. 탕천본·길림본 「輯」 교감. 의미상 「輯」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길림본 「粤」 보입. 『漢書』에 따라 「越」 보입.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南浦開基, 趙佗構其遙緖, 자료번호 : hw.m_0002_0130_0010_0010